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인터넷 컴퓨팅 연구실 김광요. 목차.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GVM BREW 요약 및 향후 전망 참고문헌.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1/9). 무선 인터넷 광의적 개념 무선 LAN 이나 B-WLL 등 고정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하여 무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 협의적 개념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2/9).

adara-pugh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인터넷 컴퓨팅 연구실 김광요

  2. 목차 •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 GVM • BREW • 요약 및 향후 전망 • 참고문헌

  3.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1/9) • 무선 인터넷 • 광의적 개념 무선 LAN이나 B-WLL 등 고정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하여 무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 • 협의적 개념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4.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2/9) •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네트워크와 단말기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 중재해 주는 프로그래밍 서비스 •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위치하여 단말기 내에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 시켜주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5.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3/9) • 자바 또는 C기반 미들웨어 플랫폼 비교 • 자바 기반 : 코드 및 컴포넌트의 재사용 및 우수한 보안성을 제공하나 메모리 부담, 느린 처리속도, 고급형 단말기 요구라는 단점을 가짐 (예: GVM) • C기반 : 적은 메모리 사용, 빠른 처리속도 및 보급형 단말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보안성에 취약하고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요구하는 단점을 가짐 (예: BREW)

  6.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4/9) • 미들웨어 플랫폼이 제공 가능한 컨텐츠 • 게임 다운로드 (빠른 화면전환이 필요한 게임, 스토리가 연결되는 어드벤쳐 게임) • 멀티미디어 다운로드 (노래방, DDR, 스포츠 중계 서비스) • 기타 서비스 (주식정보, 어학교육 컨텐츠, 지리/위치 정보 서비스)

  7.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5/9) • 바이너리 다운로드 (Binary Download) 방식 • 바이너리 파일은 단말기에서 직접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로 작성(다운로드 서버에서 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맞게 링크함)되어 있고,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정보를 포함 • 바이너리 파일은 가상머신과 같이 중간 해석단계가 없이 단말기에서 직접 실행 가능한 파일이기 때문에 현재 선보이고 있는 어떤 방식보다 더 빠른 스피드를 얻을 수 있다.

  8.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6/9) • 스크립트(Script) 방식 • 어플리케이션의 바이트 코드를 인터프리팅 하여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

  9.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7/9) •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 독립적인 환경에서 응용프로그램 등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의미 • 이 기종 간의 자유로운 이식성과 사용자의 추상화 API 제공 • VM 이 포팅 되어진 단말기에서는 동일한 실행환경을 가짐. 즉, 개발 자에게는 단말기가 어떠한 종류라도 단말기 OS 및 개발환경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인 개발환경 제공

  10. Application Module OEM Drives Platform Socket Wireless Internet LaunchPad Suite EFS CallMgr REX [ VM 플랫폼 구조 ]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8/9) • 가상머신 플랫폼 구조

  11. 무선 인터넷 미들웨어 플랫폼 (9/9) • VM 플랫폼 방식의 장점 • 동적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기능 VM 기반의 무선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애플릿처럼 VM은 실행 코드의 네트워크 이동 / 실행을 제공하는 우수한 솔루션으로 인정 받고 있음 • 비연결성 제공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도 기존에 다운로드 했던 응용 프로그램 들을 실행 시켜서 작업을 할 수 있음 • 향상된 서비스로 인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임 동적으로 다운로드 된 어플리케이션은 보다 향상된 그래픽과 다양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만족도 높여 줄 수 있음

  12. GVM(General Virtual Machine) (1/11) • 신지 소프트에서 개발한 모바일 폰을 위한 가상 머신 • 모바일 C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응용프로그램 다운로드 플랫폼 • 협의의 의미로는 모바일 폰에 내장되는 가상머신 • 단말기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쪽에 위치하여 전화 통화와 같은 모바일 폰의 기본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유휴 컴퓨팅 자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 됨

  13. GVM(General Virtual Machine) (2/11) • GVM 플랫폼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 모바일 폰에 탑재되는 GVM 모듈뿐만 아니라 GVM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GVM SDK와 응용프로그램 다운로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응용프로그램의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GVM 서버로 구성

  14. GVM(General Virtual Machine) (3/11) • GVM 모듈 • 모바일 폰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로서 포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블랙박스 형태로 제공 됨 • 포팅 시에도 기존 모바일 폰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쉽게 포팅이 가능 • 모바일 폰 제조사에서는 GVM 모듈 코드를 모바일 폰 소프트웨어에 포함시키고 모바일 폰 하드웨어 의존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수정하여 포팅하면 됨

  15. GVM(General Virtual Machine) (4/11) • GVM SDK • PC에서 GVM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도구를 총칭 • SDK 실행환경 • 윈도우 95, 98, ME, 2000 • VGA 1024x768, 24bit 컬러 이상

  16. GVM(General Virtual Machine) (5/11) • SDK 도구 • 이미지 도구 • “이미지 마스터”라는 이미지 편집도구를 제공 • BMP 등의 이미지를 VDI(Variable Depth Image) 포맷으로 정의하여 모바일 C 소스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 • 오디오 도구 • “오디오 마스터”와 “부저 마스터”라는 두 가지 종류의 오디오 도구를 제공 • 부저 마스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C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음원 데이터를 변환 • 오디오 마스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C 소스 형태로 변환

  17. GVM(General Virtual Machine) (6/11) • SDK 도구 (계속) • 모바일 C 컴파일러 • 모바일 C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오브젝트 파일(*.SGS)을 생성 • SGS 파일은 단말기에 다운로드 되어 GVM 가상머신에 의해 실행 됨 • SGS 파일은 내부적으로 헤더 영역, 코드 영역,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 • GVM 에뮬레이터 • 컴퓨터에서 GVM 응용프로그램의 동작을 모바일 폰 단말기와 동일한 상황으로 시뮬레이션 하는 기능을 제공 • 다양한 하드웨어 사양, 실시간 운영체제의 이벤트 레벨까지 에뮬레이션 가능

  18. GVM(Game Virtual Machine) (7/11) • GVM 플랫폼 구조 • 단말기에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 단말 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정작업 없이 응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 • General Virtual Machine 단말기의 Script buffer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역할 • Mobile Interface Device Driver Timer 호출이나 LCD 출력 등 단말기의 Device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API • Host MMI(Man-Machine Interface) 단말기의 RS-232C 포트를 통해 컴퓨터나 기타 외부 기기와 연결, 응용 기능을 수행

  19. GVM(General Virtual Machine) (8/11) • GVM 특징 • 단말기의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작GVM는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운영체제나 하드웨어가 다른 다양한 단말기 플랫폼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 CDMA 단말기 및 GSM단말기, PDA등에 탑재되어 동일한 기능을 제공 • 단말기의 리소스를 최적화 하여 사용다른 플랫폼이나 가상머신에 비하여 적은 사이즈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20. GVM(General Virtual Machine) (9/11) • 기타 기능 •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발신 API를 포함 게임 결과 통보 등과 같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발신기능을 이용한 컨텐츠 구성이 가능 • NetConnect(), NetDisconnect() 함수를 지원 위의 함수를 통해 현재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등의 서비스 구성이 가능 • 실행 중 음성통화 기능 지원 스크립트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지정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

  21. GVM(Game Virtual Machine) (10/11) • GVM 플랫폼 동작방식

  22. GVM(Game Virtual Machine) (11/11) • 참고자료 • NATE에서 경로 찾아 접속하기 • NATE에서 경로 찾아 다운로드하기 • “보관함” 에 다운로드된 “M-Agent” 를 실행하기

  23.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1/9) • CDMA용 무선 장치들을 위한 퀄컴의 응용 프로그램 개발용 플랫폼 • 기존 2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대비 멀티미디어 기능을 대폭 강화 • 윈도우, 매킨토시, X 윈도우(Unix)와 유사한 이벤트 중심의 아키텍쳐 지원 [ BREW가 지원되는 휴대폰 UI 예 ]

  24.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2/9) • BREW의 구조 및 특징 •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중간에서 컨트롤 하면서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의 구조 • 단말기 자체의 적은 메모리와 처리속도에 적합한 MSM(Mobile Standard Mode) Chip을 사용하는 COM(Component Object Model) 기반의 미들웨어 플랫폼

  25.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3/9) • BREW의 구조 및 특징 (계속) • API 셋의 추가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가상머신을 BREW에 탑재하여 자바로 작성된 응용 프로그램도 실행 •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응용프로그램의 다운로드와 설치는 모바일 샵(Mobile Shop)이라는 내장된 응용프로그램이 사용 • 일반적인 C 또는 C++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크기가 크고 처리 부담이 큰 자바보다 고속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용이

  26.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4/9) • BREW 구조

  27.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5/9) • 내부구조 기본 API 클래스들과 Extention 플랫폼, 이 기종 가상머신으로 구성 • 주요기능 Application 실행 과정을 관리하며, UI 및 단말기 OS와의 연동 을 담당 • 파일구조 BREW는 C++의 COM을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본적인 BREW 전용 Application은 C++형태의 파일을 취한다. 하지만 기존의 JAVA Application도 실행 가능

  28.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6/9) • BREW SDK •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다양한 모바일 폰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빠르고 효율적이며 적은 비용으로 개발하고 배포하는 데 사용 할 수 있는 도구 및 서비스 제품군 • BREW 에뮬레이터, 리소스 편집기, MIF 편집기, 장치 구성자로 구성

  29.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7/9) • BREW SDK (계속) • BREW 에뮬레이터 • 애플릿을 로드하고 테스트하는데 사용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리소스 편집기 •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리소스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툴 • MIF 편집기 • 애플릿을 로드하는데 필요한 모듈 및 애플릿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모듈정보파일(MIF)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 • 장치 구성자 • 모바일 단말기에 필요한 새로운 장치를 만들거나 기존 구성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30.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8/9) • BREW의 동작방식

  31. Idle 화면에서의 Mobile Shop “시작” 선택 시 ADS에 접속 모바일샵 메인화면 게임 메뉴 메인 화면 BREW 초기화면의 한 메뉴로 Mobile Shop 위치 Mobile Shop 메인화면으로 ADS에 접속한 후에는 HTML page로 처리 각 게임 명을 선택하면 게임 요금 표시 및 다운로드 여부 확인 후 다운처리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of Wireless) (9/9) • 참고자료 [ Mobile Shop 접속 시 초기화면 ]

  32. 요약 및 향후 전망 • 무선 데이터망 속도 및 대역폭 등 기술적인 진보와 더불어 동영상,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사용자의 다양한 컨텐츠 욕구를 수용하는 무선단말기 플랫폼 • 표준 정립을 위한 업체들의 경쟁 심화 • 표준 플랫폼의 기술 사양을 합의하여 한 단계 발전된 형태로 단말기 OS 위에 정리된 형태의 플랫폼을 만들고 그 위에 VM이나 각종 솔루션을 올릴 수 있는 구조로 발전

  33. 참고문헌 [1] 원정욱, 전학성, 박태웅, “무선인터넷 특허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17권 제 5호, 2002.10 [2] 김충남, “차세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전자신문사, 2002.12 [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모바일 플랫폼(WIPI) 표준개론”, 진한도서, 2003.4 [4] 양성수, 장민철, 염태선,”모바일 자바프로그래밍 J2ME”,혜지원, 2002.9 [5] 안태효, 강성민, 권지훈, “무선인터넷 미들웨어”, http://www.tta.or.kr/StdInfo/jnal/jnal77/07-4.pdf, TTA 저널, 2001. [6] 박은정, “WIPI의 탄생과 그 가능성”, http://www.mobilelab.co.kr/table/content.asp?num=231&tname=data_tel, 마이크로소프트웨어, 2002.10 [7] QUALCOMM, ”BREW 소개”, 기술백서, http://qualcomm.com/brew/ko/about/whitepaper.html, 2003. 9 [8] 배석희,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 동향 및 향후 발전방향”, http://www.tta.or.kr/StdInfo/jnal/jnal82/PDF/4.PDF, TTA 저널, 2002.8 [9] “이동통신 단말”, 50대 품목 기술/시장 통합 요약 보고서, http://kidbs.itfind.or.kr/KIDBS/ITStrategy/50sum/15-mobile.pdf, 2002. [10] 배석희, “모바일 플랫폼 표준화 현황 및 주요이슈”, http://webzine.kt.co.kr/s-trends/200209/0501.asp, 표준화 토픽, 2002. [11] 문형돈, 이재환, “국내외 무선인터넷 시장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http://stat.nic.or.kr/allym/report/mobile-etri.pdf, 2002년 6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