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ⅰ) 낮은 값으로부터 Vs 가 증가할 때 ㆍ Q₁(off), Q₂(on) 상태 : V o = Vcc - VRc₂(Low 레벨 )

슈미트 트리거 회로 (Schmitt Trigger Circuit). ⅰ) 낮은 값으로부터 Vs 가 증가할 때 ㆍ Q₁(off), Q₂(on) 상태 : V o = Vcc - VRc₂(Low 레벨 ) ㆍ Vs 증가하여 임계치 Vup 에 도달하면 Q₁ 동작하여 순간적으로 Q₂(off) 상태의 또 다른 인정 상태 : Vo = Vcc (High 레벨 ) ⅱ) Vs 를 감소시킬 때 ㆍ Q₁ 의 베이스 및 콜렉터 전류감소 ⇒ VRc₁ 의 감소

julie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ⅰ) 낮은 값으로부터 Vs 가 증가할 때 ㆍ Q₁(off), Q₂(on) 상태 : V o = Vcc - VRc₂(Low 레벨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슈미트 트리거 회로(Schmitt Trigger Circuit) ⅰ) 낮은 값으로부터 Vs가 증가할 때 ㆍQ₁(off), Q₂(on) 상태 : Vo = Vcc - VRc₂(Low 레벨) ㆍVs 증가하여 임계치 Vup에 도달하면 Q₁동작하여 순간적으로 Q₂(off) 상태의 또 다른 인정 상태 : Vo = Vcc (High 레벨) ⅱ) Vs를 감소시킬 때 ㆍQ₁의 베이스 및 콜렉터 전류감소 ⇒ VRc₁의 감소 : Q₂의 베이스 전압 상승 ⇒ 임계치 Vdown에 도달하면 Q₁(off), Q₂(on) 상태 : Vo ⇒ Low Level ㆍ변환되는 전압을 스위치 다운(Switch Down) 전압이라 함. ⅲ) Hysteresis ㆍVup과 Vdown의 차를 히스테리시스 전압이라 함.

  2. 슈미트 트리거 회로 Vref t +Eos t -Eos -. 출력 Eo는 +Eos 혹은 –Eos -. ER2 = ±R2/(R1 + R2) Χ Eos • - (-)단자에 비해 (+)단자 전압이 높으면 Eo = Eos • ∴ (+)단자 전압 = +ER₂ • - Ei가 증가하여 ER₂보다 약간 크면 Eo = -Eos • ∴ (+)단자 전압 = -ER₂된다. • Ei 변해도 Eo 변하지 않고 Ei 감소하여 -ER₂보다 낮게 되면 • Eo = Eos로 반전함. 【히스테리시스 】 【비교기(Comparator)의 경우】

  3. 더러운 파형을 깨끗하게 하는 슈미트 트리거회로 (c) +VCC R1 R2 C R4 R3 B Q2 Q1 R7 R5 R6 G G +VCC +VCC (d) (e) IC2 IC1 R1 R2 R1 R2 R4 R4 C C R3 R3 Q1 Q1 Q2 Q2 VDE (OFF) VDE (OFF) R5 R6 R6 R5 G G G G (a) (b)

  4. 수동 스위치의 Chattering 제거회로 1. 일반 수동 스위치 채터링이 일어나는 일반적인 스위치의 회로로 하드웨어적인 Chattering 방지 회로와 소프트웨어적인 방지기술을 동시에 적용해야 한다. 2. RC Filter를 이용한 Chattering 방지회로 많이 사용하는 RC Filter를 이용한 Chattering 방지회로이다. 수동소자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심한 노이즈에 대해서는 그 동작을 100% 신뢰할 수 없다. R? 472 3. NAND로 구성된 RS 플립플롭을 이용한 Chattering 방지회로 완벽하게 노이즈를 차단을 할 수 있는 회로이며 기계적인 스위치가 반전되지 않는 한 결코 노이즈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3 OUT 2 74HC00 S? Vdd SW SPDT 1 3 OUT 2 R? 472 74HC00

  5. CONNECTION OF DC PROXIMITY SWITCHES WITH 4 WIRES (IN ACCORDANCE WITH EN 50044) BN (1) + BK (4) WH (2) 24V BU (3) - LOAD PNP NO or NC contact LOAD BN (1) + BK (4) 24V WH (2) BU (3) - NPN NO or NC contact Colour coding of connections in accordance with DIN IEC 757: BN = Brown     BK = Black      WH = White       BU = Blue

  6. 입력 형식 1)NPN 입력 2)PNP 입력

  7. 출력 형식 1)NPN 출력(Sink Type) 2)PNP 출력(Source Type)

  8. ㆍON/OFF형 SENSOR : noise문제(발진 우려) - 접촉식: Pushbutton, Limit S/W, Pressure S/W, Volumn, Pick-up, Keyboard ※히스테리시스 특성 가짐(압력센서 예) ※사용시 고려 - 비접촉식: 아날로그적인 출력(포토 TR 예) 히스테리시스 특성 없으므로 히스테리시스 회로 부가 ㆍ센서 사용 용어 - Hysteresis → 슈미트트리거 회로 - 응차거리 : 센서 on 후 물체 뒤로 움직여도 바로 off되지 않음. - 반복정도 : 물체가 Sensor에 접근하여 on되는 거리가 시기에 따라 달라짐. 이때의 차이를 말함 VREF VREF1 OUT VREF2 오직 개방형만 사용 개방형 단락형 사용가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