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6

내게 맞는 컴퓨터 컴퓨터 부품설명 컴퓨터 조립하기 CMOS - Setup 확인 학습 문제 간단한 컴퓨터 수리

내 손으로 만드는 컴퓨터. 내게 맞는 컴퓨터 컴퓨터 부품설명 컴퓨터 조립하기 CMOS - Setup 확인 학습 문제 간단한 컴퓨터 수리. 내게 맞는 컴퓨터 찾기. 그래픽. 워드. 게임. 음악. M A I N. 워드를 위한 컴퓨터. 만약 작업이 워드정도라면 좋은 컴퓨터가 필요 없습니다 . 윈도우 운영체계만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정도면 됩니다 . 깨끗한 출력물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성능의 프린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내게 맞는 컴퓨터 컴퓨터 부품설명 컴퓨터 조립하기 CMOS - Setup 확인 학습 문제 간단한 컴퓨터 수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내 손으로 만드는 컴퓨터 내게 맞는 컴퓨터 컴퓨터 부품설명 컴퓨터 조립하기 CMOS - Setup 확인 학습 문제 간단한 컴퓨터 수리

  2. 내게 맞는 컴퓨터 찾기 그래픽 워드 게임 음악 M A I N

  3. 워드를 위한 컴퓨터 만약 작업이 워드정도라면 좋은 컴퓨터가 필요 없습니다. 윈도우 운영체계만 무리 없이 작동할 수 있는 정도면 됩니다. 깨끗한 출력물을 얻기 위해서는 좋은 성능의 프린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적인 작업이라면 레이저 프린터를 쓰는 것이 좋고 일반적으로는 컬러와 흑백을 함께 출력할 수 있는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M A I N

  4. 그래픽 작업을 위한 컴퓨터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그래픽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그래픽 프로그램은 높은 수준의 컴퓨터 사양을 필요 로 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와 메모리의 용량이 커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포토샵 같은 프로그램은 64MB 이상의 메모리를 권장사양 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래픽 프로그램뿐 아니라 대용량의 그래픽 데이터 특히 동영상 작업 을 위해서는 크고, 빠른 하드를 필요 로 합니다.이때 10GB이상의 SCSI방식의 하드를 많이 사용합니다. CPU는 펜티엄II급 이상이 적합 합니다. 그 외 모니터는 17”이상이 좋으며 그래픽 카드는 24BIT 컬러 이상의 색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작업에 따라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디지 타이저, CD-RW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M A I N

  5. 게임을 위한 컴퓨터 최신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고성능의 컴퓨터를 필요로 합니다. 요즘 판매되는 3D게임들은 3D가속기능을 가진 그래픽 카드, 빠른 CPU(Pentium II이상), 고용량의 메모리(64MB이상), 충분한 용량의 HDD가 필요합니다. 게임을 실감나게 즐기기 위해서는 사운드 카드의 역할도 중요한데 요즘에는 게임을 위한 3D 입체 음향을 지원하는 사운드 카드도 있습니다. M A I N

  6. 음악을 위한 컴퓨터 컴퓨터 음악을 하기 위해서는 사운드 카드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요즘은 128POLY (128음 동시 발현)할 수 있는 사운드 카드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하드레코딩 기능과 미디(MIDI)기능도 중요합니다.하드레코딩은 WAV8트랙 이상 레코딩 가능한 사운드 카드가 많이 쓰이며 MIDI 기능은 과거 사운드 카드의 경우 칩에 음원이 내장되어 있었으나 요즘에는 폰트램에 원하는 음원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무엇보다도 사운드 카드는 일단 원음을 깨끗하게 재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날로그 앰프를 사용 할 때는 잡음이 많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디지털앰프를 사용하는 것 이 잡음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하드레코딩을 할 때는 충분한 크기(10GB)의 HDD가 필요합니다. M A I N

  7. 컴퓨터 부품설명 C P U 메인보드 메모리 HDD FDD 사운드카드 그래픽카드 CD-ROM 드라이브 모뎀 기타 M A I N

  8. C P U 란? + + CPU 는 ‘Central Processing Unit’로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서 두뇌라고 할 수 있는 부품으로 컴퓨터의 성능과 가장 큰 연관성이 있습니다. 현재 쓰이는 PC용 CPU의 종류는 Intel의 ‘펜티엄’ 제품군과 AMD의 ‘K6’제품군, Cyrix의 ‘6x86’제품 군 등이 있습니다. M A I N

  9. 란? 메인보드 + 컴퓨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연결해 주는 포트와 슬롯을 지니고 여러 가지 부품과 연결하여 주는 전자회로 입니다. 모든 주변 부품들(CPU, 램,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은 메인보드와 연결되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메인보드는 형태별로 AT, ATX형이 있으며 현재 ATX형으로 바뀌 는 추세입니다. ATX형은 조립의 편이성과 전원관리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M A I N

  10. 란? 메모리 + 메모리는 컴퓨터가 어떤 작업을 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다시 말하면, 컴퓨터가 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스환경에서는 메모리가 그리 커다란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운영 체제가 윈도우즈95로 넘어가면서 메모리의 요구량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메모리의 종류는 현재 72핀 메모리와 168핀 메모리가 쓰이고 있으나 72핀 메모리는 점차 사라져 가는 추세입니다. M A I N

  11. 란? 하드디스크 + 고용량의 저장매체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아주 중요한 매체입니다. 메모리와 달리 일단 저장된 데이터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소실되지 않습니다. 윈도우나 워드 등 우리가 쓰는 프로그램은 바로 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것 입니다. M A I N

  12. 란? F D D +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는 이동성이 있는 저장장치로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합니다. 일반적으로 용량이 1.44MB로 작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작은 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M A I N

  13. 란? 사운드 카드 + 사운드 카드란 컴퓨터에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 입니다. ISA방식, PCI방식이 있으며 성능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점차 메인보드에서 ISA슬롯을 줄이는 추세이므로 PCI방식으로 바뀌어 가고있습니다. 사운드 카드의 가격차이는 큰 편이지만 일반적으로 음질의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M A I N

  14. 란? 그래픽 카드 + 모니터에 출력을 담당하는 장치 입니다. 사용 용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요즘에는 일반적으로 3D처리를 빠르게 해주는 3D가속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CI방식과 AGP방식이 쓰이는데 요즘에는 그래픽처리에 보다 낳은 성능을 보이는 AGP방식이 주로 쓰입니다. M A I N

  15. 란? CD-ROM DRIVE + 최대650MB의 용량을 지니는 보조기억장치로 다른 이동형 저장장치 보다 빠른 속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큰 용량과 저렴한 가격이 장점 이며, 현재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CD-ROM의 형태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CD-ROM드라이브는 저장은 할 수 없고 읽기만 할 수 있는 장치 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CD Writer라는 CD에 저장도 할 수 있는 장치의 보급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M A I N

  16. 이란? 모 뎀 + 전화선을 통해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장치입니다. 속도에 따라 33.6K, 56K등이 있으며 현재는 ADSL, ISDN, Cable 통신 등, LAN 선을 이용한 초고속 이동통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 니다. 그러나 LAN선이 깔려있지 않은 곳에서는 전화선을 이용한 모뎀을 이용 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 A I N

  17. 모니터 • 그래픽 카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 출력장치 • 키보드와 마우스 • 가장 보편적인 입력장치로 사용자의 명령을 컴퓨터에 전달하는 • 역할 • 케이스와 전원공급장치 • 컴퓨터를 외부압력과 이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AT와 ATX형의 두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전원공급장치는 • 컴퓨터에 필요한 전원을 일정하게 보내주는 장치로 컴퓨터의 • 안정적 동작을 위해 중요한 장치입니다. M A I N

  18. 컴퓨터 조립하기 조립의 장점 Step1: 메인보드 고정 Step2: 전원커넥터연결 Step3: 여러 패널단자연결 Step4: CPU설치 Step5: 메모리설치 Step6: 카드 슬롯에 연결 Step7: HDD와 CD-ROM설치 Step8: FDD연결 Step9: 마무리 단계 M A I N

  19. 컴퓨터 조립의 장점 경제적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절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마치 시중에서 판매하는 인스턴트 음식에 비해 정성이나 맛이 떨어지지만, 가격이 비싼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DIY 조립 품과 완제품 역시 직접 요리한 음식과 인스턴트 식품에 비유 할 수 있습니다. DIY 조립 품은 대기업 제품에 비해 전혀 성능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용산 가격 보다 더 싸게 자기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무엇보다 매력적입니다. 컴퓨터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를 처음부터 끝까지 스스로 조립하게 되므로 컴퓨터의 동작원리나 기초지식을 쉽게 터득할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컴퓨터를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교육을 받지 않고도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M A I N

  20. 컴퓨터 조립의 장점 구미에 맞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컴퓨터의 사용 용도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대학에 갓 들어간 새내기 학생에게는 리포트 작성용, 회사 업무에 바쁜 아버지는 정보 검색용 , 그래픽 디자이너에겐 그래픽용 등등.. 각자의 용도에 맞는 특징적인 컴퓨터를 DIY 컴퓨터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말입니다. 업그레이드가 쉽게 가능해 집니다. 자기가 만들었고 또한 자기 컴퓨터에 대한 사양 및 특징을 알고 있으므로 나중에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때 쉽게 원하는 부품만을 사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M A I N

  21. Step1. 메인보드 케이스에 고정시키기 메인보드를 케이스 안쪽에 위치시키고 알맞은 위치에 나사를 고정시킨다. 메인보드 종류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케이스에는 여러 곳에 메인보드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위치가 있다. 이 중 자신의 메인보드와 맞는 곳에 고정시키면 된다. 그림설명  동영상보기 M A I N

  22. 1. 케이스 위치잡기 케이스의 여러 곳에 메인보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이 보인다.이 중 자신의 메인보드에 맞는 위치를 골라서 메인보드 와 나사로 고정시키면 된다. M A I N

  23. 2. 메인보드 고정시키기 드라이버로 나사를 고정시킨다. M A I N

  24. Step2. 전원 커넥터 연결하기 전원공급장치가 AT형이라면 검은색 선이 가운데로 모이게 꽂아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 많이 쓰이는 ATX형 전원에서는 한쪽으로만 꽂을 수 있으므로 방향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원 공급 커넥터를 메인보드에 ‘딸깍’ 소리가 나면서 고정 될 때 까지 밀어 넣습니다. M A I N

  25. Step3. 여러 패널 단자를 연결 케이스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Power LED :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표시합니다. HDD LED : 하드디스크 사용 중에 불이 들어옵니다. Speaker : 본체에 달린 스피커와 연결됩니다. Power SW : 컴퓨터를 켜는 스위치와 연결됩니다. Reset SW : 컴퓨터를 Reset(다시 시작)합니다. -> 여러 연결 단자들은 메인보드에 따라 연결 위치가 다르므로 메인보드와 함께 들어 있는 메뉴얼을 참고하여 연결합니다. M A I N

  26. Step4. CPU를 설치 CPU고정용 지지대를 양쪽으로 벌리고 CPU를 ‘딸깍’소리가 날 때 까지 밀어 넣습니다. (셀러론의 경우에는 지지대가 맞지 않는데 그냥 슬롯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됩니다.) CPU에 부착되어 있는 냉각 팬의 전원 케이블을 메인보드에 연결합니다.이때, 팬 쿨러의 전원연결 소켓의 위치가 메인보드 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매뉴얼을 참고합니다. 그 림 설 명  동영상보기 M A I N

  27. 1. 지지대 벌리기 C P U 지지대를 양 옆으로 벌린다. M A I N

  28. 2. C P U 끼우기 CPU와 SLOT에 있는 홈의 위치를 보고 알맞은 방향으로 끼운다. M A I N

  29. 3. C P U 쿨러 연결하기 CPU를 SLOT에 삽입한 후 CPU쿨러 전원케이블을 메인보드에 있는 CPU쿨러용 점퍼와 연결한다. M A I N

  30. Step5. 메모리 설치 비어있는 메모리 뱅크의 고정 날개를 펴고 ‘딸각’ 소리가 날 때 까지 밀어 넣습니다. 메모리의 방향은 메인보드에 있는 메모리 뱅크에 있는 튀어나온 부분과 메모리의 홈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하면 됩니다. 그 림 설 명 동영상보기 M A I N

  31. 1. 고정 날개 펴기 메모리 뱅크의 고정 날개를 양 옆으로 폅니다. M A I N

  32. 2. RAM 끼우기 램을 위치에 맞추어 수직으로 끼워 넣는다. M A I N

  33. Step6. 각종 카드를 슬롯에 설치 이번에는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모뎀등을 슬롯에 설치해야 합니다. 슬롯의 종류에는 ISA, PCI, AGP가 있는데 카드에 따라 알맞은 슬롯에 설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연결해야 할 카드와 슬롯을 알려면 카드의 형태와 슬롯의 모양을 비교해보면 됩니다. 요즘은 ISA슬롯은 점차 쓰이지 않고 PCI슬롯으로 바뀌어가는 추세입니다. AGP 슬롯의 경우는 그래픽 카드에만 쓰이는 슬롯입니다. 설치방법은 카드를 슬롯에 밀어넣고 나사로 고정시키면 됩니다. 그 림 설 명 동영상보기 M A I N

  34. M A I N

  35. Step7. 하드디스크와 CD-ROM드라이브의 설치 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를 살펴보면 Master, Slaver, Cableselect 등을 설정하는 점퍼를 볼 수 있습니다. 하드 디스크의 경우는 하드디스크가 하나인 경우 Master로 설정 하고 , 하드디스크가 둘인 경우는 slave로 설정 합니다. CD-ROM 드라이브는 Master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M A I N

  36. 1. 점퍼 셋팅하기 HDD 표면에 있는 설명에 따라 점퍼를 맞춘다. M A I N

  37. CD-ROM드라이브의 점퍼를 셋팅 한다. 알맞은 위치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M A I N

  38. 2. 하드디스크와 CD-ROM드라이브 연결하기 케이스에 밀어넣은 후 나사로 고정시킵니다. 그 다음 전원 커넥터로 연결합니다. 전원 연결 부분의 모양에 맞는 방향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됩니다. M A I N

  39. 마지막으로 IDE케이블을 연결합니다. IDE케이블에는 붉은 선 이 보이는데 붉은 선을 커넥터의 1번 방향쪽으로 위치하게 꽂으면 됩니다. IDE케이블의 한쪽 끝을 메인보드에 다른 끝을 하드디스크나 CD-ROM에 연결하면 됩니다. 이 때 하드와 연결된 케이블은 메인보드의 IDE1에 연결하고 시디 롬과 연결 된 케이블은 IDE2에 연결합니다. 시디 롬은 사운드 카드와 음원 연결 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음원 연결 선은 시디 롬 드라이브에서 음악 CD를 play할 때 소리를 사운드카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림 설 명 동영상보기 M A I N

  40. 동영상보기 M A I N

  41. M A I N

  42. Step8.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설치 1.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케이스에 밀어 넣습니다. 2. 전원을 연결한 후에 FDD케이블로 하드디스크와 같이 붉은색 부분이 커넥터의 1번 핀 부분으로 위치하도록 끼우면 됩니다. M A I N

  43. M A I N

  44. 3. FDD케이블의 다른 쪽 끝은 메인보드의 FDD용 커넥터와 연결하면 됩니다. 주의 : FDD와 케이스를 나사로 단단히 고정시키지 않으면 소음의 원인인 될 수 있습니다. M A I N

  45. Step9. 마무리 단계 • 이제는 지금까지의 작업을 마무리 하는 단계입니다. • 나사들을 확실히 조여 고정시킨다. • 케이블들을 확인한 후 케이스를 닫는다. •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스피커를 연결한다. 사진을 통한 연결포트 설명 M A I N

  46. M A I N

  47. M A I N

  48. CMOS 셋업하기 CMOS 셋업은 간단히 설명하면 롬 바이어스에 저장된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의 역할은 메인보드에 어떤 하드디스크가 연결되었는지, 어떤 그래픽카드가 장착 되었는지, 메모리는 몇 MB가 삽입되었는지를 메인보드에 알려주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메인보드의 롬 바이어스에 저장되어 시스템 부팅 시 특정 명령 키를 누르면 실행되며, 여기서 변경된 내용은 CMOS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이 메모리에 수록된 정보는 시스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계속 저장되어, 이후 컴퓨터가 부팅될 때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조립 후 처음 컴퓨터를 켜면 당연히 CMOS에는 아무런 정보도 수록되어 있지 않지만, 기본적인 정보는 갖추고 있으므로 하드디스크 타입 같은 몇몇 중요한 설정만 맞춰주면 이후부터는 무난히 사용할 수 있다. 이제 CMOS의 정보를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설정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M A I N

  49. 완성된 시스템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넣자. 만약 앞의 방법대로 정확히 조립을 마쳤다면 시스템에 불이 들어오고 비디오카드의 롬 바이어스가 잠시 나타난 뒤 메인보드의 바이오스가 나타날 것이다. 만약 아무런 내용도 나타나지 않고 삐삐 소리만 들린다면 조립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있는 것이니 다시 앞의 방법을 순서대로 확인해 본다. 바이오스 화면에서는 해당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의 이름과 버전이 나타나고 메모리체크가 진행된다. 이제 CMOS셋업 화면으로 들어가보자.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에 따라 CMOS셋업으로 들어가는 명령키는 다른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어워드(Award)바이오스의 경우 [Del]키를 누르면 된다. 대개의 경우 바이오스 초기화면의 하단을 보면 CMOS 셋업 으로 들어가는 명령키가 무엇인지 알 수 있다.어워드 바이오스가 실행된 초기화 면이다. 여러 항목이 나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방향키를 이용하여 항목을 이동 한 뒤 [Enter]키를 누르면 선택된 항목의 세부설정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초기 화면으로 돌아오려면 [ESC]키를 누른다. M A I N

  50. Standard CMOS Setup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 비디오카드, 메모리, 날짜와 시간 등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를 설정하는 곳이다. 1. 컴퓨터의 내부달력과 시계를 설정하는 영역 2.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지정하는 곳. 네 개까지 하드디스크를 지정 할 수 있는데, 일단 'Type‘ 만 'Auto'로 지정해두고 넘어가자. 3. 플로피디스크 설정 영역이다. 1.44MB 용량 의 A드라이브 하나만 사용할 것이므로 B드 라이브 항목은 'None‘으로 설정한다. 4. 그래픽카드 설정영역으로 'EGA/VGA'를 선 택한다 5. 메인보드의 메모리 상황을 알려주는 영역. 메모리 용량은 자동으로 체크된다 M A I 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