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6 장 사운드

6 장 사운드. Understanding of Multimedia. 사운드의 개요. 사운드 공기 분자의 진동을 나타내는 하나의 파형으로 사람이 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공기의 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그 진동이 귀에 전달되어 소리를 듣게 되는 것 주파수 (Frequency) 초당 사운드 파형의 반복횟수를 의미하며 주기와는 역수 값의 관계가 있고 , 소리의 높낮이에 관계가 있는 양 단위로는 Hz 를 사용하고 초당 진동수를 의미함 주파수가 크면 높은음이 나며 낮으면 저음이 나게 됨. 사운드의 개요.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6 장 사운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6장 사운드 Understanding of Multimedia

  2. 사운드의 개요 • 사운드 • 공기 분자의 진동을 나타내는 하나의 파형으로 사람이 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공기의 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그 진동이 귀에 전달되어 소리를 듣게 되는 것 • 주파수(Frequency) • 초당사운드 파형의 반복횟수를 의미하며 주기와는 역수 값의 관계가 있고, 소리의 높낮이에 관계가 있는 양 • 단위로는 Hz를 사용하고 초당 진동수를 의미함 • 주파수가 크면 높은음이 나며 낮으면 저음이 나게 됨

  3. 사운드의 개요 • 진폭(Amplitude) • 아래그림의 사운드 파형에서 기준선에서 최고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있음 • 소리의 크기는 데시벨(dB)로 나타내는데 아래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음 • 음색(Tone Color) • 고유한 소리의 특징 • 소리는 각 소리마다 주파수가 있는데 이것을 기본파라 하고, 이 기본파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고조파라는 것을 갖는데 이러한 기본파와 고조파가 합성되어 고유한 음색을 갖음

  4. 사운드의 개요 • 샘플률 • 초당 추출되는 데이터의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디오에서의 FPS와 같은 개념 • 샘플률의 단위를 KHz를 사용함 • CD 수준의 샘플률인 44.1KHz는 1초에 44,100번 데이터를 추출한다는 것의 의미함 • 충실도 • 추출되는 데이터에 할당된 비트 수 • 주로 8비트와 16비트가 사용되며 8비트를 사용한다는 것은 소리의 크기 범위를 256가지로 정하여 추출한다는 것을 의미함

  5. 사운드의 디지털화 • 사운드의 디지털화 • 컴퓨터에서 처리하려면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디지털의 형태로 변환해야 함 • 아날로그 신호가 컴퓨터를 거쳐 사람의 귀에 사운드가 들리는 과정 • 사람이 내는 소리나 주변의 환경에서 나는 소리는 아날로그 형태인데 그 소리가 마이크를 통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장치를 거쳐 디지털 형태로 변환 • 그 디지털 데이터가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장치를 거쳐 아날로그 형태로 변형되고 나서 스피커를 통해 사람의 귀에 전달됨

  6. 사운드의 디지털화 • 표본화(Sampling) •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려고 아날로그 신호에서 표본을 취하는 것 • 사운드의 표본화율(Sampling Rate)은 1초 동안에 취한 표본의 수를 말하며 단위는 Hz를 사용 • 아래 그림은 아날로그 파형에서 표본화하는 예를 나타내며, 왼쪽의 그림은 아날로그 신호를 나타내고, 오른쪽 그림은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화한 데이터

  7. 사운드의 디지털화 • 양자화(Quantizing) • 표본화과정에서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얼마나 자세하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것 • 이 범위를 얼마나 세밀하게 나누는지가 정밀도와 관련이 있게 되는데 8bit로 양자화하게 되면 사운드를 256단계의 값으로 양자화할 수 있고, 16bit로 양자화하게 되면 65,536단계의 값으로 양자화 할 수 있음 • 아래 그림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양자화시킨 예 • 왼쪽 그림은 디지털화된 데이터이고 오른쪽 그림은 왼쪽 그림의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빨간 점에 해당하는 대표 값으로 양자화시킨 결과

  8. 사운드의 디지털화 • 양자화(Quantizing) • 아래 그림은 양자화의 레벨에 따라 사운드의 정밀도가 달라지는 예를 나타냄 • 왼쪽은 세밀하게 양자화함으로써 원래의 음원에 가깝게 나타낼 수 있지만 세밀하게 양자화하는 만큼 많은 비트 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커지게 됨 • 오른쪽은 드문드문 양자화함으로써 원래의 음원과 차이가 많이 나게 되지만 적은 비트 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이점이 있음

  9. 사운드의 디지털화 • 부호화(Coding) • 표본화와 양자화의 단계를 거친 후에는 양자화된 데이터를 실제 컴퓨터에서 처리되는 디지털 데이터로 표현해야 하는데 사운드 파일은 일반적으로 파일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압축하여 저장함 • 기본적으로는 PCM 방식으로 부호화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이 PCM 방식이 용량이 크기 때문에 ADPCM 방식을 주로 사용함

  10. 부호화(Coding) • PCM(Pulse Coded Modulation) • 입력된값을 2진 코드 그대로 저장하는 방법으로 압축하는 과정을 전혀 거치지 않기 때문에 용량이 큼 • 잡음과 간섭에 강하고 전송 중 코딩된 신호를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음 • 같은 포맷으로 공통된 네트워크에서 다른 디지털 데이터와 합칠 수 있고 TDMA 시스템에서 신호를 빼거나 삽입하기가 쉬우며 특수한 변조법이나 암호화를 적용하기가 쉬움 • 아래 그림은 양자화된 데이터를 각각 PCM 방식으로 부호화한 것 • 빨간 선에 해당하는 양이 부호화되는 것

  11. 부호화(Coding) •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 • 차이만을 그대로 저장하는 DPCM(Differential Pulse Coded Modulation)으로처리하면 그 차만을 이용하므로 용량이 작아질 수는 있지만 차이가 클 때 DPCM 방식도 효율이 떨어지게 됨 • ADPCM은 인접한 값과의 차이가 크면 진폭을 나누는 단계를 크게 하고, 인접한 값과의 차이가 작으면 진폭을 나누는 단계를 작게 하여 정밀하게 표시 • 아래 그림은 양자화된 데이터를 각각 ADPCM 방식으로 부호화한 것 • 빨간 선에 해당하는 양이 부호화되는 것

  12. 압축 • ADPCM • DPCM에서 양자화의 단계 폭을 신호의 진폭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시키는 방식 • 진폭이 큰 곳에서는 단계 폭을 크게 하여 신호의 변화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예측치와 실제치의 차분 만을 부호화하여 전송 • ITU-T 권고 G.721 • 표본화 주파수를 8KHz로 하고 차분 양자화 비트 수를 4bit로 압축하여 32Kbps로 전송하는 규격 • 이 규격의 ADPCM 대규모 집적회로가 개발되어 전송 회선뿐만 아니라 음성 사서함 등에 이용되고 있음 • ITU-T 권고 G.722 • 표본화주파수를 16KHz로 하고, 차분 양자화 비트 수를 14bit로 압축하여 64Kbps로 전송하는 규격 • 종합정보통신망(ISDN)의 64Kbps 디지털 회선 등과의 정합성이 높음

  13. 압축 • A-Law, -Law • PCM에서 사운드를 양자화하는 한 방법 • 표본화된 사운드의 값은 무한대의 가지 수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값을 표현하려면 많은 수의 bit가 필요함 • 양자화는 이런 무한대의 값을 유한한 몇 가지의 대표 값으로 바꾸어 주는 데 이런 과정에서 양자화 잡음이 발생 • 양자화 잡음을 줄이려면 대표 값의 개수를 늘려 각 대표 값들 간의 간격을 줄이면 가능해짐 • 이렇게 하면 하나의 값을 표현하기 위한 bit가 많아지게 되므로, 하나의 값을 표현하기 위한 양자화 값의 개수를 같게 유지한채 양자화 잡음을 줄이는 방법이 A-Law, -Law방법임

  14. 압축 • TrueSpeech • DSP(Digital Speech Projects) 그룹의 TrueSpeech는 작게 축소됨 • 1bit 길이를 가지고 모노(mono)에서 8,000Hz까지 신호를 줄임 • 사운드가 초당 1K 비율로 지나간다는 것을 의미함 • WAV, AIFF 파일처럼 가장 작은 PCM 사운드 크기와 파일속도의 8분의 1에 해당되며 가장 작은 ADPCM 파일 크기의 4분의 1에 해당함

  15. 압축 • MP3 또는 MPEG Layer3 • MPEG1에서 정한 고음질의 오디오 압축기술의 하나로써 음반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CD의 50배로 압축이 가능한 기법 • TCP를 바탕으로 인터넷 상에서 AOD와 인터넷 FM 라디오방송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 MP3를 이용하여 압축된 양질의 많은 음악은 이를 그대로 복제하여 전송할 수 있음 • RealAudio • 인터넷 상에서 음성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방식 • 주문형 오디오(AOD)의 하나로 서버용과 클라이언트용이 있음 • 저명한 음악가의 연주회 등을 인터넷으로 중계할 수 있음

  16. 파일형식 • WAV • 윈도우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포맷의 하나 • 소리나 음악을 듣거나 녹음하는데 사용하며, 8bit 또는 16bit 모드로 11KHz, 22KHz, 44KHz의 샘플로 기록됨 • AU • -Law 방식으로 압축된 사운드 포맷으로 유닉스 환경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온 가장 일반적인 포맷 • 다른 포맷으로 변화하기 위한 크로스 플랫폼 형식 • MP2, MP3 • 압축효과가 뛰어나며 음질도 우수한 포맷 • 인터넷 상에서 음악을 압축하는데 매우 많이 사용됨 • 인터넷 상의 AOD(Audio on Deman)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으로 MP3 형식의 노래를 들을 수 있는 플레이어가 대중화되었음

  17. 파일형식 • VQF(Vector Quantization Format) • 일본 NTT사가 개발한 TwinVQ라는 오디오 압축 기술로 만들어진 포맷 • TwinVQ는 MP3 수준의 음질을 인터넷에서 스트리밍 형식으로 사용하며, VQF인코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원래 음악을 최소 1/12 수준으로 압축할 수 있음 • 각각의 음악 데이터를 직접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데이터를 일정한 패턴으로 만들고 미리 준비한 표준 패턴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표준 패턴을 골라내어 그 표준 패턴의 번호를 압축 부호로 전송함

  18. 파일형식 • RealAudio(.ra, .rm) • 인터넷 상에서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운드를 전송받으며 플레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사운드 포맷 • 전송속도가 동적으로 변함에 따라 전송되는 음질의 종류도 동적으로 변화시키는 SureStreaming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대역폭이 동적으로 변함에 따라 음질도 동적으로 변화시켜 전송 • ASF(Advanced Streaming Format) • 1996년 Intel사가 만든 차세대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이자 통합 멀티미디어 파일로 파일 안에는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URL, 실행 프로그램까지 들어갈 수 있음 •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음

  19. 미디(MIDI) •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전자 악기와 컴퓨터 간의 상호 정보교환을 위한 규약 • 직접적인 음에 대한 정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음을 어떻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표현 • 미디라는 통신규약이 있기 전에는 악기마다 독자적인 제어 방식을 갖고 있어서 한 프로그램에서 여러 악기를 한꺼번에 제어하기 어려웠음 • 컴퓨터와 전자 악기간의 통신을 표준화시킨 미디가 탄생하여 여러 악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음

  20. 미디(MIDI) • 시스템의 구성 • 일반적인 미디 시스템의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음 • 샘플러 등의 미디 장치에서 음을 발생시키면 미디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컴퓨터로 전송됨 • 그 후 전송된 미디 데이터를 컴퓨터가 시퀀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편집을 하고, 다시 미디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신시사이저 등의 미디 장치로 음이 전달되면 미디 장치는 그 음을 스피커로 출력하게 됨

  21. 미디(MIDI) • 미디 장비 • 신시사이저(Synthesizer) • 모든요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 • 이 악기는 기본적으로 음원을 발생시키는 부분, 그 배음을 가감하는 부분, 음에 시간적 음량변화를 주는 부분으로 구성됨

  22. 미디(MIDI) • 미디 장비 • 샘플러(Sampler) • 악기의모든 음을 가진 것 • 실제 소리를 디지털 방식으로 직접 녹음하여 그 소리를 편집하여 악기나 효과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 좀더 정교한 음을 사용하고자 할 때나 음원에 없는 음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됨

  23. 미디(MIDI) • 미디 장비 • 믹서(Mixer) • 여러 개의 사운드 신호를 섞어서 하나의 신호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 • 여러 입력 단자에 각 악기의 출력 라인을 하나씩 연결하여 하나의 출력 신호로 만들어 스피커나 앰프, 녹음장치 등으로 내보냄 • 각 출력의 균형 등을 맞춰주는 이퀼라이저(Equalizer)가 장착되어 있어 음악의 균형을 맞춰 녹음하고 연주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장비

  24. 미디(MIDI) • 미디 장비 • 미디 인터페이스 카드 • 컴퓨터와 미디 모듈 간의 신호 체계가 달라서 이 신호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 • 연결 방식으로는 직접적으로 마더보드 PCI 슬롯에 꼽는 PCI 방식과 USB, 1394 등등의여러 가지 형태가 있음

  25. 미디(MIDI) • 미디 장비 • 미디 전용 케이블 • 5핀 플러그를 사용 • 미디선의 길이를 50피트로 제한하고 있는데 이 이상의 길이가 라디오 주파수 간섭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 • 플러그의 5핀은 각각 고유한 용도가 있지만,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핀은 서로 꼬여있는 실드 역할을 하는 철망으로 쌓여 있음 • 외부 절연체가 이 실드 주위를 덮은 두 개의 전도체임 • 실드의 역할은 라디오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는데 있음

  26. 미디(MIDI) • 미디 장비 • 앰프와 스피커 • 가장 대표적인 음의 출력 장치 • 가정용 오디오에서 사용되는 스피커에 미디 장비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스피커에 손상이 갈 수 있음

  27. 미디 소프트웨어 • 작곡용 프로그램(시퀀서, Sequencer) • 악보를직접 만들고 각각의 Voice에 악기와 채널을 배정시킴 • 프로그램의 자체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미디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음 • 작곡용 프로그램 FL Studio

  28. 미디 소프트웨어 • 악보용프로그램 • 화면에 악보를 그리고, 프린터로 출력하는 출판용 프로그램 • 편집 기능도 가능하기 때문에 작곡용 프로그램과 더불어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악보용 프로그램 Finate

  29. 미디 소프트웨어 • 음색편집용 프로그램 • 소리를 편집, 수정하는 프로그램으로 미디 음원 모듈이나 신시사이저에 있는 각종 음색과 효과음들을 편집하거나 새로 만들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 음색 편집용 프로그램 X5DR

  30. 디지털사운드 편집(사운드 포지) • 사운드 포지 • MP3까지 로딩이 가능한 프로그램 • 다른 프로그램들보다 훨씬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갖음 • 사운드포지의 활용 [교재 205-214 참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