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X-Ray VS CT. V o l . 2.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CT SYSTEM. X – RAY VS CT … 그 두번째 이야기.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1972 년. Hounsfield announces. 이번에는 많은 고민 끝에 CT 를 발명하게 됩니다. 세계 최초의 CT. 1 세대로 불리는 Hounsfield 가 발명한 CT. 투영영상만을 촬영하던 X-RAY 에서

tab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X-Ray VS CT • V o l . 2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2. CTSYSTEM • X – RAY VS CT … 그 두번째 이야기 •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김지혜

  3. 1972년 • Hounsfield announces • 이번에는 많은 고민 끝에 CT를 발명하게 됩니다.

  4. 세계 최초의 CT 1세대로 불리는 Hounsfield 가 발명한 CT • 투영영상만을 촬영하던 X-RAY에서 • 인체의 단면을 볼 수 있는 단면영상을 찍어내는 CT의 발명은 정말 의학적으로 큰 발견이였습니다.

  5. 그럼 CT의 원리를 • 알아볼까요?!

  6. 10초 만에 알아보는 CT 의 촬영 원리 • .1 . X- RAY TUBE 에서 X-RAY선을 발생시킨다. • 2. . 검사하고자 하는 물체를 통과하여 지나간다. • 3 . 물체를 지나온 X-RAY의 양을 감지한다.

  7. 복사 붙여 넣기를 • 잘못 한 것이 아니에요 -_ㅠ • 단,

  8. X-RAY 처럼 그냥 한장만 찍는 것이 아니라 …

  9. 360도를 돌면서 • 혹은 그 이상을 돌면서,, • 400~1200장까지 • 많은 X-RAY사진을 찍어대는 겁니다.

  10. 세계 최초의 CT 이미지 1세대로 CT로찍은 사람의 머리 이미지 • 단순히 투영하던 영상이 아니라 • 이제 인체 내부를 정밀 하게 볼 수 있겠다 하는 가능성을 열어주었습니다.

  11. 현대의 CT이미지 사람의 머리 이미지 GE LightSpeed scanner(2001) • 그 발전가능성은 30년 후에 • 좀 더 정밀하게 인체의 단면영상을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12. X-RAY랑 • 원리가 똑같다면서요? • 많이 찍는다고 인체의 단면을 어떻게 보나요?!

  13. Tomography: • Tom(자르다)+graphy(사진촬영술)

  14. CT : • Computed Tomography • 컴퓨터로 + 잘라낸 사진촬영술

  15. 여기까진 단순 X-RAY 의 많은 촬영… • 쉽게말해, • X-RAY로 찍은 다량의사진을 • COMPUTER를 이용해서 • 단면으로 잘라내는 것입니다…. • X-RAY와 CT는 원리가 같은 형재라고 할 수 있지요…

  16. 앗,, 그런데?! • 컴퓨터로 어떻게 • 사진을 단층으로 잘라내는 거죠?

  17. 일단 X-RAY촬영을 • 적게는 400장 많게는 1200장을 • 360도 이상을 회전해 가면서 • 다량으로 찍어나 갑니다. • 그럼 적어도 400장의 X-RAY촬영과 같은 사진이 나오겠지요?!

  18. 예를들어, • 화살표로 표시된곳의 • 단면영상을 추출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 컴퓨터로 다음 이미지의 화살표로 표시된 딱 한줄만 띄어 가져옵니다.

  19. 회전하며 찍은400장의 이미지에서 • 아까와 같은 위치의 한줄씩 오려냅니다. • 그렇게 오려낸 이미지들을 • 보기 쉽게 한 장의 이미지에 쌓아올립니다. • 이 그림을 마치 싸인파와 같다고 하여 • 싸이노그램이라고 부릅니다.

  20. 이 사이노그램을 • Back Projection하게되면 • 다음과 같이 아까 얻고자했던 • 단면영상을 얻어 낼 수 있습니다. ^-^/~ • 앗 그런데,, Back Projection이 뭐냐고요?!

  21. 사이노그램에서 얻어온 데이터를 • 각각 찍었던 각도대로 돌려놓고 • 나중에 모두 포게어서Boa요, • 그러면 우리가 보고자 했던 단면의 영상이 나온답니다. • 이것을 Back Projection이라고 하고요, • CT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22. 다시한번 요약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X-Ray영상을 적게는 400장 이상 찍어냅니다. • 그 후, 얻고자 하는 단면의 한줄을 띄어서 붙입니다. • 띠어서 붙여낸 데이터들을 • 아까 원래의 각도대로 돌려서 붙여넣기를 합니다. • 이 모든걸 합쳐냈을때 우리가 원하던 단면영상이 출력됩니다.

  23. 다음 예제를 위해 • 힘차게 사진을 찍느라 고생해준 • 경희대학교 의료영상시스템 연구실의 • 마이크로 CT들의 모습입니다. ^-^/~ • 마이크로 CT는 • 병원에서 보는 CT보다 좀더 작은아이들을 촬영합니다. • 그냥 현미경 CT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_^/!

  24. 이렇게 X-Ray와 달리 • CT이미지는 투영영상이 아니라 • 원하는 위치의 단면의 이미지를 보여주게 됩니다. • 의사선생님들은 이 이미지를 보고 • 좀더 쉽게 결과를 분석할 수 있지요 ^-^! • 이 Page를 위하여 김태희 양이 수고해주셨습니다. ^-^/~ • 하지만 다음 CT 이미지는 김태희 양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

  25. CT 이미지 자체는 • 컴퓨터로 재구성된 이미지 이기 때문에 • 조금만 더 재구성하고 가공하게되면 • 단면 영상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3D 이미지도 가능합니다.

  26. 3D 이미지를 조금 더 가공하게 되면 • 사람의 몸 속에 카메라를 넣지 않아도 • 마치 카메라로 내부를 보는 듯한 내시경을 • 가상으로 흉내 낼 수 있답니다. ^-^/~ • 이제 내시경 때문에 속 고생 하는 일 없어지겠죠?! ㅋ

  27. 또 PET이라는 다른 의료영상 장비와 • 결합하여 영상을 결합해 내기도 합니다.. • 이렇게 다른 영상장비와의 결합으로 • 의사선생님이 좀 더 정확한 검사를 해 내실수 있으시겠죠?! • PET은 인체 의 기능을 눈으로볼 수 있는 최신의학장비입니다. • 단 영상이 너무 흐리게 나와서 이것만 보고는 진단하기 어려워요 ^^;;

  28. 이렇게 CT는 컴퓨터라는 큰 힘을 업고서 • 의사선생님들의 더 정확한진찰을돕기 위해 •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답니다 ^-^/~ • CT설명 끗!!, 다음 본격적으로 X-RAY VS CT 를 해 BOA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