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무지개 물탑 쌓기

자유탐구. 무지개 물탑 쌓기. 모둠 이름. JKLP. 4 조. 정선미 , 김경훈 , 이신형 , 박채은. 자유탐구. 실험동기. 물위에 기름이 뜨는 것처럼 밀도 이용하여 색깔을 다르게 하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게 되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실험가설. 어떤 순서대로 물 탑이 쌓아질까 ?. 무거운 것이 아래에 있듯이 농도가 진한 물이 아래에 있고 위로 갈수록 농도가 낮은 물이 있을 것이다. 밑 에 서부터 ( 빨강색 , 주황색 , 노랑색 , 초록색 , 파랑 색 ) 순으로 쌓일 것이다.

blue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무지개 물탑 쌓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자유탐구 무지개 물탑 쌓기 모둠 이름 JKLP 4조 정선미, 김경훈, 이신형, 박채은

  2. 자유탐구 실험동기 물위에 기름이 뜨는 것처럼 밀도 이용하여 색깔을 다르게 하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게 되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실험가설 • 어떤 순서대로 물 탑이 쌓아질까? 무거운 것이 아래에 있듯이 농도가 진한 물이 아래에 있고 위로 갈수록 농도가 낮은 물이 있을 것이다. 밑에서부터( 빨강색 ,주황색, 노랑색,초록색,파랑 색 )순으로 쌓일 것이다.

  3. 자유탐구 이론적 배경 밀도 [密度, density]란?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지닌다. 단위는 g/㎖, g/㎤ 등을 주로 사용한다. 밀도가 크다는 것은 같은 부피에 대해 질량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여러 물질이 섞여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농도 [濃度, concentration]란? 액체나 혼합기체와 같은 용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양(量)의 정도. 용액이 얼마나 진하고 묽은지를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4. 자유탐구 실험준비물 유리병, 플라스틱 작은 병5개, 티스푼, 소금, 물, 물감,

  5. 자유탐구 실험방법 1 . 플라스틱 작은 병 5개에 물을 15ml 넣는다... 2 . 첫 번째 플라스틱 작은 병에는 소금 5숟가락 두 번째는 소금4숟가락3번째는 3숟가락 4번째는 2숟가락 5번째는1숟가락을 넣고 녹인다.

  6. 자유탐구 3. 첫 번째 플라스틱 작은 병에는 빨강색, 두 번째에는 주황색, 세 번째에는 노랑색, 네 번째에는 초록색, 다섯 번째에는 파랑 색 물감을 타고 잘 섞는다. 4. 유리병에 순서대로 소금물을 벽을 타고 흐르도록 부어준다. 5. 차례대로 유리병에 넣고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한다.

  7. 자유탐구 실험결과 5가지의 색깔의 물이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루면 쌓여 있다. 가설과 같게 물 탑이 쌓아졌다. 밑에서부터(빨강,주황 ,노랑 ,초록 ,파랑)순으로 물 탑이 완성되었다.

  8. 자유탐구 실험결론 농도의 차로 인해 물이 서로 섞이지 않았다농도가 높은 물은 아래에 있고 농도가 낮은 물은 위에 있으면 섞이지 않는다. 반대로 농도가 낮은 순으로 넣는다면 물은 섞일 것이다. 느낀 점 실험을 하면서 벽을 타고 제대로 하지 않아 노랑색과 초록색이 섞였다. 좀더 주의 있게 실험을 해야겠다. 그리고 용액의 진하기는 찌개의 소금농도에서나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농도와 밀도를 사용해서 색깔이 다른 물 탑을 쌓을 수 있다는 게 신기했고 밀도의 원리가 아닌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물 탑을 쌓아보고 싶다.

  9. 자유탐구 참고문헌 1.관련서적 녹고 녹이는 수상한 관계(용액) 글 )유미현 / 그림)이루다 2.http://100.naver.com/100.nhn?docid=68036 백과사전 홈 > 과학 > 순수과학 > 물리학 > 물리학일반 [출처] 밀도 [密度, density ] | 네이버 백과사전, 3.http://100.naver.com/100.nhn?docid=39592 백과사전 홈 > 과학 > 순수과학 > 화학 > 분석화학 > 정량분석 [출처] 농도 [濃度, concentra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10. 자유탐구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