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박문여고 김 옥 미

조선 시대 복식. 박문여고 김 옥 미. 대례복. 왕 – 제복 왕비 - 적의. 이방자 여사가 소유하고 있던 옷으로 재현한 것. 제복. 곤복 면류관. 상복. 곤룡포 익선관. 조복. 강사포 원유관. 백관복. 구군복과 전립. 조복과 홀. 흉배. 상복에 이용 문관 – 학 무관 - 호랑이. 조선 초기 궁중 여인 의상. 저고리 길이 변화. 길이가 짧아져 허리띠를 따로 두름 . 옷고름 , 곁마기도 좁고 짧아짐 . 가체를 씀. 길이가 짧은 저고리. 대란치마.

boone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박문여고 김 옥 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조선 시대 복식 박문여고 김 옥 미

  2. 대례복 왕 –제복 왕비 - 적의 이방자 여사가 소유하고 있던 옷으로 재현한 것

  3. 제복 • 곤복 • 면류관

  4. 상복 • 곤룡포 • 익선관

  5. 조복 • 강사포 • 원유관

  6. 백관복 구군복과 전립 조복과 홀

  7. 흉배 • 상복에 이용 • 문관 –학 • 무관 - 호랑이

  8. 조선 초기 궁중 여인 의상

  9. 저고리 길이 변화 • 길이가 짧아져 허리띠를 따로 두름. • 옷고름, 곁마기도 좁고 짧아짐. • 가체를 씀.

  10. 길이가 짧은 저고리

  11. 대란치마 • 스란단이 두 개 • 스란단 문양 왕비 –용문 공주 –봉황문 사대부 여인- 글자,화문

  12. 적의 왕비와 왕세자비의 대례복

  13. 활옷 상류층의 혼례복 후에는 서민들도 착용

  14. 원삼 • 성장 예복 • 황후-황원삼 • 왕후-홍원삼 • 공주,반가녀-녹원삼 • 서민-혼례복

  15. 당의 • 간이 예복-평례복 위에 입는 소례복 • 왕족 –직금과 부금을 함. • 겨울 –녹색,자색 겹당의 • 여름 –흰색 홑당의

  16. 장옷 과 쓰개치마

  17. 가체 –얹은 머리

  18. 머리장식 조바위 조바위 남바위 아얌 남바위 굴레

  19. 머리 모양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