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

3 강 기본 검안

3 강 기본 검안. 1. 외관검사 1) 목적 : 눈을 검사하기 전에 눈의 이상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눈의 검사결과 또는 안경 장용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 2) 검사 - 머리를 기울기 , 얼굴의 대칭 . - 머리와 얼굴 , 그리고 눈의 외부 주변 구조 . - 눈의 위치 , 눈의 충혈 , 사시여부 . 2. 시력 1) 시력이란 ? 공간상에서 분리된 두 물체를 눈이 인지하는 능력 . 2) 시력의 종류

gloria-wood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3 강 기본 검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3강 기본 검안 1. 외관검사 1) 목적 : 눈을 검사하기 전에 눈의 이상여부를 미리 확인하고 눈의 검사결과 또는 안경 장용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2) 검사 - 머리를 기울기, 얼굴의 대칭. - 머리와 얼굴, 그리고 눈의 외부 주변 구조. - 눈의 위치, 눈의 충혈, 사시여부. 2. 시력 1) 시력이란? 공간상에서 분리된 두 물체를 눈이 인지하는 능력. 2) 시력의 종류 - 최소 가시력: 분리 상태와 관계 없이 자극점 또는 물체가 있다 없다를 판단하는 시력.

  2. -최소 분리력: 얼마나 좁은 두 물체 사이의 틈을 인지하는 능력. - 최소 가독력: 어느 정도 작은 글자를 읽을 수 있는지를 측정. 3) 시력의 개인차 : 망막상에서 시세포의 밀도와 크기, 광학적 수차, 동공의 크기, 안매체의 투명도, 망막상의 배율, 흐린 상의 해석하는 능력 등으로 인해 교정시력이 개인 마다 다르다. - 망막 시세포 : 작을수록, 밀도가 높을 수록 시력 향상. - 구면수차와비점수차가 있으면 시력 저하. - 초점심도가 높으면 시력 향상. - 수정체 혼탁이나 초자체 이물질이 있으면 시력 저하. - 망막상이 크면 시력 향상, 망막상이 작으면 시력 저하. - 회절현상이 생기면 시력 저하. - 물체를 관찰한 경험이 많은 사람은 경험이 적은 사람에 비해 판독 가능성이 높음. - 시신경과 뇌의 상태가 시력을 좌우.

  3. 3. 나안 시력 -의미 : 안경이나 렌즈를 장용하지 않고 실시하는 검사. 1) 나안시력 측정 - 준비물 : 시표, 차폐판,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 검사 방법 ① 5m (3m, 시표에 따라 결정) 위치에 피검자를 앉힌다. ② 우안부터 검사 한다. (좌안차폐) * 부등시일 경우 나쁜 쪽부터 검사 ③ 시력표를 지시할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지시한다. ④ 시력표의 2/3이상 읽으면 시력으로 인정한다. ⑤ 시력표의 2/3이상을 읽은 지점까지를 시력으로 인정하고 기록한다. (가장 적은 줄까지 읽는 시표에 해당하는 문자가 시력이 된다. *기재방법 :-R: , L: . ⑥ 좌안검사(우안을 차폐하고 같은 방법으로 검사 한다.) ⑦ 양안을 개방하고 같은 방법으로 검사 한다.

  4. 2) 거리 이동법 - 나안시력 측정 시 가장 큰 시표를 읽지 못 하였을 경우 실시한다. - 준비 물 : 시표, 차폐판,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줄자 - 검사 방법 ① 우안부터 검사 (좌안차폐) ② 가장 큰 시표가 보일 때까지 서서히 시표 가까이로 가게 한다. ③ 가장 큰 시표를 읽을 수 있는 거리에 피검자를 멈추게 하고 시표에서피검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④ 좌안검사(우안 차폐) ⑤ 우안과 동일하게 검사한다. - 거리 이동법 시력 계산 Ex) 5m의 0.1 시표를3m에서 읽으면 3/5×0.1=0.06

  5. 3) 지수 시력 F.C(Finger Count, Numerusdigitorum ) - 거리 이동법으로도 나안 시력을 측정할 수 없을 경우 실시한다. - 검사 방법 : 피검자의 우안에 손가락을 개수를 바꾸어가며 보여주면서 가까이 했을 때 피검자가 개수를 인지한 거리를 측정한다. (좌안도 동일하게 검사) - 표기법 : R.V.= F.C 30cm (fingers at 30cm , 우안시력= 30cm 지수) L.V.= n.d/30cm 4) 안전수동 HM (Hand movement) - 지수시력이 불가능한 경우 실시한다. -검사 방법 : 피검자의 눈 앞에서 손을 흔들어 손의 유무를 판단한다. (손을 흔들 때 바람이 나지 않도록 주위 할 것.) - 표기법 : R.V. = HM : 우안= 안전수동 V.d = m. m (motusmanus : 안전 수동)

  6. 5) 광각 시력 - 안전 수동으로도 시력 측정이 되지 않을 경우 실시한다. - 검사 방법 : 암실 내에서 빛의 깜빡임을 느낄 수 있는 지를 확인한다. 빛의 깜빡임을 감지하면 광각시력이라 판단한다. - 표기법 : R.V. =L.P , 우안시력=광각 있음. (Light perception) V.d = s. l. (sensusluminis : 광각) 6) 광각 이하의 시력 - 광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 시력 0 또는 맹이라고 한다. 7) 근거리 나안 시력 - 근거리의 시력장애나, 조절이상이나 폭주부족등이있는 경우 원거리 시력과 근거리 시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한다.

  7. 8) 어린이 시력 - 어린이의 경우 복수시표를 사용하면 판별력이 떨어지므로 알기쉬운란돌트링시표를 사용해서 검사한다.

  8. 4. 핀홀 시력 1) 목적 : 시력 검사 시 시력저하의 원인과 렌즈로 교정가능 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2) 교정시력이 0.7이상 나오지 않을 경우 - 핀홀 장용 시 시력이 향상 : 굴절이상 - 시력이 떨이 지거나 변화가 없는 경우 : 안질환 의심 - 핀홀시력이1.0이 나왔으나 교정시력이 1.0이상이 되지 않으면 부정난시를 의심한다. *부정난시 : 각막이 매끈하지 않아 안경렌즈로 교정이 어렵고 하드콘택ㅌ렌즈로 교정한다. why? 눈물층이 형성되어 고르지 않은 표면을 채워 줌.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