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likes | 312 Vues
Ⅱ. 소득관 리 1. 소득의 원천. 소득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 다. 2. 1. 수업목표. 국민소득과 경제성장을 이해할 수 있 다. 소득의 이해. 1. 1. 소득의 개념 : - 경제 주체가 일정한 기간에 걸쳐 노동 · 토지 · 자본 등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받는 대가를 화폐가치로 표시한 것 - 가계 지출 ( 소비와 저축 ) 의 원천. 2. 본원적 소득과 파생적 소득 - 본원적 소득 :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E N D
소득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2 1 수업목표 국민소득과 경제성장을 이해할 수 있다
소득의 이해 1 1. 소득의 개념 : - 경제 주체가 일정한 기간에 걸쳐 노동·토지·자본 등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받는 대가를 화폐가치로 표시한 것 -가계 지출(소비와 저축)의 원천 2. 본원적 소득과 파생적 소득 - 본원적 소득: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노동-임금, 자본-이자, 토지-지대, 경영-이윤] - 파생적 소득 : 타인으로부터 이전 받은 소득[용돈, 증여,, 사회보장금] 3. 경상 소득과 비경상 소득
소득의 종류 2 (1) 경상 소득 : 비교적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소득 1. 근로 소득 : 노동력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월급, 일당, 시급, 퇴직소득 등) - 노동생산성, 직종에 대한 수요와 공급, 위험도에 따라 소득의 차가 발생 2. 재산 소득 : 자산을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1) 실물자산[건물, 토지]을 원천으로 한 재산 소득: 임대료, 양도소득 2) 금융자산을 원천으로 한 재산소득 : 예금, 채권, 펀드, 주식, 파생 상품 등에 투자하여 발생한 소득 ▶이자, 배당금, 시세차익 등
3. 사업 소득 : 계속적으로 행하는 자기 사업에서 얻는 소득 - 경기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큼 - 위험성 높음 - 고용창출 기능 4. 이전 소득 : 생산에 참여하지 않고 받는 소득 (무상 소득) 1) 공적 이전 소득 – 빈곤층에 대한 기초 생활 수급자 생계비, 실업급여, 국가간의 무상원조, 재해보상금, 노령연금 등 2) 사적 이전 소득 –상속재산, 증여 재산, 기부, 선물, 용돈 (2) 비경상 소득 : 일시적으로 얻는 소득 - 복권 당첨금, 경조금, 상금, 특별상여금 등 ▶사업소득(이윤)= 총수입 – 총비용``
국민소득의 이해 1. 국민소득의 의의 ▶ 그림 Ⅱ-4 국민 소득 삼면 등가의 법칙 한 나라의 국민 경제에서는 가계, 기업, 정부, 해외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가 생산되고 소비 됨에 따라 국민 총생산, 국민 총소득(분배), 국민 총지출(소비지출+ 투자지출+순수출)이 항상 일치하게 됨. 이를 국민 소득 삼면 등가의 법칙이라 함 3
읽을거리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이란 ? 국민소득은 만들어서(생산) 나누어 갖고(분배) 쓰는(지출) 양이 모두 같다는 것이다. 즉 생산국민소득, 분배국민소득, 지출국민소득의 3가지는 동일한 순국민생산물의 흐름을 3가지 다른 측면에서 파악한 것으로 그 값이 동일하다는 원칙이다.한 나라의 경제는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물건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그 대가로 소득을 얻으며 다시 그 소득을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지출하는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어 국민소득은 이러한 생산, 분배, 지출이라는 세 가지 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국민소득을 생산, 분배, 지출의 3면에서 볼 때 똑같다는 말입니다. 즉 어느 쪽에서 보아도 사실 국민소득이란 원래 하나이기 때문에 합계는 똑같다는 말입니다.
그럼 왜 똑같을까요. 알기 쉽게 설명을 해봅시다. 국민 총생산이란(GDP)? 1년 동안 그 나라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의 합. 이것을 생산국민소득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분배국민소득이란 무엇인가. 1년 동안 만들어진 생산물의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지는 몫입니다. 생산물이 만들어지려면 자본, 노동, 경영, 토지 등이 들어갑니다. 물건을 만들려면 땅을 빌려 땅 주인에게 임대료를 내야하고 노동자를 고용하여 임금을 주어야 하며 경영자에게도 경영보수를, 자본을 낸 자본가에게 이윤을, 돈을 빌린 사람에게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나누어지는 것을 분배국민소득이라고 합니다. 이 분배에는 이윤을 포함하기 때문에 결국 나누어진 각자 몫의 합계는 생산물 총계인 생산국민소득과 같게 되는 것입니다
지출국민소득이란 무엇인가. 이건 반대로 만들어진 생산물은 누군가가 사서 써야 합니다. 농부가 밀을 만들면 빵가게 주인이 밀을 삽니다. 다시 빵가게 주인이 밀로 빵을 만들면 공무원이 빵을 삽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생산물은 누군가가 사게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기 위해 돈을 내는 것을 지출이라고 하며 이것을 모두 합친 것이 지출국민소득입니다. 물건을 만들어서 안팔린 것도 있는데 이런 재고는 그 기업이 산 것으로 간주하면 결국 모든 생산액의 합계와 모든 지출액의 합계는 같아 집니다. 그러므로 생산국민소득과 분배국민소득, 지출국민소득은 똑같은 대상을 각기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것 뿐이고 세 개는 결국 같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입니다.
2. 총소득과 가처분소득 • 총소득: 개인이 가진 모든 생산 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얻는 소득 • 가처분 소득: 총소득 중 자유롭게 소비와 저축을 할 수 있는 소득 • - [총소득+ 사회 보장비, 연금 등 이전 소득]-[세금, 4대 보험료] • - 소득 분배의 평등 정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 됨
3.국내 총생산과 국민총생산 • 국내 총생산(GDP : Gross Domestic Product): 일정 기간 •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의 합 • (2) 국민 총생산(GNP : Gross National Product): 일정 기간 • 한 국가의 국민이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의 합 • -한국인 소유의 미국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 –GNP에 포함 • -프랑스인 소유의 한국 공장에서 생산된 옷-GDP에 포함 • -한국인 소유의 천안공장에서 생산된 TV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