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쉽게 배우는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1 장 , 네트워크의 기초 -

쉽게 배우는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1 장 , 네트워크의 기초 -. 민 주 홍 y2kminju@kunsan.ac.kr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2012.03.15. 개요.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네트워크의 기능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네트워크 전송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의 모음.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시스템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인터페이스

de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쉽게 배우는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 1 장 , 네트워크의 기초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쉽게 배우는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1장, 네트워크의 기초 - 민 주 홍 y2kminju@kunsan.ac.kr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2012.03.15

  2. 개요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네트워크의 기능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3.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 네트워크 • 전송매체로 서로 연결된 시스템의 모음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4.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 시스템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 인터페이스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방법 • 전송매체 • 시스템끼리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 수단 • 프로토콜 •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특정 규칙 • 네트워크 •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집합을 통칭 • 인터넷 • 전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 IP(Internet Protocol)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5.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 표준화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6. 네트워크 관련 기초 용어 • 시스템의 구분 • 노드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 • 호스트 •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 •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7. 네트워크의 기능 • 계층 모델 •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권고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 • 물리계층 :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 (오류 감지/재전송) • 네트워크 계층 : 올바른 전송 경로를 선택 (혼잡 제어) • 전송 계층 :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 기능을 지원 • 세션 계층 : 대화 개념을 지원하는 상위의 논리적 연결을 지원 • 표현 계층 : 데이터의 표현 방법 • 압축 :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 • 암호화 :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 • 응용계층 : 다양한 응용 환경을 지원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8. 네트워크의 기능 •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 프로토콜 : 서로 다른 호스트에 위치한 동일 계층끼리의 통신 규칙 • 인터페이스 : 같은 호스트에 위치한 상하위 계층 사이의 규칙 • 서비스 ;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9. 네트워크의 기능 • 인터넷 계층 구조 • 네트워크계층 : IP • 전송계층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0. 네트워크의 기능 •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의 연결 • 게이트웨이 • 인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 리피터(Repeater) • 물리 계층을 지원 (신호 증폭) • 브리지(Bridge) •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지원 • 라우터(Router) •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1. 네트워크의 기능 • 프로토콜 •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규칙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2. 네트워크의 기능 • 데이터 단위 •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 응용 계층의 데이터 단위 • PPDU(Presentation Protocol Data Unit) • 표현 계층의 데이터 단위 • SPDU(Session Protocol Data Unit) • 세션 계층의 데이터 단위 •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 • 전송 계층의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 • 데이터그램(Datagram) • UDP 프로토콜에서 사용 • NPDU(Network Protocol Data Unit) :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 • 패킷(Packet) • DPDU(Data Link Protocol Data Unit) : 데이터 링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 • 프레임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3.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 주소와 이름 • IP 주소 • IPv4 프로토콜에서 사용 • 32비트 크기의 주소 체계 • IPv6에서는 128 비트 주소 체계로 확장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4.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 호스트 이름 • DNS(Domain Name System) • 이름과 주소 변환 기능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5.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호스트이름 ex) www.kunsan.ac.kr <호스트>.<단체이름>.<단체 종류>.<국가 도메인>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6.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 호스트 파일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조합을 텍스트 파일로 관리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7. 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 주소 정보의 관리 • DNS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네임 서버: 호스트 주소와 이름 정보를 제공 • 기타 주소 • MAC 주소: 계층 2의 MAC 계층에서 사용 • LAN 카드에 내장 • IP 주소와 MAC 주소의 변환이 필요 • IP 주소: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 • 포트 주소: 전송 계층에서 사용 • TCP와 UDP가 독립적으로 관리 • 소켓 주소 • 메일 주소: 메일 시스템에서 사용 IST (Information Sciences & Technology) Laboratory

  18. 감사합니다 민주홍 y2kminju@kunsan.ac.kr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