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4

인간공학 II (2005 년 2 학기 ISIE368) 강의 3 : 생체역학

인간공학 II (2005 년 2 학기 ISIE368) 강의 3 : 생체역학. 홍승권. 서론. 가장 흔한 두 가지 근골격계 문제 (musculoskeletal problems) 하요통 (low back pain) 보상비 및 간접 비용 270 억 달러 ~560 억 달러 상지의 누적성 외상 장애 (upper extremity cumulative trauma disorders): 손가락 , 손 , 팔목 , 팔 그리고 어깨 산업체에서 매년 근로자의 10 명중 한 명. 서론 (11 장의 강의내용 ).

jadzi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인간공학 II (2005 년 2 학기 ISIE368) 강의 3 : 생체역학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인간공학 II(2005년 2학기 ISIE368)강의 3 : 생체역학 홍승권

  2. 서론 • 가장 흔한 두 가지 근골격계 문제(musculoskeletal problems) • 하요통(low back pain) • 보상비 및 간접 비용 270억 달러 ~560억 달러 • 상지의 누적성 외상 장애(upper extremity cumulative trauma disorders): 손가락, 손, 팔목, 팔 그리고 어깨 • 산업체에서 매년 근로자의 10명중 한 명.

  3. 서론 (11장의 강의내용) • 근골격계의 구조와 속성 • 근골격계 체계 (뼈, 연결구조, 근육) • 생체역학 모델 • 하요부 장애 • 하요부 생체역학 • NOISH 들기지침 • 수동 물질취급 • 앉은 자세작업과 좌석설계 • 상지 누적성 외상장애 • CTD의 주요형태 • CTD의 원인과 대처 • 수공구 설계

  4. 근골격 체계(1) • 근골격 체계 의 구성과 기능 • 뼈, 근육, 연결 조직으로 구성 • 신체 및 신체의 각 부위들을 지탱하고 보호하며, 자세를 유지하고, 신체운동을 만들어 내며, 열을 생성하고 체온을 유지 • 뼈 • 206개의 뼈:신체내부구조 보호, 상지 및 하지의 뼈들은 신체운동이나 활동을 지지.

  5. 근골격 체계(2) - 연결구조 • 연결구조 • 인대(ligaments) : 일종의 조밀한 섬유 조직이지만, 이것들의 기능은 뼈와 관절을 연결시켜주고 관절 부위에서 뼈들이 원활하게 협응할 수 있도록 함 • 건(tendons) : 근육을 뼈에 부착시키고 있는 조밀한 섬유 조직으로 근육에 의해 발휘된 힘을 뼈에 전달해 주는 기능. • 근막(fascia) :근육과 다른 신체 구조물을 둘러싸서 이것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역할. • 연골(cartilage) : 관절뼈의 표면, 코 그리고 귀 같은 신체 기관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반투명의 탄력적인 조직.

  6. 근골격 체계(3) - 관절 • 관절의 유형 (뼈 연결부위) • 활액 관절(synovial joints) : 관절 표면에 조직이 없고 대신 관절 표면 사이에 윤활액이 분비된다. • 섬유 관절(fibrous joints) : 두개골의 뼈들처럼 섬유 조직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관절 • 연골 관절(cartilaginous joints) : 추간 원판(intervertebral discs) 같은 척추 뼈들을 연결.

  7. 근골격 체계(4) - 관절 • 관절의 유형 (관절의 동작 유형) • 비운동성 관절(no-mobility joints) : 성인의 두개골 봉합선(seam)처럼 동작을 허용하지 않음. • 경첩 관절(hinge joints) : 팔꿈치 관절처럼 한쪽 평면만으로 동작을 허용 • 축 관절(pivot joints) : 두 평면으로 동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팔목 관절이 여기에 해당 • 구형 관절(ball-and-socket joints): 고관절(hip joints)이나 어깨 관절(shoulder joint)등이 포함.

  8. 근골격 체계(5) - 근육 • 약 400개의 근육 • 근육들은 대략적으로 체중의 40~50%차지 • 근육들은 신체 에너지의 거의 반을 소비 • 이 에너지는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거나 • 신체 운동을 생성하는데 것뿐만 아니라, • 열을 생성해내고 체온을 유지하는데도 사용됨

  9. 근골격 체계(6) - 근육 • 근육의 구성 • 근섬유(muscle fibers), 연결 조직(connective tissues) 그리고 신경(nerve)들 • 근섬유 • 긴 원주형 세포로 대부분 근원섬유(myofibrils)라고 불리는 수축성 요소들로 구성 • 근육의 연결 조직 • 신경이나 혈관이 근육 속으로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제공 • 신경섬유 • 근육들은 감각 신경 섬유(sensory nerve fibers)와 운동 신경 섬유(motor nerve fibers)를 갖고 있음

  10. 근골격 체계(7) - 근육 • 신경섬유 • 감각 신경 섬유(sensory nerve fibers) : 근육의 길이나 긴장도(tension)에 대한 정보를 중추 신경계로 전달 • 운동 신경 섬유(motor nerve fibers) : 근육 활동을 통제, 운동 신경 섬유는 중추신경으로부터 오는 임펄스(impulse)를 근육에 전달. • 운동단위(motor unit) : 근육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 단위 • 각각의 운동 신경 섬유는 이것의 가지들(branches)을 통해서 관련된 근육 섬유들을 통제. • 동일한 운동 신경 섬유 가지들에 의해 통제되는 근육 섬유 집단을 운동단위(motor unit)라고 부름 • 동일한 운동 단위로, 이것들은 신경 섬유로부터 오는 임펄스에 대해 거의 동시에 반응하거나 혹은 전혀 반응하지 않음.

  11. 근골격 체계(8) –근육의 수축 • 근육의 수축의 역할 • 근육의 수축은 근력(muscle force)이나 근긴장(muscle tension)을 산출해내고 • 이것들은 건(tendons)을 통해 뼈에 전달되어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거나 육체적 작업을 하는데 사용. • 동심형 수축(concentric contraction) • 등장형 수축(isotonic contraction) • 수축할 때 근육이 짧아지며 동등한 내적 근력(internal muscle force)을 산출. • 근 수축이 일어나면 실제 근육의 길이도 줄어드는 경우를 말하는 경우 • 예) 무게를 손에 쥐고 팔을 구부릴 때 이두박근의 운동

  12. 근골격 체계(9) –근육의 수축 • 편심형 수축(eccentrical contraction) • 수축할 때 근육이 길어지는 것으로 이것은 내적 근력보다 외부의 힘이 더 클 때 발생 • 근 수축은 일어나지만 실제 근육의 길이는 오히려 늘어나는 경우 • 예) 팔굽혀 펴기 혹은 윗몸 일으키기에서 중력에 대하여 몸을 천천히 떨어지게 하기 위해 대흉근(pectoralis major)이나 복근(rectus abdo- minis)에서 일어나는 운동. • 등척형 수축(isometric contraction) • 수축 과정 중에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음 • 물체를 들다가 멈춘 후 그것을 안정적인 위치에서 들고 있을 때 발생.

  13. 근골격 체계(10) –근력 • 근력(muscle strength) • 근육 안에서 발생하는 긴장(tension)의 정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음 • 따라서 근육이 발휘하는 힘의 양이나 토오크(torque)에 기초해서 추정 • 뒤틀림 모멘트(moment)라고도 불리는 토오크는 일반적으로 뒤틀 수 있는 힘의 정도를 말하며, • 예를 들어, 팔꿈치나 어깨에 있는 관절을 회전축으로 하는 팔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토오크. • 근력의 종류(힘의 발휘조건에 따라) • 정적근력과 동적근력

  14. 근골격 체계(11) –근력 • 정적근력 • 정적 근력은 등척력(isometric strength)이라고 함 • 정적 근력은 4~6초 동안 피험자들이 고정된 물체에 대해 최대한 발휘하도록 한 후 • 30~120초 동안 휴식을 취하게 하는 과정을 몇 번 반복하여 • 처음 3초 동안에 발휘된 근력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측정 • 동적근력 • 신체의 가속(body acceleration)이 측정하고자 하는 근력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측정이 어려움 • 발휘되는 운동의 힘에 관계없이 신체의 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설계된 등속도 실험 장치(isokinetic equipments)들을 사용 • 정신물리학적 방법 : 각 시행에 따라 자신들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 능력에 이르렀다고 생각될 때까지 부하를 올리거나 내리는 시행을 반복하도록 요구.

  15. 신체역학 모델 (1) • 생체역학 모델 • 생체역학적 모델에서는 근골격 체계들을 일종의 기계적인 링크 연결 구조로서 분석 • 특정 근골격 요소에 부과되는 스트레스 수준을 수량적으로 예언 • 직무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는 분석적 도구로서 기능 • 뉴유튼의 세가지 물리학적 법칙에 기초 • 물체는 불균형적인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일정한 운동 상태로 혹은 정지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 힘은 물체의 가속도에 비례한다. • 작용은 이와 같은 힘의 크기를 갖는 반작용을 받는다.

  16. 신체역학 모델 (2) • 정적 평형상태(static equilibrium)란? • 신체(body)나 체절(body segment)이 움직이지 않을 때 • 두 가지 조건을 충족 • 정적 평형상태에 있는 대상에 대해 작용하는 모든 외부적 힘의 총합은 0. • 정적 평형상태에 있는 대상에 대해 작용하는 모든 외부 모멘트의 총합은 0. • 평면적, 정적 모델들(planar, static models) • 평면적 모델들(planar models: 때로 2차원적 모델)은 단일 평면에 힘이 작용하는 대칭적 신체 자세를 분석 • 정적 모델들(static models)은 사람들이 신체 전체나 혹은 신체 일부(즉, 체절)를 전혀 움직이지 않고 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

  17.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1) • 예제> • 어떤 사람이 20kg의 무게 물체를 두 손으로 • 전완을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 • 하중은 두 손에 동등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 그 물체와 팔꿈치 사이의 거리는 36cm • 그 사람의 팔꿈치에 작용하는 힘과 회전 모멘트는 역학 법칙을 사용하여 결정.

  18.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2)

  19.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3) • 먼저, 하중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W = mg 여기서 W는 뉴유튼(N) 단위로 측정된 대상의 무게, m은 킬로그램(kg) 단위로 측정된 대상의 질량, g는 중력 가속도(상수 9.8m/s2). W = 20kg х 9.8m/s2 = 196N

  20.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4) • 각 손이 지탱해야 하는 무게 • 두 손에 무게가 동등하게 분배되어 있기 때문에 • Won-each-hand = 98N • 전형적인 성인 작업자의 경우 • 전완-손 체절(forearm-hand segment)의 무게는 16N이고 • 전완-손 체절과 팔꿈치의 질량 중심 사이의 거리는 18cm.

  21.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5) • 팔꿈치의 반작용력 Relbow • 평형상태의 첫 번째 조건을 사용하여 계산. • Relbow는 위쪽으로 향하고 있고, • 물체와 전완-손 체절의 하중은 아래쪽 • 팔꿈치에서의 힘의 총합 = 0 -16N - 98N + Relbow = 0 Relbow = 114N

  22. 단일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6) • 팔꿈치 모멘트 Melbow • 평형상태의 두 번째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 • 물체와 전완-손 체절의 하중에 의해 만들어진 시계 방향으로의 모멘트 • 이와 같은 크기를 갖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Melbow에 의해 상쇄. • 팔꿈치에서의 모멘트의 총합 = 0 (-16N)(0.18m) + (-98N)(0.36m) + Melbow = 0 Melbow = 38.16N – m

  23. 두 개 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1) • 2-체절 모델(two-segments model)의 한 가지 예> • 어깨나 척추 부분과 같이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좀 더 떨어져 있는 신체 관절 부위 • 일종의 연결된 링크들(link)로 간주하여 육체적 스트레스의 크기를 계산 • 앞의 단일 체절 모델의 설명에서 예로 들었던 상황을 바탕 • 이 사람의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거리는 34cm이고, • 상완(upper arm)의 무게는 20N이며, • 상완과 전완은 모두 지면과 평행하다고 가정.

  24. 두 개 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2)

  25. 두 개 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3) • 전완의 관점에서 (앞 예시) • 팔꿈치의 반작용력 Relbow는 위쪽 방향으로 114N이고, • 팔꿈치 모멘트 Melbow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38.16 – m • 상완의 관점에서 본다면 • 팔꿈치의 반작용력은 아래쪽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 팔꿈치의 모멘트는 시계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 • 이러한 방식으로 전완으로부터 상완까지 팔꿈치 힘과 팔꿈치 모멘트가 “전이”됨

  26. 두 개 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4) • 상완에 초점을 두고 어깨에 주어지는 힘과 모멘트를 계산. • 평형상태의 첫 번째 조건을 사용하여 계산 • 어깨의 반작용력 Rshoulder • 어깨에서의 총합 = 0 R’elbow - Wupper- arm + Rshoulder = 0 Rshoulder = R’elbow + Wupper- arm = 114N + 20N = 134N

  27. 두 개 체절에 대한 평면적 정적 모델(5) • 어깨의 반작용 모멘트 Mshoulder (두 번째 조건) • 어깨에서의 모멘트의 총합 = 0 -36.16N – m + (-114N)(0,34m)+ (-20N)(0.14m) + Mshoulder = 0 Mshoulder = 79.72N –m(시계 반대 방향) • 2-체절 모델과 단일-체절 모델의 계산 결과비교 • Mshoulder는 Melbow의 두 배보다 더 크다 • 어깨 관절이 하중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상완과 전완의 무게가 어깨에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 • 일반적으로 모멘트는 작용선(line of action)으로부터 회전 중심점(point of rotation)까지의 수직 거리와 힘을 곱한 값 • 하중으로부터 가까운 관절보다 더 멀리 떨어진 관절에서의 모멘트가 더 크게 됨.

  28. 하요부 장애 • 의료비 • 하요부 통증으로 인한 의료비는 전체 근로 보상액의 거의 3분의 1 • 간접적인 비용까지 포함 한다면, • 전체 비용 총액은 270억 달러~ 560억 달러로 추정 (미국). • 하요부 통증 인구 • 직업적 요인이나 다른 요인들에 의한 고생하는 사람들은 전체 인구의 50~70 퍼센트 • 두 개의 중요한 직무 상황 • 수동 물질 취급작업 • 앉은 자세 작업.

  29.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1) • L5/S1 요천부 디스크 (L5/S1 lumbosacral disc) • 제5요추골(lumbar vertebrae)과 제1천골(sacral vertebrae)사이의 디스크에 심각한 신체적 스트레스. • L5/S1 디스크에서의 반작용력과 모멘트를 계산하기 위해 • 중다체절 모델(multisegment model)을 적용 • 뿐만 아니라 횡격막(diaphragm)과 복벽 근육(abdominal wall muscle)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압(abdominal pressure)도 고려

  30.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2) • 물체하중과 상반신의 회전 모멘트 Mload-and-torso = Wload х h + Wtorso х b 여기서, h는 하중으로부터 L5/S1 디스크까지의 수평적 거리 b는 상반신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L5/S1 디스크까지의 수 평적 거리. • 상쇄 회전 모멘트 Mback-muscle = Fback-muscle х 5(N-cm) 이 모멘트는 5cm의 모멘트 암(moment arm)을 가진 등 근육에 의해 만들어짐

  31.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3) • 두 번째 조건, L5/S1에서의 모멘트의 총합 = 0 Fback-muscle х 5 = Wload х h + Wtorso х b Fback-muscle = Wload х h/5 + Wtorso х b/5 • h와 b는 항상 5cm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Fmuscle은 하중과 상반신의 무게를 합한 것보다 언제나 더 큼. • 예를 들어, 어떤 전형적 들기 상황에서 h = 40cm 이고 b = 20cm라고 한다면, Fmuscle = Wload х 40/5 + Wtorso х 20/5 = 8 х Wload + 4 х Wtorso

  32.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4) • Fmuscle = 8 х Wload + 4 х Wtorso • 등 근육의 힘은 하중의 8배와 상반신 무게의 4배를 합한 것임 • 상반신 무게가 350N인 어떤 사람이 300N(약 30kg)의 하중을 가정 • 공식에 의하면, 이 사람의 등 근육 힘은 3,800N이 됨 • 만일 이 사람이 450N의 하중, • 공식에 따라 등 근육의 힘은 5,000N • 강도 능력의 범위를 2,200~5,500N로 추정 (Farfan, 1973)

  33.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5) • 하요부의 근력뿐만 아니라 L5/S1 디스크의 압착력(compression force)도 함께 고려 • 이것은 첫 번째 조건에 기초하여 추정. • L5/S1 디스크의 힘의 총합 = 0 Fcompression = Wload х cos α х Wtorso х cos α + Fmuscle • 대략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복부의 힘 fa는 무시하고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 • 여기서 α는 수평면(horizontal plane)과 천골 절단면(sacral cutting plane)사이의 각도로서, 디스크 압착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룸.

  34. 들기와 하요부 생체역학 (6) • 이 공식은 디스크 압착력이 근력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 • 예를 들어, α = 55° 라고 가정. 350N의 상반신 무게를 갖는 사람이 450N의 하중을 들어올린다면, Fcompression = 450 х cos55° + 350 х cos55° +5000 = 258 + 200 +5000 = 5458N • 들기 과제들을 수행할 때 척추에 영향요인들 • 척추의 중심점에 대한 하중의 무게와 거리 • 상반신을 뒤트는 정도, 대상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대상이 옮겨지는 거리 등이 포함.

  35. NIOSH Lifting Guidelines(들기작업 지침)

  36. NIOSH WPG for Manual Lifting • The NIOSH Work Practices Guide (WPG) for Manual Lifting (1981) • Review and summarize current knowledge with regard to manual material handling. • Provide concrete guidelines to assist industry in the prevention of overexertion injuries during lifting.

  37. 1981년 지침의 특성 • 두 가지 종류의 권고치 설정: • 조치한계(Action Limit: AL) : 장애나 피로가 증가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수준 • 최대허용한계(Maximum Permissible Limit: MPL): • 조치한계의 3배 •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근골격계 장애 유발

  38. 들기 공식의 가정(1) • 들기 공식은 생체 역학, 정신물리학 그리고 작업 생리학 분야의 연구 결과들과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한 판단에 기초 • 생체역학적 기준 • 하요부 상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L5/S1 디스크에서의 압착력 수준을 3.4kN으로 규정. • 압착력은 디스크 탈골(disc herniation), 추골 종판 파열(vertebral end-plate fracture) 그리고 신경근 염증(nerve root irritation)과 같은 디스크 상해의 주원인.

  39. 들기 공식의 가정(2) • 생리학적 기준 • 걷기, 운반 그리고 반복적인 하중 들기와 같은 활동들은 근육들을 더 많이 사용 •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활동들은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 • 이때 소비되는 에너지량은 작업자의 에너지 생산 능력을 초과해서는 안 됨 • 들기 과제에 대한 최대에너지 소비 한계는 2.2kcal/min에서 4.7kcal/min에 이름

  40. 들기 공식의 가정(3) • 정신물리학적 기준 • 작업자들에게 무리하지 말고, 비정상적으로 피곤해 지거나, 약해지거나, 열이 올라가거나, 숨이 차는 일이 없이 할 수 있는 한 최대로 작업하도록 요구하고, 그 때 작업자가 견딜 수 있는 무게. • NIOSH 들기 공식에 적용된 정신물리학적 기준은 주어진 들기 요구량이 남성 작업자의 99 퍼센트, 여성 작업자의 75 퍼센트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최대 수용 들기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

  41. 1991년 NIOSH 기준 • 권고중량한계(Recommended Weight Limit: RWL) • 작업시간(8시간) 동안 들기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물의 무게 • 1981년 조치한계에 사용되었던 수평위치, 수직위치, 수직이동거리, 작업빈도 계수 이외에 비대칭 각도 계수와 손잡이 계수까지 고려 • 수직이동거리는 작업물의 수직위치에서 작업물의 처음위치를 뺀 값

  42. RWL 공식 • RWL = LCHMVMDMAMFMCM

  43. Standard Lift Location • Vertical position: 75 cm from the floor. • Horizontal position: 25 cm from the midpoint between the ankles.

  44. Load Constant • The load constant is the maximum recommended weight for lifting at the standard lift location under ideal conditions. • LOAD CONSTANT: 23 kg (51 lbs)

  45. Horizontal Multiplier • HM = (25/H) • H = horizontal distance (in cm) of the hands from the midpoint between the ankles. Measure at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lift.

  46. Multiplier 1.2 1 0.8 0.6 0.4 0.2 0 20 30 40 50 60 70 80 Horizontal Distance (cm) Horizontal Multiplier

  47. Vertical Multiplier • VM = (1-(0.003|V-75|)) • V = vertical distance (in cm) of the hands from the floor. Measure at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lift.

  48. Vertical Multiplier Multiplier 1.2 1 0.8 0.6 0.4 0.2 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Vertical Distance (cm)

  49. Distance Multiplier • DM = (0.82 +(4.5/D)) • D = vertical travel distance (in cm)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lif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