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2009. 2. 28 Ghiback Kim. 목 차. 개 요 문제 제기 대안 모델 적용 사례 구현 화면 기대 효과 향후 연구방향. 1. 개 요. 논문 제목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논문 개요 무기체계 개발 과정에 있어 주장비 (Primary Equipment) 의 요구사항 및 구현 방법과

minga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2009. 2. 28 Ghiback Kim

  2. 목 차 개 요 문제 제기 대안 모델 적용 사례 구현 화면 기대 효과 향후 연구방향

  3. 1. 개 요 논문 제목 효과적인 종합군수지원 요소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관리 모델 논문 개요 무기체계 개발 과정에 있어 주장비(Primary Equipment)의 요구사항 및 구현 방법과 종합군수지원(ILS: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요소의 요구사항 및 구현방법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종합군수지원 요소의 개발 요구사항이 주장비의 요구사항과 다른 방법으로 관리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

  4. 2. 문제 제기 (1/2) 기존의 무기체계 연구개발 과정에서 요구사항 관리 방법 LOA: Letter of Agreement, 개발동의서 ORD : Operational Requirements Document, 운용요구서 SRD : System Requirements Document, 시스템 요구서 OT Plan : Operational Test Plan, 운용시험평가 계획서 DT Plan : Development Test Plan, 개발시험평가 계획서 현행 요구사항 관리 모델 LOA derived by ORD Verifies OT Plan satisfies SRD Validate DT Plan

  5. 2. 문제 제기 (2/2) 종합군수지원 요구사항의 특징 요구사항의 많은 부분이 업무수행지침 같은 요소가 사용자 요구사항으로 식별 (업무 수행절차, 적용기준, 개발 일정, 개발 요구자료 등) 개발 기간 중에 많은 사용자 요구사항 및 시스템 요구사항이 Stakeholder가 참여하는 회의(ILS-MT: ILS Management Team, ILS-TM: ILS Technical Meeting)를 통해 결정 요구사항이 주로 정성적(적합, 적절, 타당, 가능)이라 시험항목 식별에 부적절 현행 관리 모델 적용의 문제점 시험평가 항목 식별의 어려움 개발 기간 중 회의를 통해 결정되는 사용자 요구사항 추적의 필요성

  6. 3. 대안 모델 (1/2) 개선된 요구사항 관리 모델 제시 ORD로부터 SRD를 도출할 때 ORD의 시험이 가능한 항목과 추가로 시험이 가능한 항목을 찾아서 SRD 항목으로 식별 업무 수행과 관련된 요구사항, 정성적인 요구사항을 찾아서 업무수행 요구사항 (SOW: Statements of Work)로 별도 식별하여 ORD와 추적성 관리 회의를 통해 결정된 사항을 결정사항목록 (DID : Decision Items Description)으로 식별하여 관련 요구사항(ORD, SRD, SOW)과의 추적성 관리 기존의 모델에 2종의 신규 문서 추가 SOW : Statements of Work, 업무수행지침서 DID : Decision Items Document, 결정항목 기술서

  7. 3. 대안 모델 (2/2) 개선 모델 LOA DID derived from affected by cleared by Verifies ORD OT Plan satisfies SOW SRD Validate DT Plan

  8. 4. 적용 사례 (1/2) 적용 대상 : 전술전자정보수집장비(TAC-ELINT)의 종합군수지원 요구사항 개발 기간 : 2007.12 – 2011.12 구현 문서 : LOA, ORD, SRD, SOW, DID, LSAP, RAMP 구현 도구 : IBM DOORS 9.1

  9. 4. 적용 사례 (2/2) 개선 모델 LOA: 105건 DID: 54건 derived from affected by cleared by Verifies ORD: 152건 OT Plan satisfies SOW: 81건 SRD: 182건 Validate DT Plan

  10. 5. 구현 화면 – Import File (SRD)

  11. 5. 구현 화면 – DOORS Database

  12. 5. 구현 화면 – LOA

  13. 5. 구현 화면 – ORD

  14. 5. 구현 화면 – SRD

  15. 5. 구현 화면– Link Set을 이용한 요구사항 간 추적성

  16. 5. 구현 화면 – 추적성 분석 (LOA←ORD)

  17. 5. 구현 화면 – 추적성 분석 (ORD←SRD)

  18. 5. 구현 화면 – 추적성 분석 (LOA←ORD←SRD)

  19. 5. 구현 화면 – Export File(SRD)

  20. 6. 기대 효과 새로운 모델의 적용에 따라 기존 모델에서 식별된 문제점 해결 ORD로부터 업무수행 요구사항 (SOW)을 별도로 식별함으로써 시스템 요구사항이 명확해지고 향후 SRD 기반의 시험평가가 항목 식별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 결정사항기술서 (DID)과 관련 요구사항과의 추적성 확보를 통하여 각종 여러 회의시 결정된 사항의 목록을 일목요현 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회의 결정사항이 어떻게 요구사항에 반영되고 있는지, 진행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검토 사항 관리 대상 문서의 증가

  21. 7. 향후 연구방향 DT Plan, OT Plan 작성을 통한 개선 모델의 기대효과 확인 SOW의 영향을 받는 하위 문서의 식별 및 관리 필요성 LSAP : Logistics Support Analysis Plan, 군수지원분석 계획서 RAMP :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Plan, RAM 분석 계획서 SOW LSAP RAMP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