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0

알타이어

▣ 국어의 역사 ( 계통 ).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 , 백제. 알타이어. ? ~ 통일신라. 고대국어. 신라어 백제. 남방 한계언어. 원시한어. 통일신라어. 고유명사표기 향찰. 마한 진한 변한.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현대국어. 훈민정음창제. 임진왜란. 개화기. 훈민정음 소학언해. 동명일긔 독립신문. 갑오경장 후 ~ 현재.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 (1894). 고려 건국 (918)~ 임진왜란 전 (10 세기 ~16 세기.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알타이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국어의 역사(계통)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백제 알타이어 ? ~ 통일신라 고대국어 신라어 백제 남방 한계언어 원시한어 통일신라어 고유명사표기 향찰 마한 진한 변한 후기중세국어 근대국어 전기중세국어 현대국어 훈민정음창제 임진왜란 개화기 훈민정음 소학언해 동명일긔 독립신문 갑오경장 후 ~ 현재 임진왜란 후 ~ 갑오경장 (1894) 고려 건국(918)~임진왜란 전(10세기~16세기

  2. ▣국어의 역사(계통)

  3. ②고대의 국어 생활 (P17) 지배층 및 한학자(일반 백성이 아님) → 기록의 필요성, 지배의 편의, 국가 통치 체계의 정비를 위해 한자를 차용함.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선진 문명의 상징 → ‘한자 문화권’형성

  4. 2. 고대의 국어 생활 (P17) 2. 우리가 고대에 살았다면, 다음 경우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어떤 방법으로 표현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1) 인명(人名)과 지명(地名) 적기 ㉠인명: 한자의 음을 따서 적은 경우. *박종혁: 朴鍾爀*신라: 新羅 ㉡지명: 한자의 뜻을 따서 적은 경우 *안골: 內里*버들골: 柳里*새터: 新垈

  5. 2. 고대의 국어 생활 (P17) 2. 우리가 고대에 살았다면, 다음 경우에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어떤 방법으로 표현 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2) 노랫말 적기 : 한자의 음과 뜻을 따서 적은 경우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羅義 薩多隱 故鄕隱 花皮隱 山骨, 복숭아 꽃 살구 꽃 아기 진달래 福崇亞 花 薩九 花 牙器 進達來

  6.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음독 - ‘소나’로 읽음 훈독 - ‘쇠내’로 읽음 (이후에 ‘금천’으로 읽는 방식으로 변함)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金(쇠 금 ) 川(내 천 ) 素(흴 소 ) 那(어찌 나 ) 훈(訓) 음(音)

  7.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음독 - ‘소나’로 읽음 훈독 - ‘쇠내’로 읽음 (이후에 ‘금천’으로 읽는 방식으로 변함)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素那 (흴 소, 어찌 나)’ = ‘金川(쇠 금, 내 천)’ → 다른 표기의 두 이름이 같은 사람이라고 전제함. → ‘소 = 쇠, 나 = 내’의 공통점을 발견함. → 당시에는 ‘소 = 쇠, 나 = 내’가 동일 발음이었을 것으로 추정함. → 동일인의 이름을 ‘음차’과 ‘훈차’의 두 방식으로 표기했음.

  8. 고유명사의 표기 – 한자 차용 (P18) 素那(或云金川) 白城郡 蛇山人也 소나(素那) [또는 금천(金川)이라고 한다.]는 백성군(白城郡) 사산(蛇山) 사람이다. 고유명사의 표기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음만 빌려 오는 경우 예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素那’로 적고 그 음을 빌려옴 한자의 음을 버리고 의미만 빌려 오는 경우 예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金川’로 적고 그 뜻을 빌려옴

  9. 고유명사의 표기 – 고유어와 한자어와의 경쟁 (P18) 永同郡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10. 한국 고유의 노래 - 향가

  11.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음을 빌려 주제의 보조사 ‘은’표기-향찰의 표기상 특징을 잘 보여 줌 주제의 보조사 : 문장에서 주어를 강조하기보다는 주어의 행동, 상태 등을 강조하는 특수 조사

  12.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嫁(시집갈 가)’-고어에서 ‘얼다’의 의미로 뜻을 빌림 ‘密(비밀할 밀)’-고어에서 ‘그윽히’의 의미로 뜻을 빌림 ■ 密只 : 그윽히, 몰래 ■ 嫁良 : 정을 통하여, 결혼하여

  13.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뜻의 일부를 빌려 ‘-다’로 읽음 ■ 夜矣 : 밤에 ■ 卯乙 : 몰래 음의 일부를 빌려 ‘–고’로 읽음

  14.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P18) 서동요(薯童謠) ◑ 향찰 연습하기 ☞ 돌을 던지다. → 石乙 投多 ☞ 산이 높고 꽃이 예쁘다. → 山二 高古 花二 美多 ☞ 종혁이 까불지마. → 鍾赫以 可不之馬 ☞Maybe, I-neun ten years later, 先生主i doe-u it 훈 훈 음 훈 훈 훈 음 음 음음 eul gut gatda. 음 음음 아마도 나는 10년 후에 선생님이 되어 있을 것 같다.

  15.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향찰 ▣ 이 노래말을 기록한 표기 방식을 가리키는 명칭을 쓰시오. ▣ 이 글을 지은 서동은 ‘맛둥’이라고도 하는데, 이 이름의 뜻은? 마를 파는 아이 ▣ 이 노래가 기록 문학으로 정착되기 이전의 형태인 구비 문학의 갈래는? 민요 참요(讖謠) ▣ 이 노래의 성격으로 알맞은 것은? ▣ 이 노래에서 뜻(訓)을 읽은 글자를 모두 찾아라.

  16.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 서동요의 표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향가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쓰였다. ② 우리말을 완벽하게 표기할 수 있었다. ③ 우리말을 종합적으로 표기한 방식이다. ④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우리말을 표기했다. ⑤ 우리말 어순에 따라 한자를 나열해 문장을 만들었다. ▣ 서동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배경 설화가 있다. ② 동요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③ ‘삼국사기’에 기록이 전한다. ④ 민요가 정착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⑤ 현재 전하는 향가 중 가장 오래 된 작품이다.

  17. 서동요와 관련된 문제 ▣ 서동요와 같은 형식의 향가로 알맞은 것은? ① 안민가 ② 모죽지랑가 ③ 헌화가 ④ 제망매가 ⑤ 처용가 ▣ 서동요와 관련된 설화를 보면 지은이는 이 노래를 통해 자신이 이루고 싶은 바를 실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어울리는 속담은? 말이 씨가 된다. 소망 ▣ 서동요의 내용으로 보아 이 글에 담긴 지은이의 심정은? 善 化 公 主 主 隱 ▣ 다음의 밑줄 친 기능과 가장 가까운 것은? 관형사형어미 목적격 조사 주격조사 ① 내 마음은 깊은 곳에 ② 과자는 절대로 안 먹어 ③ 그 곳에 나는 가고 싶어 ④ 너는 군인은 되지 말아라. ⑤ 내가 거기에 가지는 않겠다. ③ 주어 보격 활용 어미 뒤에 오는 보조사의 기능 (생략 가능)

  18. 학습활동(P25) 善化公主主隱을 현대국어로 풀어 보면 ‘선화 공주님은’이 된다. 이 구절을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1. 主는 다른 방식으로 두 번 쓰였다. 이 중 어느 것이 음을 따온 것이며 어느 것이 뜻을 따온 것인지 말해 보자. 혼자하기 첫 번 째 主는 음을 딴 것이면 두 번 째 主는 뜻을 따기 위해 쓰인 글자입니다. 2. 隱의 기능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혼자하기 주제의 보조사 은을 나타내기 위해 隱의 음을 따온 것입니다.

  19. 학습활동(P25) 善化公主主隱을 현대국어로 풀어 보면 ‘선화 공주님은’이 된다. 이 구절을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3. 隱의 기능에 비추어 보아 이전 시기의 고유 명사 표기와 향찰 표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함께하기 ■고유명사 표기 → 단순히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인명 명사나 지명 명사를 표기함. ■향찰 표기 → 조사, 어미 등의 (문법적 요소)까지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함으로써, 우리말 문장 전체를 더 (체계적)으로 표기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