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 목차 1. 원가란 무엇인가 ? 2. 기업의 종류와 원가 3. 원가의 흐름

제 9 장 원가와 경영. ◆ 목차 1. 원가란 무엇인가 ? 2. 기업의 종류와 원가 3. 원가의 흐름. 제 1 절 원가란 무엇인가 ?. 1. 원가와 원가회계 ◆ 원가의 중요성 ▶판매가격의 결정요인 ⇒ 이익 또 는 손실 ▶공공요금 ( 예를 들면 전화요금 , 우편요금 , 전력요금 , 가스요금 등 ) 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에 기초하여 결정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 목차 1. 원가란 무엇인가 ? 2. 기업의 종류와 원가 3. 원가의 흐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9장 원가와 경영 ◆ 목차 1. 원가란 무엇인가? 2. 기업의 종류와 원가 3. 원가의 흐름

  2. 제1절 원가란 무엇인가? • 1. 원가와 원가회계 • ◆ 원가의 중요성 • ▶판매가격의 결정요인 ⇒ 이익 또 는 손실 • ▶공공요금(예를 들면 전화요금, 우편요금, 전력요금, 가스요금 등)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원가에 기초하여 결정 • ▶원가회계(cost accounting): 생산에 투입된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의 요소를 파악하여 제품의 원가를 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

  3. 2. 원가와 비용 • ◆ 원가(cost):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치른 대가의 측면을 말함 • ▶원재료, 상품, 비유동자산 등을 취득하기 위해 지출한 금액 • ◆ 비용(expense): 그 자원이 사용되어 혜택을 준 측면을 말함 • ▶판매비, 관리비, 이자비용 등에 지출한 금액 [그림 9-1] 원가와 비용 (재무상태표)

  4. 3. 관리회계와 재무회계 • ◆ 관리회계(management accounting): 조직의 내부 의사결정자에게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하여 경영관리에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 •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결정 • ▶시설확장의 경제성 평가 • ▶자체생산 또는 외부주문의 결정 • ▶특별주문수락의 결정 • ▶제품라인의 추가

  5. ◆ 관리회계와 재무회계의 비교 • ▶단, 원가회계는 내부의사결정 목적의 관리회계 측면과 외부보고 목적의 재무회계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표 9-1>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6. 제2절 기업의 종류와 원가 1. 도소매기업의 원가 ◆도소매기업: 물건을 사서 그대로 팔거나 포장 등을 약간 변경한 후 판매하는 것을 주요 영업으로 하는 슈퍼마켓, 백화점 등의 기업 ▶상품: 판매를 위해 구입한 물건 ▶구입한 시점에 상품 취득원가 발생 ▶상품이 팔리면 매출원가라는 비용으로 기록 ▶상품 취득원가: 상품을 구입할 때 판매한 측에 지급한 금액뿐만 아니라 운임 등의 모든 부대비용을 포함 ▶판매비 및 관리비: 판매와 일반관리활동을 위해 쓰인 비용 ⇒ 기간비용

  7. 수입품의 원가 • 청바지, 화장비누, 아동복 등 수입상품의 판매가격은 수입원가의 4배, 스키, 커피잔 세트, 화장품, 원두커피 등은 3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수입상품의 유통마진율은 같은 품목의 국산제품보다 평균 5배 이상 높으며 이처럼 높은 유통마진의 절반 이상이 수입업체에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소비자보호원이 4일 발표한 ‘주요 수입상품 유통마진 실태조사결과’에 따르면 수입상품의 평균마진율은 209%로 동종의 국산품 마진율 40.4%보다 5.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비누, 냉장고, 청소기 등 일부 상품은 10배나 높았다. • (매일경제신문 기사 수정요약)

  8. 백화점 판매수수료 최고 38% • 공정거래위원회는 23일 대형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 현황 및 정책대응 방안 보고서(한국유통학회)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공정위가 한국유통학회(회장 이승창 항공대학교 교수)에 의뢰해 작성된 것이다. • 보고서에 따르면 신세계, 롯데, 현대 등 국내 백화점 상위 3사의 판매수수료율(의류제품기준)이 35~3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품목별 판매수수료율에서는 패션잡화, 숙녀복, 골프웨어가 35~ 4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으며 중간 규모와 하위 규모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율은 각각 28~32%, 15~25% 수준으로 파악됐다. • TV홈쇼핑의 경우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34% 수준으로 조사됐으며, 패션, 의류, 건강식품은 수수료율이 35~40%에 육박했다. •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 2010.2.23)

  9. ◆ 휴대폰 가게의 예 • ▶판매할 휴대폰을 구입하는 원가 • ▶직원의 인건비 • ▶매장과 창고의 임차료 • ▶전기료, 수도료, 전화요금 등 시설운영비 • ▶소모품비 • ▶광고선전비 • ▶매장의 기계 및 비품의 감가상각비

  10. <표 9-2> 휴대폰 가게의 1개월간 비용 (단위: 천원)

  11. <표 9-3> 휴대폰 1대의 원가 (단위: 원) ◆ 직접비(direct cost): 제품, 서비스, 부문 등의 특정 원가대상에 추적이 가능한 원가 ▶휴대폰의 매입원가 ◆ 간접비(indirect cost) 또는 공통비(common cost): 여러 상품에 공통적으로 발생하여 추적이 어려운 원가 ▶인건비, 임차료, 시설운영비, 광고선전비, 감가상각비 등

  12. 2. 제조기업의 원가 ◆ 제조기업: 원재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어서 판매하는 기업 ▶제품: 판매를 위해 제조한 물건 ▶제조원가 •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 [그림 9-2] 제조원가의 분류 직접재료비 직접 간접 (재료비) 직접재료비 직접 직접노무비 간접 직접노무비 (노무비) 제조간접비 (제조경비) 제조간접비

  13. ▶ 간접재료비: • 제품제조에 사용되지만 제품별로 추적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거나, 그 가격이 상대적으로 작아 제품별로 추적하는 것이 비경제적이어서 제조간접비의 일부로 단순하게 집계하는 항목. 커피전문점의 경우 커피와 녹차에 같이 사용하는 시럽이나 크림 • ▶ 간접노무비: • 여러 제품의 생산에 공통적으로 관여하는 인력의 노무비. 커피와 녹차를 같이 만드는 사람도 간접노무인력임.

  14. <표 9-4> 커피의 제조원가 (단위:원)

  15. 3. 서비스기업의 원가 • ◆ 서비스업(service company): 유형의 재화를 제공하는 대신에 •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 ▶ 버스, 철도, 항공 등의 운송사업 • ▶ 우편, 전화 등의 통신사업 • ▶ 은행, 보험 등의 금융사업 • ▶ 회계서비스 • ▶ 법률서비스 • ▶ 병원·보건소 등의 의료서비스 • ▶ 학교, 학원 등의 교육서비스 • ▶ 호텔 등의 숙박서비스 • ▶ 연극·영화 등의 공연서비스 • ▶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경찰, 국방

  16. ◆ 서비스업의 특징 • ▶재료가 거의 필요 없음 (대부분 소모품) • ▶설비관련 원가와 인력관련 원가가 대부분을 차지 • ▶시설에 대한 경비와 공통 인건비를 어느 업무에 할당할지를 • 정하기가 어려움

  17. 4. 산업별 원가구조 <표 9-5> 산업별 원가구조 (단위: %) [자료: 2010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

  18. 재료구입 재료사용 제품완성 판매 재료창고 매 장 작업장 공 재료창고 제조인력 판매 및 관리 인력 시설 생산설비 등 • 제3절 원가의 흐름 • 1. 제조기업의 원가흐름 • ◆ 원가의 흐름 • ▶ 재료창고 ⇒ 작업장 ⇒ 매장 ⇒ 판매 • [그림 9-3] 제조기업에서 재료와 제품의 흐름

  19. 당기총제조원가 매출원가 당기제품 제조원가 재료구입 원가 재료비 재료 재고액 재공품 재고액 제품 재고액 노무비 경 비 판매비 및 관리비 [그림 9-4] 제조원가의 흐름 • ◆ 제조기업의 재고자산 • ▶재료(materials) • ▶재공품(work-in-process): • 제조공정에서 작업되고 있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의 물건 • ▶제품(finished goods)

  20. ◆ 당기총제조원가(total manufacturing cost): 특정 기간에 생산에 투여된 재료비, 노무비, 제조경비의 ⇒ 투입물원가 ◆ 당기제품제조원가(cost of goods manufactured): 당해 기간에 완성된 제품의 제조원가 ⇒ 산출물원가

  21. 기초재료 재료구입 기말재료 기초재료 재료구입 기말재료 재료비 재료비 재고액 원가 재고액 재고액 원가 재고액 900만원 100만원 1,000만원 200만원 • ◆ 예 • ▶재료비: 부품의 기초재고 100만원어치로 시작. • 기간 중에 부품을 추가로 1,000만원어치 구입하여 사용. • 기말재고 200만원어치 남음.

  22. 당기 총제조원가 기초재료 재료구입 기말재료 재료비 노무비 경비 재료비 재고액 원가 재고액 2,400만원 900만원 500만원 1,000만원 • ▶총제조원가: • 제품을 제조하는 조립작업과 포장작업 인원에 대한 • 총노무원가 500만원 발생. • 동력비, 시설 감가상각비 등의 경비가 1,000만원 발생.

  23. ▶ 재공품 및 제품제조원가: • 기초재공품 200개(200만원)로 작업 시작하여 완성. • 추가로 1,800개의 제품이 작업되었고, 이 중 1,400개가 완성되어 총 1,600개의 제품 완성. • 기말재공품 400개(400만원) 남음. 당기제품 제조원가 기초재공품 재고액 당기 총제조원가 기말재공품 재고액 기초재료 재료구입 기말재료 재료비 재고액 원가 재고액 2,200만원 200만원 2,400만원 400만원

  24. [기초시점] [기간중] [기말시점] 유 입 기초재고 기말재고 기초재고 유출 [그림 9-5] 재고와 원가의 흐름 2. 제조원가명세서 ◆ 제조원가명세서: 제조원가의 흐름과 당기제품제조원가가 계산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부속명세서 ▶ 특정회사의 원가구조와 구체적 구성항목을 알 수 있다.

  25. <표 9-6> 제조원가명세서

  26. 기초제품재고액 (400개) 400만원 매출원가 (1,900개) 2,470만원 매출원가 총판매가능제품원가 (2,000개) 2,600만원 (단위당 원가 13,000원) 기말제품재고액 (100개) 130만원 당기제품제조원가 (1,600개) 2,200만원 당기제품제조원가 기말제품재고액 • ▶매출원가: • 기초제품재고 400개(400만원). • 1,600개의 제품을 제조(제조원가 2,200만원). • 1,900개의 제품을 판매. • 기말제품재고 100개 남음.

  27. 재료구입액 당기총제조원가 노무원가, 제조경비 재료원가 당기제품제조원가 재 료 매출원가 재공품 제 품 [그림 9-6] 제조원가의 흐름

  28. 2010년 제조업 제조원가명세서 한국은행이 ‘기업경영분석’에 집계하여 발표한 2010년 제조업 전체기업 합계의 제조원가명세서는 오른쪽과 같다.

  29. <사례연구 9-1> 원가항목과 구성비 서점, 책대여점, 문구점, 분식점 등 우리 주변의 소규모 사업체를 하나 골라, 그 사업을 위해 1달간 어떤 종류의 비용이 어느 정도의 금액으로 발생하는지 조사하시오. 각 비용이 전체 비용의 몇 %를 차지하는지 계산하시오. 그 사업체가 제공하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하나를 골라 그 제품이나 서비스의 단위당 총원가를 계산하시오.

  30. <사례연구 9-2> 아파트 분양원가와 분양가격다음 기사와 추가 관련 자료를 사용하여 아파트 분양원가를 고려한 아파트의 적정가격에 대하여 논의하라.아파트 분양원가 어떻게 산정했나‘원가의혹’약간 해소…도개공 분양이익이 더 커‘논란’서울시 도시개발공사가 시공한 상암 7단지 40평형의 분양원가가 공개됨에 따라 분양원가 산정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양원가 공개는 사상초유의 일로, 도개공이 제시한 계산방식이 향후 민간업체가 시공하는 아파트의 분양원가를 산출할 때 근거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해 도개공도 민간회계법인에 용역을 의뢰, 기업회계기준의 순수공사원가에 토지매입 이자, 건설자금 이자 등을 포함해 분양원가를 계산했다고 밝혔다. 도개공이 공개한 상암 7단지 분야원가는 736만원, 이는 실제 분양가(1천210만원)보다 474만원가량 낮은 액수이다.

  31. 어떻게 산정됐나?가장 관심이 모아졌던 토지비 산정은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삼았다. 상암 7단지 40평형 162가구만을 따질 때 도개공은 지난 2002년 서울시로부터 7단지 부지 3천764평을 평당 532만원, 총 200억 2천700여만원에 사들였다. 그러나 분양연면적이 6천546평인 점을 감안하면, 평당 순수 대지비는 약 305만원이 나온다.도개공은 여기에 평당 건축비 340만5천원(총 222억 6천여만원)과 토지비 이자 및 건설자금 이자,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부가가치세 등을 합한 기타비용(평당 90만2천원)을 더해 736만원이라는 분양원가를 도출해냈다.건축비에는 건축공사비 15억 6천600만원을 비롯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조경공사비와 설계비, 감리비, 승강기 설치, 기타 부대비, 간접공사비, 부가가치세(191억 2천585만원) 등 12가지 항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분양원가보다 474만원가량 분양가를 올려 아파트를 공급한 도개공은 총 310억원의 분양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32. 건축비, 부풀리기 논란 이번 원가공개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은 건축비이다. 도개공은 공사비 명목으로 건축공사비, 토목공사비, 전기공사비 등을 합해 총 222억 6천300여만원을 제시했다. 분양면적(6천546평)기준으로는 평당 340만원, 지하주차장 등을 포함한 건립연면적(8,939평)으로 따지면 평당 253만원에 달한다. 문제는 도개공이 밝힌 공사원가와 7단지 시공을 맡은 진흥기업과의 도급계약 금액이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도개공은 진흥기업과 아파트 33평형, 40평형 733가구와 상가 등을 건립하는 데 필요한 건축, 토목, 기계, 승강기 등 4개 공사에 대해 총 554억 6천708만원에 계약했다. 그런데 도개공이 162가구에 대해 밝힌 4개 항목 비용은 196억 2천 300여만원이다. 이는 건립연면적 기준으로 평당 219만원에 달해, 도급금액과 평당 60만원의 차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이에 대

  33. 해 김승규 도시개발공사 사장은 “도급계약 금액은 평당 59만원이지만 추가로 설계변경 등의 명목으로 121억 4천여만원이 책정돼 있기 때문에 향후 추가 계약을 맺을 경우 평당 94만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우윤재 간사는 “건교부에서 공시한 표준건축비 등을 기준으로 따져봤을 때 일반 아파트의 적정 건축비는 평당 250~290만원선”이라고 했다. 분양원가 공개 배경 그동안 주택업계 등은 아파트를 분양하면서 분양원가를 공개하지 않아 ‘폭리를 취한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이 앞장서 이 같은 의혹을 일정 부분이나마 해소하겠다는 취지에서 분양원가 공개가 추진됐다. 그러나 대한주택공사나 민간업체들은 “분양

  34. 원가 공개는 분양가 규제로 이어지며 주택공급시장의 위축을 초래한다”며 반발해 왔다. 이를 의식한 듯 김승규 사장은 “분양원가는 사업 지구의 토지시세 등 사업여건에 따라 차이가 난다”면서 “개발방식과 택지확보 방법이 서로 다른 민간업체와 분양원가를 단순 비교 분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도개공은 상암 7단지 40평형 분양가를 단순하게 주변 민간업체 시세에 맞춰 공급해 ‘공공기관이 앞장서 분양가를 높인다’는 비난을 받아왔던 터다. 더구나 시로부터 싼 가격에 토지를 구입, 분양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개공이 민간업체보다 훨씬 많은 분양수익을 거둔 셈이어서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5. 도개공은 “분양가격을 시세보다 낮게 책정하면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자만 이익을 보게돼 지난해 마포, 용산 지역의 평균 동시분양가에 맞춰 책정했다”고 말한다. 도개공은 분양수익 310억원 가운데 210억원은 임대아파트 건립에, 100억원은 고교생 장학금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나 임대아파트 건립은 도개공의 존립근거인 만큼 200억원은 순이익으로 봐야 된다는 지적도 있다. 김 사장은 “앞으로 전용 32평 혹은 그 이상의 중대형 임대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이라며 “필요하면 분양원가를 추가 공개하겠다”며 오는 7월 분양되는 상암지구 40평형 433가구에 대해서도 분양원가를 참고해 책정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기사 수정 요약)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