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분자생명과학부 화학전공 박 진 선

Total Synthesis of ( + )-13-Deoxytedanolide Amos B. Smith, III,* Christopher M. Adams, Stephanie A. Lodise Barbosa, and Andrew P. Degnan 2003 , 125, 350 - 351. 분자생명과학부 화학전공 박 진 선. Introduction. 1. Bioactivity

david-riggs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분자생명과학부 화학전공 박 진 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Total Synthesis of (+)-13-Deoxytedanolide Amos B. Smith, III,* Christopher M. Adams, Stephanie A. Lodise Barbosa, and Andrew P. Degnan 2003, 125, 350-351 분자생명과학부 화학전공 박 진 선

  2. Introduction 1. Bioactivity potent cytotoxic macrolide인 Tedania ignis는 카브리해에서 흔히 발견되는 해면동물(fire sponge)로 피부에 달라붙어 burning sensation과 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nitroenous metabolites( ex> mycalysins A(B), mycalamides A(B) )의 soure로 복잡한 18-membered macrocycles는 antitumor activity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2. Isolate & Structure 1984년 schmitz group이 Tedania ignis 에서 bioassay(KB system)를 한 후 chromatography와 HPLC, recrystallization(benzene-chloroform)을 하여 (+)-tedanolide를 isolate하였고 1991년 Fusetani group이 Mycale adhaerens에서 (+)-13-deoxytedanolide 를 isolate 하는데 성공하였다. Structure의 analysis는 FABMS,13C-NMR spectrum,1H-NMR spectrum, X-ray 로 분석하여 unusual structure feature인 four labile aldol units, 18-memberd lactone formed at a primary hydroxy(보통 secondary hydroxyl을 가짐) 그리고 α-epoxy alcohol의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밝혔다.따라서 Tedanolide는 강한 biological activity뿐만 아니라 그것의 새롭고 복잡한 structure로 더욱 유명하게 되었다.

  3. Retrosynthesis

  4. Synthesis of compound (+)-5 (iodide)

  5. Mechanism 1

  6. Mechanism 2

  7. Mechanism 3

  8. Mechanism 4

  9. Mechanism 5

  10. Synthesis of compound (-)-14

  11. Mechanism 6

  12. Synthesis of (+)-13-deoxytedanoide(1)

  13. Synthesis of (+)-13-deoxytedanoide(2)

  14. Mechanism 7

  15. Mechanism 8

  16. Mechanism 9

  17. Synthesis of compound (-)-4 (1)

  18. Synthesis od compound (-)-4 (2)

  19. Conclusion • 1984년에 Schmits와 co-workers가 Tedania ignis에서 isolate한 (+)-tedanolide는 X-ray diffraction를 통해 18-membered macrolide의 복잡한 구조를 가진 absolute stereochemistry로 흔하지않은 oxygen의 dispersion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1991년 Fusetani와 co-works는 Japanese sponge Mycale adhaerens부터 13-deoxy congener를 isolate하고 structure 설명을 하였다.(JACK 1984 106 7251-7252) • 2. Bioactivity를 확인하기 위해 mice의 lymphocytic leukemia cells에 Tedanolide를 심어넣었을 때 mice의 수명을 연장시켰고 KB와 PS cell line에 대하여 in vitro cytotoxicity과 in vivo antitumor activity를 나타내었다. Deoxytedanolide 또한 중요한 antineoplastic activity를 보였다. (OL 1999 1 1249-1252) • 3. Lactonization에서 보기 힘든 macrolides를 나타내는 Tedacolide와 deoxytedanolide는 일반적인 secondary hydroxyl 대신 primary hydroxyl을 가지며 높은 level의 oxygen functionality를 보인다. 이 논문은 1995년 처음 tedanolide와 13-deoxytedanolide의 unified strategy를 연구하여 총 35steps, 38%의 yield로 (+)-13-Deoxytedanolide를 합성하였다. 이 합성에서의 관건은 six epimerizable centers의 결합에서의 불안정한 trisubstituted epoxide와 tedanolides backbone의 거의 모든 carbon이 functionalised되어있는 것으로 효과적인 protecting group을 구성하는 것이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PMB,DEIPS,Ac,I,dithianes,SEM,TIPS,Me의 protecting,deprotection을 통해 이 문제를 풀어나가 전 합성을 성공하였다.(JACS 2003 125 350-351) • 4. Product의 확인은 500MHz 1H NMR,125MHz 13C NMR, HRMS, optical rotation λmax, TLC in three different solvent system으로 하였다. (JACS 2003 125 350-351)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