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5

제 3 장 자료의 정리

제 3 장 자료의 정리. 도수 / 상대도수 / 백분율. cf. 유효백분율 (valid percent). 도수분포표. [ex]. 도수분포표의 유형. 정성적 자료의 도수분포표 (frequency, 또는 피벗테이블 / 피벗차트 보고서 ) 정량적 자료의 도수분포표 계급구간이 없는 도수분포표 (frequency, 또는 피벗테이블 / 피벗차트 보고서 ) 계급구간이 있는 도수분포표.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제 3 장 자료의 정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3장 자료의 정리

  2. 도수/상대도수/백분율 cf. 유효백분율(valid percent)

  3. 도수분포표 [ex]

  4. 도수분포표의 유형 정성적 자료의 도수분포표 (frequency, 또는 피벗테이블/피벗차트 보고서) 정량적 자료의 도수분포표 계급구간이 없는 도수분포표 (frequency, 또는 피벗테이블/피벗차트 보고서) 계급구간이 있는 도수분포표

  5. ‘피벗 테이블/피벗 차트 보고서’의 활용 Employee data에서 jobcat의 도수분포표를 작성하시오. (피벗테이블/피벗차트보고서를 활용하여)

  6. Question

  7. 계급구간이 없는 도수분포표 frequency함수를 이용하여 도수분포표를 작성하시오.

  8. 계급구간이 없는 도수분포표의 작성절차 • 자료의 값을 계급으로 설정 계급 도수 최소값 … 최대값 자료에서 최소값을 찾는 Excel 함수 : max 함수 자료에서 최대값을 찾는 Excel 함수 : min 함수 (2) 각 계급의 도수를 산정 frequency함수

  9. max 함수 / min 함수 = max(Data) Data : 자료가 입력되어 있는 영역주소 자료에서 최대값을 찾아 반환하는 함수 = min(Data) Data : 자료가 입력되어 있는 영역주소 자료에서 최소값을 찾아 반환하는 함수

  10. frequency함수

  11. 계급구간이 있는 도수분포표 frequency함수를 이용하여 도수분포표를 작성하시오.

  12. 계급구간이 있는 도수분포표 작성절차 (Guideline)

  13. Question

  14. 통계분석사례 도수분포표의 활용 비오는 날 또는 월요일이 사람에게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 한다. 월요일에 자살하는 사람이 다른 요일보다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심장병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월요일에 더 많다는 연구결과가 보고(Rabkin et al. 1980)되기도 하였다. Rabkin, S. W., F. A. Mathewson and R. B. Tate. Chronobiology of cardiac sudden death in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44:12, (1980), 1357-1358. Western Electric Study자료에서 dayofwk의 도수분포를 통해서 월요일에 사망하는 사람이 다른 요일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많은가를 검토해 보자.

  15. Western Electric Study (electric) • Western Electric Study는 건강한 사람이 관상동맥 심장질환(coronary heart disease: CHD)에 걸리게 되는 요인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해 1957년에 수행되었다. 시카고 지역에 있는 Western Electric Company의 Hawthorne공장에서 최소 2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40세~55세의 남성 5,397명에서 240명을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 자료에 포함된 변수 • caseid • firstchd : 최초의 CHD 증상 (1: No CHD, 2: Sudden death, 3: Non fatal MI, 5: Fatal MI, 6: Other CHD) • age • dbp58 : 평균혈압 • eduyr : 교육년수 • chol58 : 콜레스테롤 (mg per dl) • cgt58 : 일일흡연량 (개비) • ht58 : 신장 (인치) • wt58 : 몸무게 (파운드)

  16. dayofwk : 사망요일 (1:일, 2:월, 3:화, 4:수, 5:목, 6:금, 7:토, 9:결측) • vital10 : 10년간 상태 (0: 생존, 1:사망) • famhxcvr : CHD 가족력 (N: No, Y: Yes) • chd : CHD발생여부 (1: 발생, 0: 미발생)

  17. Western Electric Study

  18. 교차표 [Q] 자료의 요소 [예] 자료세트 도수분포표 교차표 • ID X Y • 1 1 • 1 2 • 1 2 • 2 1 • 2 2 X 도수 1 2 5 Y 도수 1 2 5 X 1 2 Y 1 2

  19. 통계분석사례 미국에서는 1964년 공표된 Civil Rights Act에 의해 성별 또는 인종에 따라 작업장에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불공정한 고용 및 승진이 있을 경우 고용주는 기소될 수 있다. 미국 법정에서는 통계분석결과가 차별에 대한 명백한 증거(prima facie evidence)로 사용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으며 실제로 수많은 소송에서 복잡한 통계분석결과가 동일한게 qualified된 종업원이 차별대우를 받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증거로 사용된 바 있다. bank자료에서 jobcat과 sexrace의 교차표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차별이 있었는가에 대하여 분석해 보시오.

  20. bank자료 Employee data와 동일하지만 jobcat이 7가지로 세분되어 있고 sexrace변수가 추가되어 있다. jobcat 1 : Clerical 2 : Office Trainee 3 : Security Officer 4 : College Trainee 5 : Exempt Employee 6 : MBA Trainee 7 : Technical sexrace 1 : White Males 2 : Minority Males 3 : White Females 4 : Minority Females Clerical Custodial Manager

  21. 분석결과

  22. 막대그래프와 히스토그램 도수 상대도수 계급 막대그래프 (ex. 불량품수의 막대그래프) 히스토그램 (ex. 109개 국가 출생률의 히스토그램)

  23. 불량품수의 막대그래프

  24. 109개 국가의 출생률 히스토그램

  25. 꺾은선그래프 ex. 인하식품의 인천지역 제품별/월별 판매량의 꺾은선그래프

  26. 인하식품의 인천지역 제품별/월별 판매량의 꺾은선그래프

  27. Ogive Ogive : 누적백분율곡선, 누적백분율을 꺽은선그래프로 나타낸 그림

  28. 원그래프 원그래프 : 원을 각 집단에 속하는 도수의 비율을 기준으로 분할해 놓은 그림

  29. Question 어떤 도수분포표인가? (도수분포표의 유형) 적합한 그래프 유형은? (막대그래프, 히스토그램, 꺽은선그래프, 원도표)

  30. 줄기와 잎 그림 (SPSS 11.0) (SPSS 10.0k)

  31. [Q] 다음의 줄기와 잎 그림을 보고 가능한 상태까지 원래의 자료를 복원해 보시오.

  32. [Q] 자료의 요소 ? ?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