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4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 과 스틸컷 재인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 과 스틸컷 재인. 실험 연구법 A 조. 목 차. 1. 주제 2. 실험 동기 3. 연구 배경 4. 스틸컷 실험 & 동영상 실험 1) 실험 목적 및 가설 2) 변인 및 측정 방법 3) 실험 내용 4) 실험 분석 결과 5) 논의 및 연구의 한계점. 실험연구법 A 조. 주 제 . 문화의 차이에 따른 공포반응 차이. 공포영화가 다 무섭다는 편견을 버려 !. 실험연구법 A 조. 실험 동기. 서양공포영화가 무서울까요 ,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 과 스틸컷 재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화에 따른 공포 정서의 차이 ; GSR과 스틸컷 재인 실험 연구법 A조

  2. 목 차 1. 주제 2. 실험 동기 3. 연구 배경 4. 스틸컷 실험 & 동영상 실험 1)실험 목적 및 가설 2)변인 및 측정 방법 3)실험 내용 4)실험 분석 결과 5)논의 및 연구의 한계점 실험연구법 A조

  3. 주 제 문화의 차이에 따른 공포반응 차이 공포영화가 다 무섭다는 편견을 버려! 실험연구법 A조

  4. 실험 동기 서양공포영화가 무서울까요, 동양공포영화가 더 무서울까요? -> 네이버 지식인 질문 중 실험연구법 A조

  5. 연구 배경(1) 정 서 강한 강도, 정보처리 두뇌 판단 과정에 의해서 발생 뚜렷한 원인 행동의 전 단계에서 임의의 자극이 주어질 때 나타나는, 생리학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반응 실험연구법 A조

  6. 연구 배경(2) 인지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 문화가 인지에 미치는 영향 인지도식 정서촉발 사건에 대한 판단 여부 인지 정서 행동 문 화 실험연구법 A조

  7. 스틸컷 실험

  8. 실험 목적 실험 2. 동서양 사진에 대한 재인률 차이 측정 공포의 전형성 요인 중 조명의 차이에 의한 재인률 측정 실험 1. 동서양 공포 사진에 따른 반응의 차이 측정 실험연구법 A조

  9. 가설 및 변인 • 실험1-1 독립변인: 동양과 서양의 공포 사진 종속변인: 공포반응 차이 가설: 동양에 대한 공포반응이 서양보다 높을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10. 가설 및 변인 • 실험1-2 독립변인: 공포사진에 대한 친숙함의 정도 • 종속변인: 재인율 가설: 친숙한 동양의 공포사진이 서양의 것보다 재인율이 높을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11. 가설 및 변인 • 실험1-3 독립변인: 공포 사진의 색상 변화 • 종속변인: 재인율 • 가설: 공포 사진의 전형적인 색상의 변화가 재인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12. 실험 개요 • 날 짜 : 2004년 6월 2일 수 ~ 8일 화 • 장 소 : 중앙대 도서관 6층 실험실 • 참여자 : 중앙대 재학생 30명(20세~27세) • 도 구 : 컴퓨터 1대. 실험연구법 A조

  13. 실험 1-1. 절차 • 동서양 스틸컷 각각 16장씩, 총 32장 제시 • 5초 간격으로 스틸컷 제시 • 제시 순서는 랜덤 • 4점 척도에 의해 무서운 정도 체크 (안무섭다-별로 무섭지 않다-조금 무섭다-아주 무섭다) • 개방형질문 1) 가장 기억에 남는 사진 2) 가장 공포스러웠던 사진 3) 그 사진이 공포스러웠던 이유 실험연구법 A조

  14. 실험 1-2. 절 차 • 실험 1에서 제시한 32장의 스틸컷 중 동서양 스틸컷을 각각 5장씩 색상 변형 • 변형된 10장의 스틸컷 + 실험 1에서 제시했던 나머지 22장의 스틸컷 : 총 32장의 스틸컷 제시 • 5초 간격으로 스틸컷 제시 • 제시 순서는 랜덤 • 재인 유무 측정(예 –아니오) 실험연구법 A조

  15.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1 연구결과     동서양 공포반응(무서움의 정도)의 t-test 실험연구법 A조

  16. 실험 분석 결과

  17. 동 양 서 양 • 3.17 2.90 • 3.07 2.87 • 3.03 2.57

  18. 개방형 질문 분석 • Q) 제일 무서웠던 사진은? • A) 9명 실제로 일어날 수 있어서 무서울 때 이불 속에 숨는데 그 곳에까지 귀신이 나타나서 • 6명 많이 봐왔던 장면이라서 학교 괴담이 생각이 나서

  19. 그 외의 이유 • 얼굴이 또렷이 안 보임에 따른 불확실성 때문 • 징그러워서 • 처음 보는 장면이라서 • 공포 영화의 한 장면 같아서 • 분위기가 음산해서 • 섬뜩한 느낌 • 평소에 그런 상상을 해서 실험연구법 A조

  20.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2 연구결과     동서양 스틸컷 재인률 비교

  21. 실험 분석 결과 실험 1-3 연구결과    색상의 변화 인식비교

  22. 제 한 점 및 논 의 점 • 외적 타당도의 결여 • 실험 장소의 통제성 결여 • 순서 효과 • 제언 : 전형적인 공포 유발 요소 확장

  23. 동영상 실험

  24. 실험 목적 문화의 차이에 의해 공포반응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본다. 실험연구법 A조

  25. 가 설 한국인은 한국적 정서를 반영하는 영상에 더 많은 공포를 보일 것이다 실험연구법 A조

  26. 변인 및 측정 방법(1) 독립변인: 헐리우드 공포영화, 토요미스테리 종속변인: GSR 반응 , 사후질문 답변 조작적 정의: 공포반응 영상에 의한 생리/ 인지적 반응 생리반응: GSR 측정 시 피부전기반응 활성화 정도 실험연구법 A조

  27. 변인 및 측정 방법(2) 인지반응: * 가장 인상적이었던 장면 * 가장 무섭다고 생각된 연상 * 기억에 오랫동안 남는 정도 실험연구법 A조

  28. 실험 내용 실험장소: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실험실 실험기기: 스톨팅사 폴리그래프 실험영상: 토요미스테리 수원지편, 토요미스테리 하숙집편, 이블데드, 데드캠프 참여자: 20명 실험연구법 A조

  29. 분석 결과 (사후 인터뷰1) 실험연구법 A조

  30. 분석 결과 (사후 인터뷰2)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 토요미스테리 하숙집 편 후반부 아이 시체 나오는 장면 서양의 공포 잔인 피 엽기적인 살인 극적인 요소 한국적인 공포 원한 처녀귀신 분위기 실험연구법 A조

  31. 분석 결과(통계 검증) 반복 측정 T-test를 통해 처치간에 유효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 실험연구법 A조

  32. 결과 논의 • 한국적인 공포를 소재로 한 영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GSR활성화 정도가 높다. • 사후질문 중 한국적 공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단어는 원한, 처녀귀신이고 서양적 공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았던 단어는 잔인, 피이다 • - 영상제시 실험 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실시한 사후인터뷰에서 한국적인 공포를 소재로 한 영상이 좀더 기억에 남았다. 실험연구법 A조

  33. 연구의 한계점 • - 정서를 정확하게 구분 짓기가 힘들다. • 폴리그라프 결과의 한계 • 사후질문을 리커트 척도로 제시하지 못함. • 선행연구 부족 실험연구법 A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