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8

엔피아시스템즈 함 경 수 ksham@enpia

DOI RA 및 Handle System 운영 계획. 엔피아시스템즈 함 경 수 ksham@enpia.com. Agenda. 1. DOI RA (Registration Agency ) 1.1 개요 1.2 RA 통한 기대 효과 2. DROC ( DOI RA Operation Center ) 2.1 DROC 정의 2.2 DROC 역할 2.3 DROC 시스템 아키텍쳐 3. 등록대행기관 3.1 구성 목적 3.2 등록 대상 3.3 운영 계획 3.4 등록대행기관 & DROC.

goro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엔피아시스템즈 함 경 수 ksham@enpia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DOI RA 및 HandleSystem 운영 계획 엔피아시스템즈 함 경 수 ksham@enpia.com

  2. Agenda 1. DOI RA (Registration Agency ) 1.1 개요 1.2 RA 통한 기대 효과 2. DROC ( DOI RA Operation Center ) 2.1 DROC 정의 2.2 DROC 역할 2.3 DROC 시스템 아키텍쳐 3. 등록대행기관 3.1 구성 목적 3.2 등록 대상 3.3 운영 계획 3.4 등록대행기관 & DROC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1 Handle System Introduction 4.2 Handle System History and Applications 4.3 Need for a general purpose naming system 4.4 Handle System 구성 4.5 Handle System 기능 4.6 Handle Namespace 4.7 RA관련 Handle System 운영 계획 5. 향후 계획

  3. 1. DOI RA ( Registration Agency ) 1.1 개요 • DOI RA - IDF 소속 DOI Registration Agency 로서 DOI 등록 및 할당 서비스, 관련 보안서 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전세계적으로 미국의 크로스레프(CrossRef)와 컨텐트디렉션즈(Content Directions), 엔피아시스템즈(Enpia Systems) 등 3개가 있음 • 국내에서는 엔피아시스템즈가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지난 2001년 5월 IDF의 RA로 선정됨 • 국내 RA를 통하여, 한국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세계에 공급할 수 있는 허브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전 세계의 12개 표준화단체의 하나인 IDF(International DOI Foundation)의 이사로서 이사회 활동을 통해 국제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됨

  4. 1. RA ( Registration Agency ) 1.2 RA통한 기대효과 디지털 컨텐츠의 효율적 관리 및 연계 효율성 제공 디지털화 및 정보서비스의 활성화 제고 디지털 컨텐츠의 국제적 유통망 구축 디지털화의 중복투자 방지 디지털 컨텐츠 산업 발전 유도 RA ( Registration Agency ) DROC 공공기관 및 연구소 민간기업, 부가서비스 업체 디지털 컨텐츠 유통 활성화 & 수익창출

  5. 2. DROC (DOI RA Operation Center) 2.1. DROC (DOI RA 운영 센터)(가칭) 정의 • DOI 유통의 활성화를 위해 관련 공공기관, 민간기업과 더불어 설립 추진 중인 국제 기구로서 DOI 할당과 관리, 디지털 컨텐츠 사업관련 업무 담당 2.2. DROC 역할 • DROC는 기본적으로 DOI 할당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DOI의 활성화를 위해 다수의 등록대행기관의 구성을 통해 디지털 컨텐츠의 등록 업무와 DOI 할당 업무 담당하게 함 • 제공 서비스 • - DOI 할당 및 관리 서비스 • - 등록자 정보, 등록 Contents 관련 정보 및 유통 정보 제공 • DOI 등록과 관련해서 DOI 유통의 활성화를 위해 등록대행기관을 통한 등록대행업무 및 관련 업무 수행 • DOI 채택의 활성화와 DOI System의 발전부분에서 IDF와 협력

  6. 2. DROC (DOI RA Operation Center) 2.3. DROC 시스템 아키텍쳐

  7. 3. 등록대행기관 3.1. 구성 목적 • DOI 확산 및 운영의 중심적 역할 수행 • D-Commerce 정착을 통한 DOI 확산의 전제 조건 마련 3.2. 대상 • D-Commerce Framework 구축을 통한 유통망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 또는 D-Commerce 구축을 공공적 차원에서 정착시키고자 하는 단체, 연구소 등 • 저작권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협회 및 단체 3.3. 운영 계획 • 등록대행기관을 DOI RA 운영 센터(DROC)와 제휴한 IDC센터에 유치하여 Handle System 및 모든 data 대한 관리와 운영을 DOI RA 운영센터가 담당 • 센터에서 운영 관련 모든 교육 및 운영 Know-how 전수 • 등록대행기관은 DOI등록대행업무에 필요한 초기 Handle System Setting 비용 절감 가능 • 등록대행기관은 DOI(suffix) 할당 권한과 Metadata 유통 정보 소유 가능케 함 • 기타 관련 참조연계시스템(Reference Linking System)등과 같은 응용 솔루션 필요에 따라 공급

  8. 3. 등록대행기관 3.4. 등록대행기관 & DROC IDF • 등록대행기관 모집 • 등록대행기관에 LHS, Applications등 임대, 수익창출 • 등록대행기관에 prefix할당 • 등록대행기관으로부터 metadata 등록 받음 • 모든 데이터 IDC 통해 관리 DROC 등록대행기관 1 등록대행기관 2 Applications • 등록 (Suffix) • 검색 • 유통관리 • 영업활동 CP CP User • Application : 여러 CP들에게 필요한 DOI관련 Application 판매 가능 • 등록대행기관과 Application 동시 운영 가능 • 영업활동 시 Contact Point • : 기존의 ISBN, ISSN등과 비교 시, DOI는 모든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가능하고, 고유하고 영속적 • 이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컨텐츠 유통 가능케 함

  9.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1 Handle System Introduction •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효과적이며 안전한 글로벌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 확장성 지닌 분산 정보 시스템 • Open Protocol(Handle Protocol), Name Space, Reference Implementation of Handle • Protocol을 포함 • Handle Protocol은 분산 환경에서 정보 (handles, digital resources)를 저장하고 • Resolution 을 통하여 handle이 표시하는 정보로 이동, 접근, 사용할 수 있게 함 • 식별되는 정보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하여 digital resources만을 변경하고 handle은 변경하지 • 않음으로 변화하는 정보의 위치에 대한 영속적인 이름을 제공 • 각각의 Handle은 관리자(들)을 통해, 분산환경에서 안전하게 관리되어지므로 name-value binding • 은 안전하며 신뢰성 있는 관리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음

  10.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2 Handle System History and Applications • Defense Advanced Projects Agency (DARPA)에서 추진한 Computer Science Technical • Reports (CSTR) project의 일환으로 CNRI에 의해 개발 • Networked Computer Science Technical Reference Library(NCSTL), Library of Congress, •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DTIC), and the International DOI Foundation (IDF) 에 • 적용 • 초기 Digital library community와 함께 발전했으나 전반적인 digital object architecture의 • naming component로 인식되고 개발 • 식별자를 상태정보로 변환하는 범용성의 indirection 시스템으로서 digital objects를 총괄 관리하는 • 일환으로 dynamic 네트워크 환경에서 많은 장점을 갖음. 이러한 이유로 telephony, • crisis management(resource tracking) 영역에서 상당한 관심이 표현됨 • 결론적으로 광범위하고 다양한 응용 영역을 갖는 정보 관리 시스템

  11.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3 Need for a General Purpose Naming System • 인터넷 확산과 더불어 범용성의 naming system이 필요하였고 handle system의 일부 기능을 • 갖는 다른 서비스나 프로토콜이 존재하지만 다른 것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기능을 • 제공 • 인터넷 상에서 naming service를 제공하는 몇 가지의 시스템이 있고 대표적으로 DNS가 있음 • DNS는 name과 IP 주소를 연결해 주는 mapping 시스템으로 다른 hosts, 다른 networks, • 다른 protocols 간에 적용 가능 • 인터넷의 확산은 DNS의 다양한 확장과 범용성의 resource naming system을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 basic network routing 환경에서는 그런 Implementation에 많은 주의를 해야 함을 인식하고 • DNS는 범용성의 resource naming system으로 적절하지 못하다고 결론 내렸다 • DNS의 부적절성의 또 다른 이유는 DNS 관리 모델에 있음. DNS는 전형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자에 • 의해 DNS level에서 관리되며 일반 사용자에 대한 관리 도구 및 체재를 제공하지 않음 • 또한 현재 URL의 문제점은 internet resource와 그것의 network location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 resource의 위치 변동 시 URL이 깨어질 수 밖에 없음 • Handle system은 general-purpose resource name administration 구조를 갖고 있으며 수 많은 • entities에 대한 naming service 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name level의 관리 체제를 갖추고 있음

  12.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4 Handle System 구성 Prefix관리자로서, 모든 LHS등록 (prefix) 분산 관리자 인증을 위한 Public Key 관리 GHS LHS Site Info 요청 및 제공 Client Public Key 요청 및 제공 • Client Request 및 Response • DOI Resolution 요청 • - DOI Admin 요청 • - Client Private Key 제공 LHS Client Resolution 요청자로서, DOI에 대한 변환을 요청 Resolution 응답자로서, Client의 DOI 변환 요청에 대해 Dynamic한 변환을 수행 GHS : Global Handle Server LHS : Local Handle Server Client : Client Lib. or Resolver

  13.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5 Handle System 기능 • 유일성(Uniqueness) 모든 handle은 handle system 안에서 globally unique • 영속성(Persistence) Handle은 entity로부터 도출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명명된 것으로 둘 간의 mapping이 존재 • 다중 인스턴스 (Multiple Instances) 하나의 handle은 한 resource에 대한 다른 위치의 다중의 인스턴스를 갖을 수 있음 • 확장 네임 스페이스 (Extensible Namespace) 현존하는 local namespace는 유일한 naming authority를 얻음으로 handle namespace로 인정됨 이를 통하여 한 local namespace가 다른 local namespace와 충돌 없이 global context를 갖게 되며 global한 서비스 전달, resolution, 관리의 handle service가 naming authority를 통하여 가능

  14.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 분산 서비스 모델 (Distributed Service Model) Handle system은 계층적인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는데 어떤 local handle namespace는 대응되는 local handle service나 global handle service 또는 둘 다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음. 또한 분산 서비스 모델은 하나의 서비스가 다중 서비스 사이트로 replication 되며 각각의 서비스 사이트는 여러 개의 서버로 분산 서비스 될 수 있음 • 안전한 네임 서비스 (Secured Name Service) Handle protocol을 통하여 handle server는 client를 인증하고 client request에 대한 data integrity service를 제공하는데 공개키 또는 대칭키 기반의 암호화가 사용됨 • 분산 관리자 서비스 (Distributed Administration Service) 각각의 handle은 자신의 관리자 또는 관리자 그룹을 지정하며 이를 통하여 public network에서 인증된 관리자가 어떤 네트워크 위치에서도 안전하게 관리됨 • 효과적인 변환 서비스 (Efficient Resolution Service) Handle protocol은 매우 효과적인 resolution 성능을 제공하는데 많은 cost가 요구되는 관리 서비스로부터 resolution이 영향 받는 것을 피하기 위해 분리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갖음 (서버 프로세스와 포트) 4.5 Handle System 기능 (계속)

  15.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6 Handle Name Space • Handle은 두개의 영역으로 나뉘는데 naming authority인 prefix와 naming authority 안에 유일한 local name인 suffix로 구성 • Prefix와 suffix의 구분자는 “/”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 < Handle> ::= < Handle Naming Authority> "/" < Handle Local Name> ex) 10.1077/enpia-doc-1 은 prefix가 10.1077이고 suffix가 enpia-doc-1이다 • Handle namespace는 수 많은 local namespace의 집합이며 각각의 local namespace는 유일한 handle naming authority를 갖음 • Handle은 the Universal Character Set, two-octet form (UCS-2) of ISO/IEC 10646의 printable characters으로 구성되며 현존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다른 인코딩간의 모호성을 막기 위하여 UTF-8만을 사용 • Handle naming authority는 트리 구조로 표현되는데 각각의 naming authority에 대응되는 node와 leaf는 label이 부여되며 parent와 child는 left to right의 구조를 갖으며 parent node는 child node의 parent naming authority이고 각각의 label은 “.”(0x2E)으로 구분

  16.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6 Handle Name Space (계속) • 각각의 naming authority는 하위에 많은 child naming authorities를 갖을 수 있으며 child naming authority는 parent naming authority가 등록된 후 등록 가능 그러나 patent와 child 는 상호간의 고유한 관리 관계는 없으므로 다른 handle service가 될 수 도 있고 서로서로 관리 권한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음 • Handle namespace는 수 많은 local namespace의 집합이며 각각의 local namespace는 유일한 handle naming authority를 갖음 • Handle은 naming authority 안에서 정의되며 naming authority와 local name 간의 구분자는 “/”(0x2F)이며 naming authority 안의 handle의 집합이 local namespace 임 • local namespace안의 local name은 유일해야 하며 naming authority의 유일성과 해당 naming authority 안에서의 local name의 유일성이 handle system 안에서 globally 유일함을 보장

  17. 4. Handle System 운영 계획 4.7 RA 관련 Handle System 운영 계획 • DROC가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로 Handle System Framework을 각각의 • 등록대행업체에 분산 제공 • 등록대행업체를 IDC( Internet Data Center )에 유치함으로써 등록대행기관의 DOI등록 • 대행업무를 위한 초기 Setting 비용 최소화 시킴 • 등록 대행업체는 기존의 구축된 Infra를 이용함으로써 계약과 동시에 등록 대행 업무 • 개시 가능

  18. 5. 향후 계획 향후 운영 계획 • 2001. 7. 9. DOI RA 웹사이트 오픈(www.doira.org) • 2001. 7-8월 DOI RA 등록 대행기관 선정 • 2001. 8월말 DOI RA 운영센터 개소 • 2001. 8월 DOI 등록 업무 시작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