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세종대왕

출생 - 사망 :  1397 ~ 1450 소개 : 조선 제 4 대왕   업적 : 궁내에 정음청을 설치 1443 년 많은 학자들로 하여 ' 훈민정음 ' 을 창제하였고 , 1446 년 반포하였다 .  해시계 ( 앙부일구 ), 물시계 ( 자격루 ) 등 많은 과학기 구 발명 농업기술을 발전시키고 세종대왕은 음악에도 관심 , 김종서 등으로 하여 4 군 6 진을 설치하여 국 토 확장을 하였다. 세종대왕. 12. 세종대왕. 리병도. 학 습 목 표.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세종대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출생-사망:  1397 ~ 1450 소개 : 조선 제4대왕   업적 : 궁내에 정음청을 설치 1443년 많은 학자들로 하여 '훈민정음'을 창제하였고, 1446년 반포하였다.  해시계(앙부일구),물시계 (자격루)등 많은 과학기구 발명 농업기술을 발전시키고 세종대왕은 음악에도 관심, 김종서 등으로 하여 4군 6진을 설치하여 국토확장을 하였다.. 세종대왕

  2. 12.세종대왕 리병도

  3. 학 습 목 표 • 전기문에 대해 초보적으로 리해하기 • 세종대왕의 성품과 업적을 개괄하기

  4. 전기의 개념과 주의점 한 인물의 생애와 활동을 그의 생활로정에 따라 쓴 글을 말한다. 전기는 다른 사람을 쓰기도 하고 자기를 쓰기도 하는데 자기를 쓴것을 ( ) 이라고 합니다. 자서전 주의점: 1.내용이 진실해야 한다. 2.명확한 중심이 있어야 합니다. 3.평가가 합당해야 합니다.

  5. 과문묵독 세종대왕의 성품(4개방면)과 업적(6개방면)을 찾아 줄을 그어 표시하시오.

  6. 세종대왕의 성품: 1. 세종대왕은 열성스럽고 근면하며 사색적인분이시다. 2. 세종대왕은 세심한분이시다. 3. 세종대왕은 과감히 실천하는 분이시다. 4. 세종대왕은 어버이같이 따뜻한 사랑을 지닌분이시다.

  7. 세종대왕의 업적: 1. 집현전을 설치, 전업서적을 정리, 편찬 2. 훈민정음을 창제, “월인천강지곡” 문화창조에 기여 3.활자를 고치고 인쇄술을 개혁 4.전래의 구악을 정리, 혁신, 고대의 악기와 악곡… 5.천문, 기상분야에서의 업적 6.백성에 대한 교화에 힘썼다.

  8. 한글날 한글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한국의 기념일이다. 1926년 11월 4일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가 주축이 되어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었다. 1932, 1933년에는 음력을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여 양력 10월 29일에 행사를 치렀으며, 1934~45년에는 그 레고리력으로 환산하여 10월 28일에 행사를 치렀다. 그러나 지금의 한글날은 1940년 〈훈민정음〉 원본을 발견하여 그 말문(末文)에 적힌 "正統十一年九月上澣"에 근거한 것으로, 이를 양력으로 환산해보면 1446년(세종 28) 10월 9일이므로 1945년에 10월 9일로 확정했다. 2005년 12월 8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되어 국경일이 되었다. 이 날에는 세종문화상을 시상하고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英陵)을 참배하며 전국에서 학술대회 및 각종 백일장을 거행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