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제 22 기 고 영 주

Organizing Employment for High Performance : Theories, Evidence and Policy - Keith Whitfield, Michael Poole. 2006.04. 노 동 경 제 학 과. 제 22 기 고 영 주. 목 차. 개 괄 고전적 주제 도 입 HPWS 의 출현 HPWS 의 Models European Models Bundles and Congruency HPS 의 본질과 범위 HPS 와 조직성과 정책적 문제

azr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제 22 기 고 영 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Organizing Employment for High Performance :Theories, Evidence and Policy- Keith Whitfield, Michael Poole 2006.04 노 동 경 제 학 과 제 22 기 고 영 주

  2. 목 차 • 개 괄 • 고전적 주제 • 도 입 • HPWS의 출현 • HPWS의 Models • European Models • Bundles and Congruency • HPS의 본질과 범위 • HPS와 조직성과 • 정책적 문제 • 소견을 마치며

  3. 1. 개 괄 • 최근 작업 체계화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어 옴 • 이에 대한 대표적 제안 • 노동은 유연화 된 방식으로 전개 • 생산성 향상은 종업원 참여에 의존 • 성과지향 작업 practices는 내부적 일관성으로 도입될 때 작동 • Practices는 조직 전체 전략과 조화될 때 결정적임 • 실증적 증거들이 이러한 제안을 뒷받침 • 제안들과 고성과와의 연결은 복잡하고 다양, 주변 상황이 성공의 결정인자 • 성과 향상을 기대하게 하는 새로운 작업조직 형태 개발과 같은 질적인 변화

  4. 2. 도 입 • 최근 작업을 체계화하는 방법에 있어 주요한 변화 • Practices의 범위 증대 : HRM, Japanese mgnt practices 등 • 작업구조가 조직성과에 어떻게 연관되었는지 명확한 관련성 연구 등 • 대표적인 변화는 작업관행의 holistic system의 출현임 • 주요 label : HPWS, High commitment Mgnt, High Involvement Workplaces • High performance는 성취보다는 목적에 연관되어 있음 • 질적인 변화의 사례는 미국 학자들에 의해 강하게 제기 • 질적인 변화의 논제에는 4가지 중심요소가 있음 • 노동이 전개방식에서 유연성 증대 • 조직성과는 근본적으로 종업원 참여에 의존 • 작업 practice와 구조의 성공은 내부적 일관성에 의존 • Practice와 구조들이 조직의 전체 전략과 조화가 결정적이라는 확신 • 최근 상황으로 제기되는 문제점 • 작업체계화 접근에 있어 변화는 얼마나 근본적인가? • 작업의 성과지향 변화의 한계 • 정책입안에 반영해야 할 내포된 변화 • 이 논문의 목적과 특별한 issue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데 있음

  5. 3. 고전적 주제 • 현재 진행되는 HPWS에 관한 중심적 제안들은 오래전부터 거론되어 왔음 • Marx의 시각(alienaton) • 본능적인 만족이 결여되고 노동자가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를 자유로이 발현시키는 것을 부정하는 작업 system에 주목하였음 • 소외된 노동이 기계의 도입으로 인간의 생산성을 저하시켰다는 관점은 작업 system의 재설계에 대한 근대 논쟁에 많은 반향을 불러오고 있음 • Durkheim의 시각 • 산업사회에 중대한 문제는 anomie에서 근거한 것임 • 기업의 효과적 결함에 초점 – 유기적 결속 • Weber학파의 시각 • Bureaucracy : 인간 활동 조직의 가장 향상된 상태 • Neo-confusion culture : 장기적 조직 참여를 용이하게 하는 조직의 풍토

  6. 4. HPWS의 출현 • 산업사회에서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작업의 체계화 관리에 많은 관심 • 작업할당의 유연성, 성과급, 의사결정이나 팀 작업에 종업원 참여 등 • 혁신 도입 목적은 복잡한 상품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성취, 유지 • 저가의 제조비용에 상품의 질과 수요의 급격한 변화 고려해야 성공 • 2차 세계대전부터 1970년대 : 대량생산, 규모의 경제, 저생산비용 실현 • 1970년 이후 상황은 현저하게 변화되었음 • 국제적인 시장에서 경쟁격화 : 주로 저임금에 기반을 둔 국가간 경쟁 • 기술 향상으로 다양성 및 질적 향상(저가보다 품질과 특징에 의한 경쟁) • 소비자들의 소요 패턴 변화(제조상품→서비스, 동질성→이질성) • 복잡하고 심화된 경쟁 압력으로 조직구조 검토와 작업의 체계화를 연구 • 노동은 생산의 독특한 요소로서 경쟁자에 의해 모방될 수 없는 잠재능력 • 노동을 새로운 생산기술에 통합하는 노력을 해옴

  7. HPWS는 일반적으로 2가지 주요한 요소 내포 • Production systems • Employment structures • 새로운 생산 system에는 3가지 주요 요소 포함 • 작업 할당의 유연성 증대 • Team작업 강조 • 의사 결정의 위임 • 작업 구조의 내용 • 작업안전 확보 • 조직의 정보 흐름을 향상시키는 mechanism • 종업원의 기술을 향상시키는 집단지향 임금mechanism 및 구조 • 변화의 도입에는 기업내부 노동시장에 심각한 제약요인이 있음 • 직무 관련성과 노조의 존재 여부가 문제임 • 특히 노조의 경우 그 변화를 지지하거나 적대시

  8. Product Market 1. Increased competition 2. Differentiated demands Production System 1. Increased flexibility 2. Devolved decision-making 3. Emphasis on team working Employment Structures 1. Security guarantees 2. Continuous Training 3. Group-based remuneration systems 4. Employee involvement schemes Existing ILM 1. Union/Non-union 2. Consensual/adverserial Technology Permits greater customization • 고성과나 작업system 조사보고서에 나타난 연결고리는 아래 표로 나타냄

  9. 5. HPWS의 Models • 기업들은 경쟁 우위를 찾아 새로운 조직 model(2가지)을 채택하여 왔음 • Taylor의 과학적 관리system 내에서의 조정 • 책임있는 자율과 유연한 전문화의 전략 • SHRM, 기능적 유연성, 종업원의 책임과 참여를 촉진하는 패턴임 • 근대 논쟁 이전에 선례가 있었음(Trist/1963, Hackman & Oldham/1980) • 현대연구의 주장 • 혁신적 work system에는 의사결정에 종업원 참여, 규범적 훈련 프로그램, 성과급 지급, 팀 작업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 • 작업구조의 변화는 조직의 환경이나 철학의 변화를 반영 • 각 기업의 상품시장의 성질 및 각 나라/기업/조직의 특유한 영향 조사 • 이러한 변화는 일관되고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진 유형의 파생을 막음

  10. Appelbaum & Batt의 연구(1994) • 미국에서 나타난 2가지 주요한 형태의 system 제시 • American Lean Production, American Team Production • Lean Production model • 많은 주요한 특징을 유럽과 미국의 연구에서 취함 • 일본의 관리 practice에서 따온 것으로 미국내에서 국내기업이 지배적인 시장을 일본기업이 어떻게 많은 잠식을 하였는지 연구결과 차용 • 2가지 model의 차이점 • 인적자원과 노사관계 정책, 특히 종업원 참여 system의 성질과 관련 • Team Production은 종업원 참여 허용 권한 분산과 노동관리 구조에 기초 • Lean Production은 선발된 종업원만이 문제해결 위원회에 참여하는 권한 집중 형태 • Team Production의 best practice 사례는 노조 작업장에서 나타나고 Lean Production은 무노조 작업장에서 나타나는 사실에 유의

  11. 6. European models • HPWS 논쟁에 동기를 부여하는 많은 작품들은 미국에서 행해짐 • 유럽에서는 미국보다 조직적인 자치가 덜하며 반면에 고성과를 위한 결정적 Practice는 원천적으로 입법에 영향을 미침 • 아직도 노조활동은 미국보다 유럽이 더 효과적임 • 유럽의 연구가들은 미국보다 작업 체계화에서 덜하나 연속성에 대해선 더 고찰하는 경향이 있음 • 전체론적인 접근방법보다 개개의 작업체계화 요소에 대해 연구 • 유럽이 미국보다 고성과 issue에 대해 관심이 덜한 이유 • 유럽의 작업 system이 최근 변화에 앞선 새로운 model임 • 유럽 정책입안자들은 고성과보다 작업연관성의 사회적 헌장이나 중요사건의 효과에 관심 • 유럽기업들이 경쟁압력에 덜 영향을 받기 때문임

  12. 7. Bundles & Congruency • HPWS 연구보고서로부터 2개의 주요한 주제가 나타남 • Bundles : 개별적인 것보다 내부적으로 일치된 bundles이 최대한 작용 • Congruency : bundles이 조직의 전반적인 기업전략과 조화될 때 효과적 • Bundles의 논리는 practices가 개개의 합보다 상호 강화된 sets로서 더 강한 효과를 가지는데 있음 • 작업 practices의 bundles이 내부적으로 일치되고 조직의 전체 전략과 조화 되어야 효과적 • MacDuffie가 1995년에 주창 • 변화의 주요 개념은 유연한 생산으로 2가지 주요한 요소 내포 • buffers를 최소화 하는 생산 practice의 개발 • 작업인력의 기술과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지식의 확장이며 종업원이 그러한 지식을 활용하게 하는 동기부여임 • MacDuffie는 2가지 요소중 하나만으로는 효과적이지 못하며 각 요소의 내부적 일관성이 성과 향상에 결정적이라고 제안

  13. 8. HPS의 본질과 범위 • HPS는 의사결정에 종업원이 참여한다는 것은 일치된 견해임 • 광범위한 훈련은 HPS의 속성으로 인용되어짐 • HPS의 또다른 속성으로는 성과급이 있음 • 다양한 형태 존재 : 성과보수, 수익보너스, 종업원 지주제 등 • 더욱이 지급 system은 기능이나 非人的 능력을 통합시키고 있음 • 경험적 분석에서 사용될 수 있는 HPS의 정확한 정의는 신중하게 고려 • 미국내 상당수 기업들이 작업구조 체계화를 위해 고성과 접근방법을 채택 • 사기업의 35%가 유연작업 조직을 사용(1992) • 유연작업 system은 상품시장에서 국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에 존재 • Wood & Albanes의 연구(1995) • HCM(high-commitment mgnt)의 채택은 제조업에 한정됨 • 교육가능성, 참여, 팀작업, 집단 문제해결 등의 선택에 활용 • HCM은 범위 확대 보다는 현존 practice들의 사용확대에 있음 • 외부나 기술적 요인이 아닌 조직 내부의 요소가 HCM 수준의 주요한 예시임

  14. 9. HPS & 조직적 성과 • HPS는 상품시장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명백한 목적으로 도입 • 이러한 목적이 실제적으로 성취되는가 하는 기본적 문제를 관찰하고 많은 논문들이 긍정적이라고 대답 • 구조/성과의 연결에 대해선 3가지 문제가 있음 • 고성과 접근법이 전통적인 것보다 더 나은 성과를 획득하느냐 하는 문제 • 보충적인 인적자원 practice의 bundle이 결합효과를 낼 수 있는가 하는 문제 • 전반적 조직 전략과 인적자원 bundles 간에 조화의 필요성 증거 • 미국내 연구결과는 고성과 접근법을 채택한 기업들이 더 나은 성과를 얻었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음(Ichniowski/1994, MacDuffie/1995, Arthur/1994) • Bundle의 결합효과 • Ichniowski : 결합효과가 개별효과보다 크다고 제시 • MacDuffie(1995) : bundles의 상호연관성이 개별 practices보다 높음

  15. 조직전략과 인적자원 전략의 조화의 필요성 증거 • 전반적으로 뚜렷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 • Arthur(1992) : 명백한 연관성의 증거 없음 • MacDuffie(1995) : 불일치하다고 설명 • 의사결정에 종업원 참여와 조직성과 간의 연관성(Levine & Tyson/1990) • 긍정적이긴 하지만 뚜렷한 효과는 없음(부정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음) • 종업원 참가의 효과 연구(Fernie & Metcalf/1995) • 3가지 형태의 작업장 구분 : 종업원 참가, 교섭, 권위주의 • 종업원 참가 형태는 작업성장율에 있어 권위주의와 같이 높으나 해고율과 결근율이 높게 나타남 • 교섭 형태는 해고율은 낮았으나 높은 결근율, 낮은 생산성으로 나타남 • 특이하게 권위주의가 종업원 참여보다 노사관계에 있어 더 좋게 나타남 • 이 연구에서는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함

  16. 미국 외에서의 연구는 성과 지수로 자본 참여의 효과에 초점을 맞춤 • 투입요소 : 수익분배제, 종업원 지주제 등 • 결 과 : 긍정적이지만 효과 미미 • HPS의 결정적 가설은 실증적 분석에 의해 지지 • 작업 체계화의 새로운 접근법은 목적 성취 근거를 제시해 주어야 하고 • 연구의제는 미래 연구에 있어 통합할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줌 • 그러나 회의적인 몇가지 이유가 있음 • 인과관계의 문제 (연구대상) • 한정된 기초 (연구영역) • 정보의 독립성 (변화 도입의 합목적성) • 비용문제 (고성과 system의 시행기간 동안) • 대용물 문제 (성과를 위해 사용된 측정치)

  17. 10. 정책적 과제 • 국가적/초국가적으로 관련된 중요한 정책과제는 고성과 연구보고서에서 제기 • 작업 system 혁신에 도움이 되는 환경문제 : 훈련시장과 고정비 배분 • 자본참여를 유발하는 정책문제 • 환경문제 • HPWS이 개발되기 위해선 시장환경이 결정적임 • 공적 개입이 실질적으로 외부적 도움을 얻게 하는 영역이 있음 • 훈련시장 • 기술의 최적화를 위한 훈련시장의 실패는 많은 분석의 공통 현상임 • 근로자는 유연성과 직무수행 결정력, 새로운 시장에 반응 능력이 중요 • 기술 습득에 있어 도용자나 무임승차자를 완화시키는 제도적 구조 개발 • 훈련시장에 있어 공공정책의 주도권은 현재 제도적 구조와 조화되어야 함 • 자본참여 문제 • 조직적 성과를 증진하려는 자본참여 역할은 종업원의 의사결정 참가 노력이 통합될 때 최대한 작용

  18. 11. 소견을 마치며 • 작업 체계화는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고, 상품시장에 있어 광범위한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 • 새로운 조직적 환경은 정책 입안자들에게 주요한 과제를 제기함 • 기업들이 작업장 변화에 전체론적 시각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듯이 정책 입안자들도 이와 같은 인식을 가져야 함 • 종업원은 금전 incentives의 도입과 발전에 따라 더 큰 조직참가를 보임 • 훈련 준비는 HPWS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 • 결정적인 것은 훈련의 양이 아니고 방침임 • 그러한 system은 근로자가 고도의 핵심 기술을 취득하게 할 뿐 아니라 분명한 결정과 전통적 기능을 초월할 수 있게 해줌 • 또한 오늘 경험한 것보다 더 유연한 훈련 system이 요구됨 • HPWS의 발전은 매니저, 근로자, 연구자, 정책입안자들이 과거 기능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필요성을 자극 • 효과적인 반응 방법의 고안으로 활용시간 축소

  19. 감 사 합 니 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