1 / 4

대동여지도가만들어지기까지 …

김정호가 [ 대동여지도 ] 를 만들기 위해 의존했던 방법은 기존에 있던 지도와 지리서들을 연구하고 그 장점들을 두루 모아 집대성하는 것이었다 . 기록들에서도 김정호가 전국을 답사했다는 사실은 찾아볼 수 없고 , 여러 지도를 대조하고 지리지들을 참고했다는 내용뿐이다 . [ 조선어독본 ] 에서는 김정호 이전의 지도들은 그 내용이 부정확하고 형편없었다고 하나 사실 조선은 지 도학이 매우 발달한 나라였다 . 1931 년 정인보 가 [ 대동여지도 ] 에 대한 글을 동아일보에 발표했는데 , 이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대동여지도가만들어지기까지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의존했던 방법은 기존에 있던 지도와 지리서들을 연구하고 그 장점들을 두루 모아 집대성하는 것이었다. 기록들에서도 김정호가 전국을 답사했다는 사실은 찾아볼 수 없고, 여러 지도를 대조하고 지리지들을 참고했다는 내용뿐이다. • [조선어독본]에서는 김정호 이전의 지도들은 그 내용이 부정확하고 형편없었다고 하나 사실 조선은 지 도학이 매우 발달한 나라였다. 1931년 정인보가 [대동여지도]에 대한 글을 동아일보에 발표했는데, 이 때 정인보는 조선 지도학의 발전에 공헌한 인물로 나흥유, 양성지, 윤영, 정상기, 홍대용, 신경준 등의 인물을 거론하며, 그 발달선 상에 [대동여지도]를 두었다. 김정호는 이들의 성과를 집대성해 우수한 완성품을 만들어낸 것이지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은 아니다. • 신분이 낮았던 김정호가 지리학의 고급 자료들에 접근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두 가지 추측이 가능하다. 우선 최한기와 신헌 등 그의 지도 제작에 도움을 준 후원자의 덕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최한기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김정호의 벗을 자처했던 인물로, 지도와 지리에 관심이 많아 [지구전요]라는 세계 지리책을 쓰고 김정호와 함께 [지구전후도]라는 세계지도를 만들기도 했다. 대동여지도가만들어지기까지…

  2. 김정호의생김새와대동여지도의모습입니다.(약1861년도에만들어짐.)김정호의생김새와대동여지도의모습입니다.(약1861년도에만들어짐.)

  3. 김정호(지리학자) 누구인가? • 출생 1804년(황해도 토산)/사망 1866년(남대문 밖 약현) • 김정호(金正浩, 1804년? ~ 1866년?[1])는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였다. 자는 백원(伯元)·백원(百源)·백온(伯溫)·백지(伯之)이며, 호는 고산자(古山子)[2]이다. 황해도 토산(兎山) 출생이며, 본관은 청도(淸道)이다. • (1) 생애 • 김정호는 청도 김씨 봉산파로 황해도 토산에서 1804년[4] 무렵에 태어났다. 가정 형편은 빈한했고 신분은 한미했다. 지도 제작 등에 필요한 지식 등에 비추어 볼 때 몰락한 잔반(殘班)이나 중인이었으리라 추측한다.[5] • 언제 한양으로 이주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이주한 뒤에는 남대문 밖 만리재에 살았다고 한다. 이는 김정호와 안면이 있는 한세진의 대인(大人) 증언을 근거로 한다.[6] 반면 동아일보1925년 10월 9일자 기사에서는 그의 유허(遺墟, 옛 집터)가 남아 있는 남문 밖 약현에 기념비를 세우려 했음을 밝히고 있다. 서대문 밖 공덕리에 살았다는 설은 남대문 밖 공덕리를 잘못 설명한 듯이 보인다. 아무튼 만리재·약현·(남대문 밖) 공덕리는 김정호가 편찬한 지도와 지지에서 살펴보면 서로 가까운 곳에 있다. • 동관(童冠)의 나이 때부터 지도와 지지에 관심을 가졌다[7]고 최한기가 쓴 〈청구도〉 제문(題文)에 나타나 있다. ‘동관’은 18세나 19세로 추정한다. • 1834년(순조 34년)에 지지 《동여도지》를 제1차 편찬하였고, 그 부도에 해당하는 지도 〈청구도〉도 펴내었다. 그 뒤 1851년(철종 2년) 무렵에 지지 《여도비지》를 편찬하였고, 1856년(철종 7년) 무렵에는 지도 〈동여도〉를 편찬하였다. • 1861년(철종 12년)에는 앞서 만든 〈청구도〉와 〈동여도〉를 보완하여 〈대동여지도〉를 편찬한 뒤 1866년(고종 3년)까지 《대동지지》를 편찬하며 살다가 그해에 남대문 밖 약현에서 죽었다. 김정호의 생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