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서 론 도서관 2.0 의 이해 도서관 2.0 의 정의 도서관 2.0 의 사서 도서관 2.0 의 이용자 도서관 2.0 의 서비스 도서관 2.0 서비스의 적용사례 적용사례 -1 적용사례 -2 적용사례 -3

참고 . 도서관 2.0 서비스. 목차. 서 론 도서관 2.0 의 이해 도서관 2.0 의 정의 도서관 2.0 의 사서 도서관 2.0 의 이용자 도서관 2.0 의 서비스 도서관 2.0 서비스의 적용사례 적용사례 -1 적용사례 -2 적용사례 -3 결 론 주요 참고문헌. 참고 . 도서관 2.0 서비스. 서론 – 도서관 2.0 구성요소. 도서관 2.0 구성 요소. 정보지성인 2.0. 이용자. 도서관 2.0 ( 도서관 웹 플랫폼 ). 서비스. 정의.

guillermi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서 론 도서관 2.0 의 이해 도서관 2.0 의 정의 도서관 2.0 의 사서 도서관 2.0 의 이용자 도서관 2.0 의 서비스 도서관 2.0 서비스의 적용사례 적용사례 -1 적용사례 -2 적용사례 -3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목차 • 서 론 • 도서관 2.0의 이해 • 도서관 2.0의 정의 • 도서관 2.0의 사서 • 도서관 2.0의 이용자 • 도서관 2.0의 서비스 • 도서관 2.0 서비스의 적용사례 • 적용사례-1 • 적용사례-2 • 적용사례-3 • 결 론 • 주요 참고문헌

  2.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서론 – 도서관2.0 구성요소 • 도서관 2.0 구성 요소 정보지성인 2.0 이용자 도서관 2.0 (도서관 웹 플랫폼) 서비스 정의 • 도서관 2.0 = 이용자 중심의 혁신 서비스+ 웹2.0 서비스의 응용 • 도서관2.0 ≒ 웹2.0 + 도서관 사서 정보시대의 구루 (사서 2.0) GURU: an expert or leader. a religious and spiritual leader and teacher, especially in Hinduism.

  3.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2.0의 정의 • 도서관 2.0의 대상 영역과 적용 공간

  4.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웹2.0의 특징 • 웹 2.0은 성공한 닷컴들(Best Practices)에게 나타나는 핵심적인 특성(개방, 공유, 참여)을 지칭 • O'Reilly Media(Dale Dougherty)에 의해 만들어졌음 • 귀납적으로 도출되었기에 설득력이 있음 • 정의: 정보의 개방을 통해 인터넷 사용자들간의 정보공유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정보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움직임(SERI 보고서 "웹2.0의 사회.경제적 영향력”) • 주요 키워드 • 기술 주도가 아닌 이용자 주체적 • 강렬한 혁신 • 지식기반 활동 • 새로운 패러다임 • 플랫폼으로서의 웹 등

  5.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Semantic Web • 현재의 웹 • 90년대 초 Tim Berners-Lee가 개발 • 인간만이 이해 가능한 HTML로 웹 정보를 표시 • 정보간의 연관성은 하이퍼링크 기술에 의해 표시 • 대량의 정보처리에 어려움 많음 • Semantic Web: 1998년 W3C의 Tim Berners-Lee가 제안한 차세대 웹 • 웹 정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기술하며 • 기계는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여 지능적으로 처리 • Semantic Web Ontology를 기술하는 표준 언어 • W3C 제안: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OWL(Web Ontology Language) • I S O 제안:TopicMaps 등 • 대량의 정보를 지능적으로 처리 • 주요 개념: Ontology, OWL, TopicMaps, RDF/RDF Schema, Namespace, Web Services, etc

  6.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시맨틱 웹과 웹 2.0 비교 • 출발은 다르지만, 차세대 웹이라는 관점에서 공통점이 있음 • 현재는 상호간 관련 기술들을 조합하여 차세대 웹을 구성하려고 함 • 시맨틱 웹은 웹 2.0의 실현을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볼 수도 있음

  7.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2.0의 특징 • 도서관 2.0은 웹 2.0을 참조(연역적으로 도출)한 개념 • Michael Casey의 블로그 “LibraryCrunch” (2005) • www.librarycrunch.com/ • Michael Stephens가 “Internet Librarian 2005”에서 용어 사용 (2005) • 개념을 먼저 설정하고 정의를 부가하고 있으므로 현재 다양한 정의가 존재함 • 유사사례: 사서 2.0, 리더십 2.0, 기업 2.0 등(2.0 신드롬 현상) • 적용대상에 따라 • 광의의 대상: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혁신 • 협의의 대상: 웹 공간에서의 서비스 혁신 • 주요한 키워드: 통합, 연계, 개인화, 개방/공유, 참여, 혁신, 도서관플랫폼 등 • 성과: 기존에 도서관 영역에서 시도하였던 각종 이용자 지향의 혁신적 서비스들을 “도서관 2.0”이라는 개념으로 통합하여 구현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 • 한계:닷컴 기업의 웹2.0서비스와 달리, 도서관 2.0기반의 각종 서비스들은 성공여부를 장담하기 힘듦

  8.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2.0의 8가지 핵심 개념(Bonaria Biancu) • 이용자 중심적(User centricity) • 기술에 정통한 환경(Technology-savvy environment) • 고객들의 긴꼬리 붙잡기(Reaching of patrons long tail) • 복수의 장치에서 볼 수 있는 콘텐트(Content more than one device) • 컴포넌트 기반의 S/W(Component-based software, no monolithic ILS) • 부단한 변화(Constant change) • 웹2.0 응용기술 및 서비스를 사용(Use of Web 2.0 applications and service) • 개방형 표준들(Open standards)

  9.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By Bonaria Biancu 출처: http://www.flickr.com/photo_zoom.gne?id=113222147&size=o

  10.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1.0과 도서관 2.0의 특성 비교 E. Soundararajan & M. Somasekharan, “Library 2.0: Myth or Reality?”, http://library.igcar.gov.in/readit2007/conpro/s4/S4_1.pdf

  11.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2.0의 사서 • 사서 2.0 • 정보화 시대의 구루(guru) 또는 사서 2.0 (Stephen Abram) • 도서관 2.0 서비스를 위한 사서 • 이용자들의 심층적인 수준(목표, 정보요구 등)까지 알고 있으며, • 이용자들에게 적합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며, • 이용자들이 있는 곳은 어디든지 존재하여야 • 구루(guru) • 원래 ‘무겁다’는 뜻이었으나, 전화되어 ‘존경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존경하는 장로(長老)나 한 교단(敎團)의 통제자에 대한 존칭으로 통함 • 1. (힌두교의) 교사, 도사(導師) 2.《익살·구어》 (정신적) 지도자 3. (어떤 분야의) 전문가, 권위자

  12.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사서 2.0의 요건 (체크리스트) • 점수평가: 매우 우수(25 이상), 우수(20~24), 양호(15~19), 저조(14 미만)

  13.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2.0의 이용자 • 이용자 = 정보지성인(information literate person) 2.0 • 도서관 2.0(웹2.0) 환경에서의 정보지성인 (고객 2.0) • 정보지성인 1.0 + 새로운 역할 • 새로운 역할 • 개인이 생산한 콘텐트의 개방과 공유 • 각종 메타데이터의 생산 활동에 참여 • 도서관 2.0의 각종 커뮤니티 활동에 참여 • 도서관 2.0(웹2.0)으로 제공되는 도구나 서비스의 적극적인 활용 등 • 디지털 신인류(digital natives) : 디지털시대의 사회현상의 산물로서 변화발전하고 진화한 인간상(웹2.0 시대의 인간형)

  14.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정보지성인의 정의 • 미국도서관협회(ALA): 언제 정보가 필요한지를 알고, 요구하는 정보를 식별하고, 평가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능력을 갖춘 개인 • 영국의 CILIP: 정보지성인은 정보를 찾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정보의 한계와 정보이용 방법의 검토요구를 이해하며, 정보를 관리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 영국의 빅블루(the bigblue): 대학생들의 정보지성인 요건 정의 • 자신의 정보요구를 인식 • 자신의 정보요구를 표현 • 요구한 정보의 검색 • 정보의 비판적 평가 • 필요한 정보의 수용 • 이후의 사용을 위해 정보를 조직화 • 정보의 커뮤니케이션 • 과정에 대한 검토

  15.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디지털 신인류의 유형

  16.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2.0 주요 서비스의 범주와 유형

  17.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도서관 1.0 서비스와 도서관 2.0 서비스 사례 비교 • Jack M. Maness, “Library 2.0 Theory: Web 2.0 and its Implications for Libraries”, Webology 3(2), 2006. www.webology.ir/2006/v3n2/a25.html

  18.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적용사례 1

  19.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적용사례 2

  20.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적용사례 3

  21.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결론 • 웹 2.0과 도서관 2.0 • 웹 2.0은 차세대 웹 환경 또는 웹 비즈니스 모델이며, 도서관 2.0은 도서관의 혁신적인 정보서비스 모델임 • 웹 2.0의 성공적인 등장으로 인해 ‘2.0 신드롬 현상’ 발생(방송 2.0, 국가 2.0, 리더십 2.0 등 경영/경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모든 영역에 사용 가능) • 도서관 2.0의 개념 정의를 위한 쟁점사항 • 도서관 정보서비스 대상인 오프라인 및 온라인 영역을 모두 포함할 것인가? • 도서관 2.0의 사례로 인식되는 기존의 다양한 혁신적인 노력들을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 웹 2.0의 성공한 서비스들 중에서 무엇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웹 2.0 서비스 사례가 아니더라도 도서관 2.0의 영역이 될만한 새로운 혁신적 서비스는 어떻게 구상할 것인가? • 도서관 2.0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생긴 이유 • 웹 2.0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여,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도서관계에서 공감 • 도서관 2.0에 대한 생각이 그 동안 도서관계에서 추구해 오던 이용자 중심의 혁신적 정보서비스의 방향과 부합되어 친숙함 • 도서관으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불러들이는 계기로 판단(잠재적인 이용자 고객의 확보도 가능) • 다양한 정보서비스 채널들의 등장으로, 도서관계가 선택해야 하는 생존전략이 될 것으로 인식

  22. 참고. 도서관 2.0 서비스 • 주요 참고문헌 • 구중억, “Web 2.0과 도서관 활용 사례”, 2007년도 dCollection 실무자 워크샵 자료집, 2007. • 김기영, “Library 2.0 : 개념과 논점”, 정보관리강좌 2007, 2007. • 노경란의 블로그, http://blog/empas.com/inforan/ • Michael W. Casey & Laura C. Savastinuk, “Library 2.0: A GUIDE TO participatory Library Service”, Information Today, Inc., 2007. • Jack M. Maness, “Library 2.0 Theory: Web 2.0 and its Implications for Libraries”, Webology 3(2), 2006. www.webology.ir/2006/v3n2/a25.html • Paul Miller, “Library 2.0: The challenger of disruptive innovation [A Talis white paper]”, 2006. • Patrick Danowski, “Library 2.0 – Will the web 2.0 change everything?”. http://internal.ulib.sk/indico/prispevky/danowski.pdf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