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4

신경 생리

신경 생리. Neurophysiolgy. Nervous system 은 우리 몸 안팎에서 일어나는 여러 자극을 수용 하고 , 이를 종합 분석 한 후 우리 몸의 기능이 다른 여러 조직들이 적절한 반응 을 할 수 있도록 조절 , 통제 하는 특수조직계통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우리 몸의 두 가지 기전 호르몬에 의한 조절 신경계에 의한 조절. 수용기 (receptor) : 자극이 가해진 부위의 신경 말단 효과기 ( Effector ) : 반응을 일으키는 부위. < 신경계통의 분류 > 구조적 :

connor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신경 생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신경 생리 Neurophysiolgy

  2. Nervous system은 우리 몸 안팎에서 일어나는 여러 자극을 수용하고, 이를 종합 분석한 후 우리 몸의 기능이 다른 여러 조직들이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조절, 통제하는 특수조직계통 • 인체의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우리 몸의 두 가지 기전 • 호르몬에 의한 조절 • 신경계에 의한 조절

  3. 수용기(receptor) : 자극이 가해진 부위의 신경 말단 효과기(Effector) : 반응을 일으키는 부위

  4. <신경계통의 분류> • 구조적 : • CNS • PNS • 기능적 : • ANS • Voluntary Nervous System

  5. 신경조직 • 신경세포(neuron) • 신경교세포(neuroglia)

  6. 신경세포(neuron) • 신경세포의기능적, 구조적 최소단위 • 신경세포의 구조

  7. 세포체(cell body) 핵,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용해소체 니슬소체(Nissl body)-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과립내형질세망(염기성 색소에 쉽게 염색) ☞신경계에서 세포체가 모여있는 부분이 회색을 띄게 함

  8. 수상돌기(가지돌기, dendrite) 신호를 받아들이는 부위 • 축삭(axon) 신경세포로부터 효과기로 신호를 전달 연접(synapse) 종말단추

  9. 신경세포의 구분 • 형태에 따라 • 다극뉴런(Multipolar neurons) : 세포체로부터 뻗어 나온 여러 개의 수상돌기와 하나의 축삭 (운동신경) • 단극뉴런(Unipolar neurons) : sensory neurons - conducting impulses into the CNS • 양극뉴런(Bipolar neurons) sensory neurons – 눈의 망막

  10. B. 기능에따라 • motor neurons 날신경(원심신경)Efferent Neuron • sensory neurons 들신경(구심신경) Afferent Neuron • interneuron association neuron, connecting neuron C. 수초의유무에 따라 ① 유수신경섬유 Myelinated nerve fiver ② 무수신경섬유 Unmyelinated nerve fiver

  11. <말이집(수초) Myelin sheath> 말초에는 슈반 세포 Schwann cells가 축삭을 둘러싸고 있다. (말초의 축삭 손상 시 재생에 관여) ※ 랑비에 마디 node of Ranvier - 도약전도

  12. 신경교세포(neuroglia)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버팀세포들 • 중추 • 별아교(성상교)세포 atrocities: 혈액뇌장벽의 구성요소 • 미세아교세포 microglia : 포식작용 •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s : cerebrospinal fluid 생성 •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 : myelin sheath 형성에 관여

  13. 말초 • Schwann cells – PNS 에서 myelin sheath • 위성세포(satellite cells) – 신경세포체 주위를 감싸는 세포 신경절(ganglion)의 세포체를 둘러 싸 피막 형성

  14. 신경세포의 흥분 전도 • 안정막 전압(Resting membrane potential) 미세전극을 안정상태의 축삭 표면에 접촉시키고 전압계에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한 쪽 전극을 세포막 내에 넣으면 전류가 흘러 세포 안과 밖의 일정한 전압차를 보인다. 세포막을 경계로 세포 안 쪽은 바깥 쪽에 비하여 음전하를 띰 ☞안정막 전압 (신경 : - 70mV)

  15. 이러한분극(polarization)상태가 생기는 이유 • ICF와 ECF의 이온농도 차 K+ : 세포 내에 30배 ↑ Na+: 세포 외에 10배 ↑ • 이온에 대한 세포막의 투과성 Na+의투과성은 K+ 의 1/100 Na+ 세포막을 투과하기 어려우나 K+ 은 농도경사를 따라 세포 밖으로 나가려고 함 Na+ - K+ Pump: Na+ 3개 나가고, K+ 2개 들어옴 더 많은 양전하를 세포 밖으로 배출 세포막 내부는 전기적으로 음성

  16. 활동전압(action potential) • 안정상태의 세포에 역치(threshold)이상의자극이 가해지면 세포막의 Na+ 투과성이 갑자기 증가(Na+ channel) • 빠른 속도로 Na+ 세포 내 유입 →막전압 감소 : 탈분극(depolarization) : -70mV → 0mV → +30mV 가시전압(spike potential)

  17. 시간이 지나면 세포막의 Na+ 투과성이 정상으로 회복되면서 다시 안정막 전압으로 복귀 →재분극(repolarization) K+ 에 대한 투과성 증가 Na+ - K+ Pump에 의해 세포 내 유입되었던 Na+ 이 다시 세포 밖으로 → 안정막전압 Na+ 통로폐쇄 K+ 통로개방

  18. <신경흥분은 어떻게 전도되는가?> • 전류는 (+)에서 (-)로 흐른다. • 활동전압이 발생된 신경섬유의 국소부위가 의 유입으로 (-)에서 (+)로 바뀌면 국소전류가 인접부위 자극 • 바로 옆 안정부분의 막전압에 영향을 미쳐 탈분극시킴 • 생체에서 활동전압은 세포체에서 신경말단을 향하여 흐름

  19. <도약전도> myelin sheath는 절연체의 역할을 하므로 수 mm 간격으로 수초가 없는 마디로 국소전류가 건너뛰어 흐른다. Ranvier결절

  20. <활동전압이 발생하기 위한 조건> • 역치 이상의 자극강도 • 충분히 빠른 속도 •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어야 함 <실무율All or none law> 신경에자극이 가해질 때 역치 이상일 경우 자극의 강도에 관계 없이 활동전위가 같은 크기로 발생하지만 역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전혀 활동전위가 일어나지 않음

  21. <불응기(refractory period)> • 절대적 불응기 • 활동전압이 생성되어 일정기간 동안 아무리 큰 자극을 가해도 반응하지 않는 기간 • 상대적 불응기 • 활동전압의 말기에 자극의 강도가 역치자극 보다 강한 경우에 반응하는 기간

  22. 연접 synapse • 신경세포와 또 다른 신경세포가 연결되는 부위 • 연접전막(presynapticmemb.), 연접틈새(synaptic claft), 연접후막(postsynaptic memb.)

  23. 활동전압이종말단추에 도달하면 종말단추의 소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이 synaptic claft로 유리되면 연접후막의 receptor와 작용하여 다음 neuron에 활동전압을 유발시킴

  24. 연접의 구분 • 연접 양상에 따라 • 축삭-수상돌기 연접 • 축삭-세포체연접 • 축삭-축삭연접 • 축삭-수상돌기-세포체 연접 • 정보 전달 방식에 따라 • 전기연접 : 세포 사이의 gap junction으로 직접 다음 세포로 활동전위를 전달하는 방식(심근) • 화학연접 - 흥분성 연접 :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EPSP) - 억제성 연접 :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IPSP)

  25. 화학연접에서의 흥분 전달 방식 • 흥분이 종말단추에 도달하면 Ca2+통로 활성화 • ECF의 Ca2+ 이 세포 내로 유입 • 소포에 작용 • 소포의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을 synaptic claft로 유리 • neurotransmitter 가 확산에 의해 연접후막의 receptor와 결합하면 • 연접후막의 이온통로가 열림 (K+ channel, Na+ channel) • 연접 후 신경의 흥분 or 억제 • receptor 로부터분리된 neurotransmitter 는 빠르게 분해되어 종말단추로 흡수

  26.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 활동전압이 종말 단추에 도달하면 종말단추의 소포에 저장되어 있다가 synaptic claft로 유리되어 표적세포를 흥분 또는 억제시키는 화학물질의 총칭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아민화합물 카테콜라민(catecholamine) : Dopamine, norepinephrine, epinephrine Serotonine, histamine • 아미노산물질 흥분성: glutamate, aspartate 억제성 : GABA(γ-aminobutyric acid), glycine • 신경펩티드 Endorphin, substance P • 기타 Prostaglandin, ADH, oxytocin…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을 약리학적으로 이용한 많은 약물들이 있다.

  27.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brain & spinal cord  • 체성 감각수용기와 내장의 감각수용기로부터 전달 받은 자극에 대하여 최상의 반응을 결정하기 위해 정보를 해석하고 조절하며 통합한다.

  28. < 뇌의 발생학적 구분 > • 전뇌Procencephalon ① 종뇌Telencephalon – (대뇌피질) ② 간뇌 Diencephalon – (간뇌) • 중뇌 Mecencephalon ③ 중뇌 Mecencephalon • 능뇌Rhombenephalon④ 후뇌Metencephalon ⑤ 수뇌 Myelencephalon (뇌간) ※ 신경관으로부터 발생하므로 가운데가 비어있다. --- 뇌실

  29. 뇌의 대사를 위해서는 몸 에너지 소비량의 30% 필요 ☞ 항상 일정량의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받아야 함 • 주된 에너지 원 : glucose • 산소 없이 에너지 생성하지 못하므로 4~5분 이상 뇌에 산소 공급이 끊어지면 뇌 손상 • Blood brain barrier 혈관과 뇌조직의 선택적 물질이동 지용성물질, O2, CO2, alcohol, 환각제, 스테로이드 등은 쉽게 통과하지만 분자량이 큰 단백질, 독소, 대부분의 약물은 통과하지 못한다.

  30. 이마엽 마루엽 뒤통수엽 관자엽

  31. 대뇌피질의 기능영역 • 1차 운동영역 Motor areas • 1차 감각영역 Sensory areas

  32. 운동언어영역 Motor speech area ( Broca’s area) ; Brodmann 44 ----운동성 실어증 Motor aphasia • 청각연합영역 Auditory association area ; Brodmann 22 (Wernicke's area) -- 감각성 실어증 Sensory aphasia

  33. 시각영역 Visual areas • 1차 시각영역 Primary visual areas ; Brodmann 17 • 시각연합영역 Visual association areas ; Brodmann 18

  34. 후각영역 Olfactory area--- 측두엽의내측면 • 전전두영역Prefrontal area • 인간의 지능이 자리잡은 곳으로 생각되는 영역 • 판단, 통찰, 적당한 행동의 선택

  35. 기저핵Basal Ganglia • telencephalon에서 유래된 백질 내에 있는 cell body의 덩어리 • 기저핵의 기능 ⅰ.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system 의 경로 ⅱ. 근육의 긴장 조절 ⅲ. 대뇌의 과다한 골격근 운동의 억제 및 조절 ⟶ 알맞은 힘의 조절 등의 미세한 근육운동의 조절

  36. ※ 질병이나 외상에 의한 기저핵의 손상 시 심각한 운동실조가 생길 수 있다.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 무도병Chorea, • 무정위 운동 Athetosis등의 질환과 관련 기저핵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 : dopamine, acetylcholine GABA, glutamate, serotonin, norepinephrine 신경세포에억제성으로 작용,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운동 제어

  37. 변연계Limbic system • 정서적 행동과 동기유발을 조절하는 신경회로 • 간뇌를 둘러싸고 있는 가장자리 피질 영역(고피질) • 본능적 행동의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요소 • 감정, 정서, 본능(성욕, 기아, 분노, 공포, 충만감 등) • 자율신계의 고위중추인 시상하부에 대한 통합을 수행 • 행동의 의욕, 학습, 기억과정에 관여 대상회

  38. 간뇌 (Diencephalon) – 시상, 시상하부 • 시상 thalamus • 후각을 제외한 피부감각, 심부감각, 미각 등 모든 감각이 대뇌에 전달되기 전에 synapse하는 부위 • 다양한 핵으로 구성 • 기능 • 감각을 통합 : 감각의 강화나 감소 • 위치감각, 걷는 상태 유지 : 망상체, 기저핵과tract이 형성되어 있고 대뇌피질 운동영역과 신경회로 형성 • 감각자극에 대한 자율신경 반응에 관여 • 감정의 해부학적 통로

  39. 시상하부 (Hypothalamus) • 시상의 아래쪽에 위치 • 뇌하수체 pituitary gland와 연결 • 신체의 visceral control center <기능> • 체온조절중추 (앞 : 온열, 뒤 : 한냉) • 섭식중추(공복, 포만) • 음수중추(drinking) (혈중 삼투압 ↑: 갈증 유발) • 정서(공포, 분노, 기쁨, 놀라움, 애정, 증오) →변연계와 연결됨 • 뇌하수체 기능 조절 (전엽: 방출호르몬, 억제호르몬/ 후엽: 신경성 조절) • 본능 (대뇌피질로부터 억제 / 상행성 경로는 변연계 활성화) • 생체리듬 : 수면과 각성 • 상이한 감정상태에 따른 내장반응 연수와 연결

  40. 뇌간(brain stem) : 중뇌, 교, 연수 • 중뇌 midbrain (mesencephalon) ①중뇌개Tectum ; 배측 • 상구 superior colliculi ; 시각전도로의 중계소 • 하구 inferior colliculi ; 청각전도로의 중계소 ② 피개Tegmentum ⅰ. 적핵Red nucleus ; 추체외계로의운동핵 ⅱ. 3, 4번 Cranial nerve의 핵 ⅲ. 흑질Substantianigra ; dopamine neuron의 핵 ⅳ. 망상체Reticular formation : consciousness, wakefulness, sleep 관련 핵들 ③ 대뇌각 peduncles • 운동신경의 신경로

  41. Parkinson's disease 흑질substantianigra에서 dopamine을 생성하지 못해 dopamine이 고갈됨.

  42. 교(Pons) • 대뇌반구와 소뇌, 척수, 중뇌, 간뇌를 연결 <기능> • 호흡 조정 중추 ⅰ. 호흡조절중추 pneumotaxic center ⅱ. 지속성흡식중추apneustic center • 대뇌반구에서 소뇌로 정보 중재 • Cranial nerve 기시 - 삼차 Trigeminal (V), 외전 Abducens (VI) 안면 Facial (VII), 전정 Vestibulocochlear (VIII)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