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nmon 매뉴얼

nmon 매뉴얼. nmon 이란 ?. AIX 및 linux 를 위한 성능 모니터링 툴 Free IBM 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툴은 아님 IBM UK 의 Nigel Griffiths nag@uk.ibm.com 가 제작 두가지 모니터링 모드 실시간 일정 count 동안 로그 저장 저장된 로그 분석을 위해서는 nmon_analyzer 가 필요 Excel 로 작성된 macro 툴 Download nmon

vaugha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nmon 매뉴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nmon 매뉴얼

  2. nmon이란 ? • AIX 및 linux를 위한 성능 모니터링 툴 • Free • IBM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툴은 아님 • IBM UK의 Nigel Griffiths nag@uk.ibm.com가 제작 • 두가지 모니터링 모드 • 실시간 • 일정 count 동안 로그 저장 • 저장된 로그 분석을 위해서는 nmon_analyzer가 필요 • Excel로 작성된 macro 툴 • Download • nmon • http://www-941.haw.ibm.com/collaboration/wiki/display/WikiPtype/nmon • nmon analyzer • http://www-941.haw.ibm.com/collaboration/wiki/display/Wikiptype/nmonanalyser

  3. nmon의 설치 • Download 받은 nmonXX.tar.Z 을 대상 서버에 copy • Uncompress 및 tar file을 추출 • # uncomress nmonXX.tar.Z • # tar -xvf nmonXX.tar • README file을 참조 • 추출된 file 중 현재 OS 버전에 맞는 file을 적절한 directory에 nmon이라는 이름으로 copy • 예) cp ./nmon_aix53 /usr/bin/nmon • Command line에서 nmon이라고 입력하여 nmon 실행 • # nmon

  4. nmon 실시간 interactive 모드 • nmon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초기 화면 display • 이 상태에서 c 를 누르면 cpu 정보가 display • Top Process  ‘t’ key • Disk   ‘d’ key • Network   ‘n’ key • Memory   ‘m’ key

  5. nmon 실시간 interactive 모드 • 각종 key 모음 • h를 누르면 각종 key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display

  6. nmon 실시간 interactive 모드 • c, m, k, d를 모두 누른 경우 오른쪽 그림과 같은 모습을 display

  7. nmon 로깅 모드 • 다음과 같이 –f key와 함께 nmon을 구동하면 로깅 모드로 시작 • /usr/bin/nmon –f -T -m /tmp/nmon -s 300 -c 288 • T  top process도 포함 • s  interval • c  count • m  log file의 저장 디렉토리 • Log file의 이름은 <hostname>_date_time.nmon 형태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형태로 수행되며, 일단 수행한 후에는 해당 telnet 창을 끊어도 상관없음 • 대개 다음과 같이 crontab에 등록하여 매일 일정 시각부터 로깅을 시작하도록 구성 • 0 6 * * * /usr/sbin/nmon -f -m 디렉토리_이름 -s 300 -c 288 • 뜻하는 바는, 매일 아침 6:00부터 5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nmon log를 "디렉토리_이름"에 지정된 directory에 받는 것 • Excel row 값의 한계로 인해 로그 file의 row 값이 65536를 초과하게 되면 macro error가 발생하므로 주의 • nmon 프로그램 수행시 시간 간격을 충분히 주거나 data 수집 횟수를 조절

  8. nmon 로그의 분석 – nmon analyzer • 서버에서 *.nmon 로그 파일을 PC로 다운로드 • Windows PC에서, nmon_analyzer.xls을 open • File open시 macro 포함 여부를 요청하는데 오른쪽 첫번째 그림과 같이 ‘매크로 포함’ 열기를 수행 • 오른쪽 두번째 그림과 같이 열리면, ‘Analyze nmon data’버튼을 click • File open window가 나타나면, 저장된 hostname_0103DD_0800.nmon 파일을 선택

  9. nmon 로그의 분석 – nmon analyzer • 다음과 같이 각 raw data 및 그래프가 그려진 excel file로 저장됨 • 각 tab 별로, CPU/memory/disk/network/top process 등의 정보를 수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