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21C 재패니메이션

21C 재패니메이션. 포스트 에바와 모에. 표면적 성장. TVA 방영 편수 폭증 1993 년 32 편 1998 년 81 편 2006 년 145 편 시청자 수 폭증 약 3000 만. 모에란 ?(1). 어원 燃 え 燃 え 가 萌え 로 바뀌었다는 설 ‘공룡혹성’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 사기사와 ' 모에 '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S‘ 에 등장하는 세일러 새턴인 ’ 토모에 호타루 ‘ -> 명확한 어원이 존재하지 않음. 모에란 ?(2). 의미 캐릭터에 대한 유사 이성애적 호감

tamyr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21C 재패니메이션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1C 재패니메이션 포스트 에바와 모에

  2. 표면적 성장 • TVA 방영 편수 폭증 • 1993년 32편 • 1998년 81편 • 2006년 145편 • 시청자 수 폭증 • 약 3000만

  3. 모에란?(1) • 어원 • 燃え燃え가 萌え로 바뀌었다는 설 • ‘공룡혹성’에 등장하는 여주인공 '사기사와'모에' • ’미소녀전사 세일러문S‘에 등장하는 세일러 새턴인 ’토모에호타루‘ ->명확한 어원이 존재하지 않음

  4. 모에란?(2) • 의미 • 캐릭터에 대한 유사 이성애적 호감 • 인물, 사물, 국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대상을 적용 • 트윈 테일 '모에', 은발 '모에' • 로리'모에', 누님 '모에' • 츤데레, 쿨데레

  5. 모에란?(3)

  6. 모에란(4) • 모에의 소비 • 캐릭터 상품 시장 • 코믹마켓 등의 동인시장 • 웹 • 원작과 관계없이 캐릭터만을 가져와서 또 다른 단편들을 자체 제작하여 동인시장이나 웹에 게시

  7. 21C 재패니메이션의 상황(1) ‘미소녀, 동인풍’ 애니메이션의 폭증 2007년 약 40%에 육박

  8. 대표적인 ‘미소녀, 동인풍’ 애니메이션

  9. 21C 재패니메이션의 상황(2) • 오타쿠 층의 요구의 변화 • 각 건담 시리즈에 대해서 오래된 오타쿠들과 비교적 신진의 오타쿠들이 바라는 것이 다름 • 세련되고 강렬한 화면과 강한 캐릭터성과 모에를 요구 • 구, 신 세대간의 충돌

  10. 21C 재패니메이션의 상황(3) •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2가지 흥행 부류 • 아동용 • 지브리 스튜디오 제작 • 호평이나 기대받는 애니메이션의 흥행참패나 제작 중단 • ‘스팀보이’, ‘시간을 달리는 소녀’ 흥행실패 • ‘G.R.M The Record of GarmWar‘ 제작 중단 -> 사실상의 극장 애니메이션의 침체기

  11. 에반게리온이 가져온 변화 • 이야기에 몰입하기 힘든 구조 • 복잡한 설정 • 파격적인 전개 ->이야기와 설정에 따라가지 못해 캐릭터에 집중하는 시청자들이 증가 • 대 히트로 인한 캐릭터 상품시장 거대화 ->캐릭터 시장의 가능성을 제시

  12. 결론 • 애니메이션의 연간 상영 편수는 증가 • 애니메이션 시청자는 감소 • 애니메이션 제작 타겟의 범위가 축소 • 주로 오타쿠를 대상 • 오타쿠들은 애니메이션 자체보다 캐릭터에만 집중 ->기반 취약화, 애니메이션 자체의 소비감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