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SK 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및 韓中 에너지 협력 과제

한중 투자포럼 발표 자료. SK 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및 韓中 에너지 협력 과제. 2008. 5. 28. Contents. SK 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SK Group 소개 SK 에너지 소개 중국 투자 현황 중국 에너지산업 전망 석유 산업 석탄 산업 재생가능 에너지 한∙중 에너지 협력 과제 원유 탐사 / 개발 분야 원유 구매 / 수송 / 비축 분야 석유제품 생산 / 저장 분야 환경 및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 I. SK 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SK Group 소개.

lew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SK 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및 韓中 에너지 협력 과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중 투자포럼 발표 자료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및韓中 에너지 협력 과제 2008. 5. 28.

  2. Contents •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 SK Group 소개 • SK에너지 소개 • 중국 투자 현황 • 중국 에너지산업 전망 • 석유 산업 • 석탄 산업 • 재생가능 에너지 • 한∙중 에너지 협력 과제 • 원유 탐사/개발 분야 • 원유 구매/수송/비축 분야 • 석유제품 생산/저장 분야 • 환경 및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

  3. I.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SK Group 소개 SK는 한국 재계 3위의 Group으로 2007년 86.5 billion USD의 매출실적을 보였으며,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에너지/화학, 정보통신, 트레이딩/서비스를 사업영역으로,SK Brand와 문화를 공유하는 60여개의 회사로 구성되어 있음. 지주회사 • SK Holdings Sales(2007) • SK에너지 • SK E&S • SK Chemicals • SKC • Dopco • K-Power 에너지/ 화학 에너지 / 화학 52% 정보통신 15% 트레이딩 /서비스 33% 정보통신 • SK 텔레콤 • SK C&C • SK Telink • SK Telesys • Helio • Sales : 86.5 billion USD • NetIncome : 4.1 billion USD • MarketCapitalization : 63.5 billion USD 트레이딩 / 서비스 • SK 네트웍스 • SK 건설 • SK 해운 • Sheraton Walkerhill • SK 증권

  4. I.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SK에너지 소개 SK에너지는 다양한 Product Portfolio를 가지고, Upstream부터석유/화학 사업 및 Downstream 사업에 이르는 독특한 Value Chain을 가지고 있음. 안정적인 사업영역의 수입을 통해 새로운 Upstream 성장의 동력과 설비의 고 기능화를 실현하여 고유가와 Cyclicality로 부터 Risk를 Hedge 할 수 있는 System을 갖추고 있음. Ethylene: 830,000 Ton/YrPropylene: 540,000 Ton/YrBTX: 3,600,000 Ton/Yr

  5. I.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SK에너지 소개 SK에너지는 지속적인 투자와 경영효율화로 2007년, 창사 이후최대인 29.9 billion USD의 매출액과 견조한 영업이익(1.6 billion USD)을 달성하였음. Sales & Operating Profits Unit : Million USD Operating Profit Sales

  6. I. SK에너지 중국사업 현황 중국 투자 현황 SK에너지는 2007년말 기준, 중국 전국 13개 지역에서 16개 법인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 China Insider 전략에 따라 애강병원, 공로과기와 같은 비수익성 사업부터, 탄광개발, 환경사업, 화학제품의 수출입, 제품의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 투자를 실시하고 있음. 북경국제무역 • 중국 투자 현황 공로과기 천진윤활유 • 중국 총투자액 : 134 백만USD ; 총 16개 법인 투자 • 비 수익성 사업 ; 애강병원, CVG 북경, 공로과기 • 무역사업 및 판매 ; 상해국제무역, 북경국제무역천진윤활유, 상동고신석유 ; PMA 법인, 서안 아스콘 etc • 개발사업 ; 평정탄광, SK Life Science • 생산설비 ; 항주 노트란, 상해고교용제, 산동 PE-RT 투자성공사 산서 평정탄광 일조SK 산동 PE-RT 서안 아스콘 상해고교용제 상해국제무역 중경SK 합비SK보영 항주노트란 영파SK보영 금화SK보영 광동특폴

  7. II. 중국에너지산업 전망 석유 산업 중국은 개혁개방이래 연평균 8%를 웃도는 고속 성장으로 명실상부한 Global 경제 대국으로 일부 연구기관, 언론매체에서 향후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런 빠른 경제 성장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지속적인 생산설비의 확충 노력에도 불구, 석유제품의 공급부족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원유 공급처의 개발과 전략적 비축 필요성이 증가할 것임. 중국정부 정책도 수출입/정제/유통 분야에서 외자에 대해 점진적 개방을 고려할 것으로 예상됨. 중국 석유제품 수요와 공급 (천B/D) 정부 정책 • 연평균 수요증가율 5.5~6.5% 지속 예상 • 중국의 경제성장 등을 고려할 경우, 중국 석유 시장은 중장기적으로도 공급부족 지속/심화 예정 • WTO가입 원칙에 따라 점진적 개방,단,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규제의 점진적인 완화 예상 • 후발주자의 수출입사업 참여 본격화 수출입 801 972 1,429 1,869 공급부족1 • 계획적 Refinery 확충계획 지속 (31+30 계획*) • 자국의 에너지 부족으로 자국 생산석유제품의 자국 공급 우선 원칙 공급부족2 801 897 1,075 1,272 정제 10,051 9,455 8,182 6,896 6,095 • 외자에 대한 개방정책 확대단,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규제의점진적인 완화 예상 • 후발주자의 유통사업 진입 본격화 유통 AAGR 수요1:6.5%수요2:5.4% 공급 :5.0% * 공급부족 1: GDP 성장률 12%시 석유 수요(-) 국내 생산 공급량공급부족 2: GDP 성장율 10%시 석유 수요(-) 국내 생산 공급량 * 국내 공급량은 가동율 81%(2006년 중국평균) 적용 * ” 31+30 계획 : “12.5”까지 전국에 31개 천만톤급 Refinery/ 30개 백만톤급 에틸렌 Cracker 건설 계획 2006 2007 2010 2012 국내 생산공급량 수요 2 수요 1 자료출처: IMF, Facts 2007.Spring

  8. II. 중국에너지산업 전망 석탄 산업 중국은 석탄자원 부국으로 많은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수급상 석탄에 대한 의존도는 절대적이며, 석탄광 합리화 및 석탄화공산업 추진 등 석탄 이용의 합리화가 석탄 관련 정책의 핵심임. 원유 자원이 부족하고, 석탄 자원이 풍부한 상태에서 석탄화공 추진 시, 원유의 대외 의존도를 낮춰 자원의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 석탄화공을 국가 필수 전략으로 추진 중임. 석탄산업 현황 석탄산업 관련 정부 정책 • 중국은 전세계 석탄 가채 매장량의 12%, 생산량의 37%를 차지하는 석탄자원 부국 • 석탄에 대한 의존도는 절대적(67%)  2020년에도 석탄의존도 54% 예상 • 많은 생산량에도 불구, 수요량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원료의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임. • 중국 정부는 풍부한 석탄을 미래 국가에너지의 기초 자원으로 활용 방침 • 석탄화공산업의 발전은 국가 필수전략 과제- 중국정부는2006~2020기간 석탄화공산업에 1조 RMB (약120조원) 투입 계획 석유대체자원으로서의 활용 극대화 • 석탄산업의 선진화, 석탄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외국 자본 참여 유도- 석탄화공산업의 발전을 위한 상용화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에 적극적인 정책 지원 - 외자기업 진입 Key Factor : 고부가가치 기술 제공 (예 : 석탄액화관련 기술, 안전관리 및생산효율 제고 기술 등) 구 분 원유 천연가스 석탄 매장량(억TCE) 30 24 1,347 매장량비중 2.1% 1.7% 96.2% 가채년수(년) 15 59 113 수입비중(03‘) 40% 0 0 [Source : 중국석탄경제연구회 2006]

  9. II. 중국에너지산업 전망 재생가능 에너지 에너지 소비량과 CO2 배출량 세계 2위인 중국은 에너지 안정공급과 기후환경 부담으로 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20년 15% 까지 올릴 계획이며, 11.5기간 중 재생 에너지 분야에 2조RMB를 투입 계획임. 중국 내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에 대한 경제적 우대, 강제적인 발전 목표 설정, 새로운 기술 도입 등으로 향후 시장전망이 밝은 비곡물 에너지, Bio 디젤, 풍력 에너지 등이 발전을 주도할 것임. 재생가능 에너지 현황 산업 전망 • 중국의 재생가능 에너지 이용률은 매우 낮음. • 에너지 수급/환경오염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국정부는 재생가능 에너지개발을 에너지산업의 장기적 전략 과제로 삼았으며 재생가능 에너지 개발을 추진 중임. • 2010년까지 재생가능 에너지가 1차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10%, 2020년 15%까지 증가 태양열 풍력 수력 에탄올 2005년 2010년 2020년 단위: 태양열/풍력 (만KW),수력 (억kw), 에탄올 (만톤/년) 출처: 발개위 《可再生能源中长期发展规划》

  10. III. 한∙중에너지 협력 과제 • 한∙중 양국의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개발/활용을 위한 협력방안에 대하여 4가지 분야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음. 첫째, 원유의 탐사/개발, 둘째, 원유의 구매/수송/비축, 셋째, 석유제품의 생산/저장 분야, 넷째, 환경 및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이며, 이에 대해 양국간에 상세한 공동검토가 필요함. • 첫째는원유의 탐사/개발 분야임. • 유전 탐사/개발은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일임. • 유전개발의 성공 확률은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자원보호주의 심화 및 치열한 광구확보 경쟁으로 개발비용이 급증하고 있어, 양국간 전략적 협력을 통한 유망광구 확보 및 Risk 분산을 통한개발 Cost 절감이 필요함. • 유전개발과 관련하여, SK에너지는 그 동안 28개국 60여 개 E&P 사업 참여 경험을 가진, 한국 민간석유회사로서는 가장 활발하게 해외 유전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업체임. • 중국 국영석유기업도 이 분야에 오랫동안 기술과 경험을 축적해 온 전문 기업으로 향후 교류를 통해 새로운 협력기회를 창출해 나갈 수 있을 것임. • 대상지역으로는 중국내 또는 중국의 영향력이 큰 아프리카 지역 등을 우선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향후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함. (해외 에너지 공동개발)

  11. III. 한∙중에너지 협력 과제 • 둘째는 원유의 구매/수송/비축 분야임. • 원유 수입량이 한국은 '05년 226백만 배럴에서 '20년 275백만 배럴, 중국은 '05년 339백만 배럴에서 '20년 905백만 배럴, 일본은 '05년 540백만 배럴에서 '20년460 백만 배럴로 예상되는 상황하에서는 동북아 소비국 간의 협력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음. • 최근 급증하는 중국의 에너지 수요는 양국간 무한경쟁 시 한국에게 위협요인이지만, 협력을 통해 공동 대처하면 새로운 기회도 가능할 것임. (양국 협력의 필요성) • 원유수입대국인 중국(3위)과 한국(5위)이 협력하여 공동구매/공동수송을 할 경우, 유가 안정 및 수송비용 절감 등 양국의 국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일본(수입 2위) 등 다른 수입국들까지 협력한다면 각 국의 석유공급 효율 개선에 더욱 힘을 발휘할 것임. • 에너지 확보를 둘러싼 국제경쟁이 가열되면서 안정적 에너지 수급은 한국 및 중국의 안보, 지속적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로 대두됨.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 • 자원보유국의 실리주의, 소비국간 선점 경쟁, 해상수송로의 지정학적 위험 등으로 인해 석유가격이 상승하고 장기적 신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음. • 이에 따라 수급 구조의 안정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비축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추세임. • 원유 비축시설의 공동 활용 등을 통해 비축 효율성을 제고할 경우 양국의 에너지 안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공동비축)

  12. III. 한∙중에너지 협력 과제 • 셋째는 석유제품의 생산/저장 분야임. • 정유/화학산업은 장치산업의 특성상 공장건설에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제품별로 수급 불균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석유제품 가격의 불안정을 유발하게 됨. • 중국도 이런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양국간 석유정제/유화설비를 공동 활용할 경우 과잉 중복 투자 및 유휴설비 문제를 줄일 수 있고, 제품별 수급불균형에 의한 가격 불안정성을 축소하는 등 국제분업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넷째는 환경 및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임. • 전세계적 Issue인환경보호 및 지구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국은 공동 협력하여야 함. •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산업활동이 활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 세계 2위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2006년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2.8%를 차지하였음. • SK에너지는 40여년 이상 축적한 에너지 절약 및 효율개선 기술/Know-how를 통해 온실가스, 대기오염물질, 수질오염물질 및 산업폐기물을 법정기준 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관리해 왔으며, 한국 울산에서 매립지 부생가스와 같은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화가 가능한 환경사업 경험을 갖고 있음. • 한국기업과 중국기업 간에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에너지 절약 및 효율개선 기술/Know-how의 상호 교류를 추진하고, 중국의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에서 양국간 공동협력사업을 추진해 나간다면 양국간 CDM사업 추진 및경제협력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 * CDM(청정개발체제) :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선진국이 개도국에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벌이면, 그 감축분을 자국의 삭감 실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 CDM사업으로 삭감한 배출분은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 가능

  13. End of Documen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