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0 likes | 995 Vues
정보처리개론. 대학생을 위한 컴퓨터 활용. IV. 인터넷. 목차. 1 장 인터넷 2 장 IExplorer 의 기능 3 장 검색 엔진 4 장 전자우편 5 장 유즈넷 사용하기 6 장 FTP 와 Telnet 7 장 홈페이지 작성법 8 장 교내 인트라넷 환경. 1 장 인 터 넷. 1. 인터넷의 개요. 인터넷의 개요 인터넷이란 전 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한 세계 최대의 컴퓨터 연결망을 의미
E N D
정보처리개론 대학생을 위한 컴퓨터 활용 IV. 인터넷
목차 • 1장 인터넷 • 2장 IExplorer의 기능 • 3장 검색 엔진 • 4장 전자우편 • 5장 유즈넷 사용하기 • 6장 FTP와 Telnet • 7장 홈페이지 작성법 • 8장 교내 인트라넷 환경
1. 인터넷의 개요 • 인터넷의 개요 • 인터넷이란 전 세계의 컴퓨터를 연결한 세계 최대의 컴퓨터 연결망을 의미 • 1969년 Stanford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Barbara, UCLA, Utah 대학의 4개 기관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망이 성공적으로 연결되어 동작 • 1972년 처음으로 전자 우편(e-mail) 프로그램이 작성 • MILNET이라는 군사 목적의 네트웍과 비군사 목적용으로 만든 연구용 네트웍인 ARPANET으로 구분 • 1980년대 들어와서 ARPANET상의 모든 네트웍들은 TCP/IP 프로토콜로 완전히 교체되고 미과학연구기금(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이 정부와 대학연구기관의 연구를 목적으로 미국전역에 걸쳐 4 대의 수퍼컴퓨터센터를 중심으로 NSFNET를 구축 • TCP/IP를 프로토콜로 채용이후, 인터넷은 본격적으로 더욱 큰 네트웍으로 성장
2. 인터넷의 역사(1/2) • 국외 인터넷의 역사 • 1957년 구소련연방에서는 최초의 Sputnik 지구궤도 위성 발사 • 1958년 미국 국방성은 구소련의 Sputnik에 대응하기 위한 ARPA 창설 • 1968년 ARPA는 BBN과 ARPANET에 대한 계약 체결 • 1969년 UCLA와 Stanford 대학 간의 최초 접속 성공(ARPANET) • 1972년 ARPANET의 공식적인 온라인 데모, DARPA로 개명, E-mail 프로그램 개발, Telnet 표준안(RFC 318) 개발 • 1973년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개발 시작, FTP 표준안(RFC 454) 개발 • 1977년 Mail 표준안(RFC 733) 개발 • 1979년 Usenet(User's Network) 시작 • 1982년 TCP/IP 프로토콜 도입(인터넷 개념 정립) • 1983년 ARPANET(연구용)과 MILNET(군사용)으로 분리 • 1986년 미국과학재단의 5대 수퍼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NSFNET을 구축 • 1990년 ARPANET는 공식 해체되고 주된 기능을 NSFNET으로 이관 • 1991년 NSFNET이 45Mbps(T3급) 속도로 상향되어 오늘날의 인터넷으로 발전, Wais 및 Gopher 시작 • 1992년 WWW(World-Wide-Web)시작, Veronica 시작 • 1993년 InterNIC 창설, Mosaic 개발
2. 인터넷의 역사(2/2) • 국내 인터넷의 역사 • 1982년 서울대-KIET(전자통신기술연구소의 전신) 간 TCP/IP로 SDN(하나망 전신) 구축 • 1983년 미국, 유럽에 UUCP(Unix-to-Unix Copy Program) 연결 • 1985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유럽과 연결 • 1987년 교육(KREN) 연구망(Kreonet) 구성(ARPANet, BITNet 연결) • 1990년 연구망에서 인터넷 연결 • 1993년 HANA/SDN 대역폭 확장, 일반인에게 계정 개방 • 1994년 한국통신, 데이콤에서 본격적인 서비스 제공 • 1995년 본격적인 서비스 시작
3. 인터넷과 WWW(1/3) • 1989년 3월 Tim Berners Lee의 제안에 의해 연구가 시작 • WWW(World Wide Web)이란? • 하이퍼텍스트(HyperText)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관련된 정보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비스 • 하이퍼링크(HyperLink)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Client-Server Model을 기본으로 작동 • Browser: Netscape Navigator, Firefox, Opera, MS Explorer
3. 인터넷과 WWW(2/3) • URL • 인터넷상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주소【예】http://adam.hannam.ac.kr/ Protocol이름 인터넷 주소 프로토콜의 종류
3. 인터넷과 WWW(3/3) • 프로토콜 •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미리 정해 놓은 서로 간의 약속 • 통신시작, 자료 전송시작, 자료의 형태, 전송준비, 전송완료, 전송끝 등에 대한 통신규약을 의미 • 통신을 위해서 프로토콜은 필수적인 요소 • 인터넷의 프로토콜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
4. 인터넷의 주소 체계(1/5)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게 이러한 주소를 분배하고 관리하는 것은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하고 있으며, 주소는 4바이트 32비트로 표현 • 숫자주소 체제는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하므로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쉽도록 의미를 갖는 이름주소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이라 함 • IP Address와 Domain Name은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것이므로 임의로 사용할 수 없음 • 현재 IP 주소체계는 주소가 4바이트로 이뤄져 IP 주소가 2006년~2010년경에는 고갈될 것으로 전망 • 헤더가 비효율적으로 관리된다는 단점이 있어, 새로운 IP 주소체계인 IPv6가 제안 • IPv6는 IP 주소를 위해 128비트를 할당하고, 헤더를 단순화하여 IPv4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
4. 인터넷의 주소 체계(2/5) • IP Address 및 Domain Name • 인터넷상에 있는 모든 시스템은 숫자를 사용한 인터넷 주소(IP Address)인 고유의 Address을 가지고 있음 • IPv4 주소의 일반적인 형식은 마침표(“.”)로 연결된 4개의 숫자(a.b.c.d)로 표현 • 각 숫자는 0-255까지의 숫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4개의 숫자 중 처음의 숫자는 그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이를 subnet이라 부름 • 할당된 네크워크의 크기에 따라 A, B, C class 주소로 나타냄
4. 인터넷의 주소 체계(3/5) • A 클래스 = 0비트로 시작하는 첫 바이트 a • B 클래스 = 10비트로 시작하는 두 바이트 a.b • C 클래스 = 110 비트로 시작하는 세 바이트 a.b.c 네트워크 주소와 클래스별 분류
4. 인터넷의 주소 체계(4/5) •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끝에 국가 명을 쓰며, 끝에서 두 번째는 기관명을 나타냄 예) www.hannam.ac.kr(한남대학교), www.hitel.co.kr(하이텔), www.bluehouse.go.kr(청와대), www.snu.ac.kr(서울대학교) 등 •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끝에 국가 명을 쓰며, 끝에서 두 번째는 기관명을 나타냄 예1) ac- academy(대학교, 학교), edu -education(교육기관)co, com-company(기업체), or또는 org-organization(비영리단체) go 또는 gov-government(정부기관) 예2) kr-한국, at-오스트리아, au-호주, ca-캐나다, fr-프랑스, jp-일본, de-독일, ru-러시아, es-스페인
4. 인터넷의 주소 체계(5/5) • 전자우편 주소 • 전자우편이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사용자 간에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전자우편을 보내기 위한 주소를 전자우편 주소(Email Address)라 함
5. 인터넷 서비스 • FTP •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 전송시 사용되는 통신규약을 의미 • Archie • Archie는 Anonymous FTP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검색하는 도구 • Gopher • Gopher는 메뉴방식에 의하여 원하는 자료를 찾아 갈 수 있도록 함 • Telnet • Telnet은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 곳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 Usenet • Usenet은 일명 전자게시판이라 부르며 어떤 특정 주제에 대해 토론 및 의견 교환을 하거나 새로운 정보 교환 • WWW • 컴퓨터 운영체제의 발달로 윈도우라는 새로운 운영환경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인터넷의 이용방법인 WWW라는 용어가 등장
6. 홈페이지 및 URL(1/3) • 홈페이지 • WWW 접속 프로토콜(HTTP)을 이용하여 WWW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해당 서버는 사용자의 화면에 초기 정보를 보내오는데, 그 서버의 시작 페이지라는 의미로 홈페이지라 함 • 홈페이지는 WWW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표현 • 홈페이지와 같이 Web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를 HTML 문서라 함 • HTML 문서는 문자, 그림, 영상, 소리 등을 포함하며, 화면에서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가능 • HyperText는 정보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 각 정보의 상관관계를 저장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하도록 지원 • 일반적으로 HyperText는 문서에 관련된 정보만을 언급하며, 동영상이나 이미지 등과 같은 정보를 가리킬 때는 HyperMedia라는 용어를 사용
6. 홈페이지 및 URL(2/3) • URL • WWW의 특징은 사용자가 특정 서버에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로도 직접 접속이 가능하다. 이때 파일의 위치를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라 함
6. 홈페이지 및 URL(3/3) 인터넷 서비스 종류
7. 인터넷 접속 서비스(1/2) • 인터넷 접속 서비스란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을 인터넷 접속노드까지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컴퓨터가 인터넷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연결 서비스를 의미 • 인터넷과 접속하는 방법은 크게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방법, 케이블 망을 이용하는 방법,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 • 전용선을 이용하여 직접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회사나 연구소 등이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 • 케이블 TV 가입자가 기존의 케이블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접속하는 방법으로 전용 모뎀이 필요 •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방법은 예전부터 사용하던 아날로그 방식의 모뎀을 이용한 방법 또는 xDSL 모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 • xDSL 접속, 케이블 모뎀 접속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아날로그 통신은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는 상태
7. 인터넷 접속 서비스(2/2) • 전용회선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 주로 기관(대학, 연구소, 회사 등)에서 이용하고 있는 방식 • 대부분 자체 네트워크인 LAN(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고 있고 이러한 네트워크에 전용회선을 사용 • 일반적으로 TCP/IP를 지원하는 통신 프로그램(패킷드라이버)만 설치되어 있으면 인터넷 관련 프로그램들을 수행시켜 인터넷을 사용 • 모뎀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 가정이나 소규모의 회사 등에서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전용회선을 사용하지 못함 • 일반 전화선과 모뎀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연동할 수 있슴 • 인터넷을 통하여 많은 정보를 주고받는 WWW서비스가 활성화되는 데는 고속의 모뎀이 필수
1. 익스플로러 화면구성 • 익스플로러 버전 6 vs 7
2. 시작페이지 변경(1/2) • 홈페이지 관련 버튼 • 현재 페이지: 현재 사용 중이었던 홈페이지를 시작페이지로 지정 • 기본 페이지: 시작 Home page 부분에 익스플로러의 초기치 화면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디폴트 주소:MSN 홈페이지) • 빈페이지: 접속하지 않고 빈 화면을 출력 인터넷 옵션 변경하기 (메뉴 도구▶인터넷 옵션)
2. 시작페이지 변경(2/2) • 도구 모음 변경하기 • 도구 모음을 화면에서 보이게 하거나 숨기고자 할 경우 보기 메뉴에서 설정 • 보기 ▶ 도구 모음 메뉴의 “표준 단추/주소표시줄/연결” 항목에 ∨ 확인 • 연결 항목 밑에 있는 “도구 모음 잠금” 항목은 도구 모음들이 이동할 수 없게 고정시키는 역할 • “사용자 지정” 항목에 의하여 아이콘의 크기, 글씨의 표시 유무, 새로운 항목의 추가 및 삭제 등이 가능 도구 모음 사용자 정의
3. 홈페이지 방문하기(1/4) • 메뉴 이용 방법 •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 ▶ 열기나 (^ + O)를 클릭하여 아래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흰 텍스트 상자 안에 주소를 입력 • 직접 입력 방법 • 익스플로러 화면에서 주소에 URL을 직접 입력
3. 홈페이지 방문하기(2/4) • 이름만으로 찾아가기 • URL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 사용(예: “lg eds”라는 단어를 URL 입력부분에 직접 입력하면 가장 가까운 URL을 연결하거나 검색 엔진을 통하여 관련 정보를 표시) • 접속했던 홈페이지로 가기 • 도구 모음의 홈 단추: 맨 처음의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홈의 URL을 기록해 놓았다면 직접 그 홈페이지로 이동 • History 이용: URL입력 창 우측 화살표 이용(F4) • 그림이 빠졌거나 화면이 깨끗하지 못할 때: 보기에서 새로고침(F5)
3. 홈페이지 방문하기(3/4) • 페이지 저장하기 •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선택
3. 홈페이지 방문하기(4/4) • 그림 저장하기 • 그림에 마우스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그림 저장 • 배경으로 지정: 해당 그림을 윈도우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 • 링크 되어 있는 문서 저장 방법 • 링크할 수 있는 문장에 마우스를 위치시킨 후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다른 이름으로 대상 저장
4. 즐겨찾기 이용 방법 • URL 저장하기 • 홈페이지에서 메뉴 즐겨찾기 ▶ 즐겨찾기에 추가를 선택 • 즐겨찾기 메뉴를 클릭하면 하단에 현재의 홈페이지가 등록 확인 가능 • 즐겨찾기의 이용과 편집 • 메뉴의 즐겨찾기 ▶ 즐겨찾기 구성 • 폴더 만들기: 새로운 폴더 생성 • 이름 바꾸기: 선택한 URL의 이름 수정 • 항목 이동: 선택 후 끌기 • 항목 삭제: 선택 후 Delete • 항목 복사: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메뉴에서 복사하기 실행
1. 네이버 • URL: http://www.naver.com • 1998년에 설립된 회사로서 검색엔진으로 출발 • 특색 있는 서비스로는 “지식iN”과 “전문지식” 검색 • 장점: 지식iN은 사용자가 올린 질문을 다른 인터넷 사용자가 답변하는 것으로서 신속하며 다양한 답변을 얻을 수 있음 • 단점: 사용자가 올린 답변이기 때문에 간혹 잘못된 정보가 나타날 수 있음 • 전문지식 검색은 논문 및 전문 보고서에 관련된 지식을 제공 • 지역 검색은 사용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로서 업종별로 구분짓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예; 오정동 맛집)에 대응되는 지식을 제공
2. 야후코리아 • URL: http://kr.yahoo.com • 야후코리아는 야후를 우리나라 환경에 맞게 만든 주제별 검색엔진 • 기존의 야후와 다른 점은 국내에서만 서비스하고 있는 지식 검색 • 거기 검색은 네이버의 지역정보와 같이 사용자들에게 지역에 맞는 정보를 제공 야후코리아와 야후 초기화면
3. 엠파스 • URL: http://www.empas.com • 1999년 자연어 검색이라는 방법을 통해 검색서비스를 시작한 포탈 서비스 • 최근에는 다른 포탈 서비스의 검색 DB를 이용하는 “열린 지식” 방식을 제공 • 열린 지식 방법은 비슷한 검색 서비스를 하는 검색 포탈 사이트의 검색 엔진과 검색 데이터베이스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처럼 다른 검색 사이트에 문의한 답변을 재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방식
4. 파란닷컴 • URL: http://www.paran.com • 기존 한국통신의 자회사인 한미르, 하이텔, 메가패스 등의 서비스가 하나로 통합된 서비스 • 한국통신의 자회사이기 때문에 전화번호 검색 등에서는 타 검색 사이트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 • 최근에는 다른 검색 사이트에서도 전화 검색이나 지도 검색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그 차별성이 희석
5. 구글코리아 • URL: http://www.google.co.kr • 구글 한국어 서비스는 다른 검색 사이트와 달리 포탈 정보를 배제한 순수 검색 사이트 • 페이지 순위(PageRank)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순위가 높은 페이지를 검색 순위의 상위에 놓는 방식
1. 전자우편 환경 설정(1/8) •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하는 경우,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 • 도구 ▶ 메일 및 뉴스 읽기 ▶ 메일 읽기에서 다른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면 도구 ▶ 인터넷 옵션을 실행한 후 프로그램 탭을 클릭하여 설정된 프로그램을 확인
1. 전자우편 환경 설정(2/8) • 전자 메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그림에서와 같이 도구 ▶ 메일 및 뉴스 읽기를 클릭
1. 전자우편 환경 설정(3/8) • 사용자 이름 • 도구 ▶ 계정을 실행시킨 후, 추가에서 메일을 선택하면 [인터넷 설정 마법사]가 실행 • 먼저 사용자 이름을 설정(사용자의 별명이나 본명을 표시 가능)
1. 전자우편 환경 설정(4/8) • 전자 메일 주소는 실제로 전자 우편을 받을 서버의 계정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자 메일 서비스를 받는 시스템의 계정을 입력 • 전자 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다음 화면과 같이 받는 서버 메일과 보내는 메일 서버의 주소를 입력
1. 전자우편 환경 설정(5/8) • 받는 메일 형식에는 POP3, IMAP, HTTP 의 세 형식 • POP3는 서버에서 메일의 사본을 다운로드 받아 클라이언트(PC)에서 관리 • IMAP은 서버에서 메일을 직접 관리하는 방식으로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단점 • 일반적으로 POP3 방식이 널리 사용, 선택 사항에 서버에 메일의 삭제 또는 저장을 지정 • 개인용 컴퓨터가 아니라면 암호 저장 버튼의 설정을 해제(체크 박스를 해제)
1. 전자우편 환경 설정(6/8) • 인터넷 설정 마법사나 계정 설정을 마친 후, 도구 ▶ 계정을 실행시킨 후, 메일 탭을 선택하면 화면과 같이 설정된 메일 계정에 대한 내용 확인 가능 • 만약 아래 화면과 같이 표시되지 않는다면 메일 설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명령부터 다시 시작 • 자신이 알고 있던 메일 서버의 주소나 계정을 잘못 입력한 경우, 속성 버튼을 눌러 계정 정보를 수정
1. 전자우편 환경 설정(7/8) • 메일을 보낼 때 화면에 표시되거나 회신 받을 주소를 표시하는 사용자 정보는 일반 탭에서 수정 • 서버 탭에서는 메일을 주고 받는 서버의 주소와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변경
1. 전자우편 환경 설정(8/8) • 메일 설정이 수정되었다면 고급 탭을 눌러 서버 포트 번호나 보내기 또는 배달 옵션 수정 • 배달 항목에 “서버에 편지 복사본 저장”을 체크하면 메일의 사본을 다운로드 받고, 서버에서는 읽은 메일로 표시 • 다음 기간 후에 서버에서 제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서버에 보관되어 있던 메일이 삭제 • 지운 편지함에서 삭제하면 서버에서 제거: 지운 편지는 사용자가 보관이 필요 없는 메일로 간주하기 때문에 서버의 저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버에서 메일을 제거
2. 전자우편 이용 방법(1/2) • 전자우편 환경 설정 후 전자우편을 이용하려면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실행 • 프로그램 시작과 함께 왼쪽 폴더 항목에 기본적으로 4가지의 메일 폴더가 화면에 표시되며 필요한 메일 폴더를 생성하거나 삭제 등의 작업 가능
2. 전자우편 이용 방법(2/2) • 전자 우편 보내는 방법 • 도구 상자 부분의 메일 작성 버튼이나 파일 ▶ 새 메시지 ▶ 메일 메시지 명령을 클릭
1. 유즈넷 설정하기(1/5) • 뉴스 서버 설정 •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실행 한 후 메뉴의 도구 ▶ 계정을 실행시킨 후 추가하기에서 뉴스를 선택 • 메일 계정을 추가하는 것과 비슷하나, 전자 메일 서버 이름을 물어보는 대신 다음 그림과 같이 인터넷 뉴스 서버 이름 입력 • 일반적으로 뉴스 서버는 기관이 가입한 ISP(Internet Serivce Provider)에 의해 서비스 • 한남대학교에서는 연구기관망(kreonet)에 속해 있기 때문에 뉴스 서버를 news.kreonet.re.kr로 지정
1. 유즈넷 설정하기(2/5) 뉴스 계정 추가하기 인터넷 연결 마법사에서 인터넷 뉴스 서버 이름 추가
1. 유즈넷 설정하기(3/5) • 구독그룹 설정 • 뉴스서버의 환경 설정 이후, 인터넷 계정 설정 화면에서 닫기 버튼을 누르면 다음 화면과 같이 뉴스 그룹을 다운로드 여부에 대한 확인창 생성 • 예: 뉴스그룹 다운로드 • 아니오 or ESC: 취소 -> 다음 화면과 같이 왼쪽 항목의 뉴스 서버 이름(news.kreonet.re.kr)을 더블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