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likes | 1.15k Vues
주 요 업 무 보 고. 서울특별시 서남물재생센터. 2006. 12. 순 서 Ⅰ. 일 반 현 황 Ⅱ. 2006 업무계획 및 실적 Ⅲ. 민원해소 추진사업 Ⅳ. 창의시정 구현. Ⅰ. 일반현황. 1. 서울시 물재생센터 현황 - 1. 1. 서울시 물재생센터 현황 - 2. ( ) : 2005 년 실적. 2. 서남 물재생센터 위치 및 규모. 위 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91 번지 부지면적 : 1,032 천㎡ (312 천평 ) 시설용량
E N D
주 요 업 무 보 고 서울특별시 서남물재생센터 2006. 12.
순 서 Ⅰ. 일 반 현 황 Ⅱ. 2006 업무계획 및 실적 Ⅲ. 민원해소 추진사업 Ⅳ. 창의시정 구현
Ⅰ. 일반현황 1. 서울시 물재생센터 현황 - 1
1. 서울시 물재생센터 현황 - 2 ( ) : 2005년 실적
2. 서남 물재생센터 위치 및 규모 위 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91번지 부지면적 : 1,032천㎡(312천평) 시설용량 - 하수처리장 : 200만톤/일 - 위생처리장 : 2,000㎘/일 처리구역 - 하수 : 9개구 1개시 (관악,동작,금천,구로,영등포,강서,양천,강남일부,서초일부,광명시일부) - 정화조 : 9개구(관악 외 8개구) 차집관거 : 90.0km - 본류관 : 18.7km(한강변) - 지류관 : 71.3km(안양천, 도림천, 반포천, 사당천, 개화천, 봉천천, 방화)
3. 서남 물재생센터 연혁 • 1986. 8. 16 : 안양하수처리장 기구발족(조례 제2093호) • 1987. 6. 30 : 제1처리장 1차 처리시설 준공 (100만톤/일) • 1988. 6. 30 : 정화조오니 처리시설 준공 (2,000㎘/일) • 1995. 6. 30 : 제 1처리장 2차 처리시설 준공 (100만톤/일) • 1999. 4. 30 : 제 2처리장 1·2차 처리시설 준공 (100만톤/일) • 2001. 8. 1 : 민간위탁 ㈜ 서남환경 • 2005. 11. 9 : 슬러지 처리시설(소각장) 위탁운영 • 2005. 11. 10 : 명칭 변경(서남하수처리장 ⇒ 서남물재생센터)
4. 수탁회사 현황 • 회 사 명 : ㈜ 서남환경 대표이사 박 종 대 • 연 혁 : 2001. 6. 25 법인설립 • 기구 조직 : 2실 6부 25과 • 직원현황
5. 하수처리 FLOW - 수처리 과정 1. 침사지 (Grit Chamber] 1차로 하수와 함께 유입된 토사와 협잡물을 제거 2. 최초침전지 [Primary Sedimentation Basin] 하수를 일정시간 체류시켜, 침강성 물질과 부상물질을 하수로부터 분리하여 유입수의 BOD와 SS를 30~35%정도로 낮춤
3. 포 기 조 [Aeration Tank] 하수에 공기를 공급해 줌으로서 호기성 미생물이 하수중에 용해성 유기물, 콜로이드성 물질 등 오염원을 섭취하여 증식하고, 그 결과 산화력, 흡착력, 침강성이 좋은 슬러지 생성 4. 최종침전지 [Final Sedimentation Basin] 포기조에서 유입된 혼합액을 슬러지와 상징수로 분리하여 슬러지 일부는 포기조로 반송하고, 남은 슬러지는 농축조로 보내지며 처리수는 하천으로 방류
5. 하수처리 FLOW - 슬러지처리 과정 1. 농 축 조 [Sludge Thinkner] 수처리과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중력을 이용해 침전시켜 부피를 감소시키고 슬러지 농도를 높여주는 과정 2. 소 화 조 [Anaerobic Sludge Digester] 밀폐된 탱크속에서 슬러지를 가온, 교반 하면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슬러지 중의 유기물질이 분해되어 슬러지를 안정화, 감량화, 메탄가스가 부산물로 발생
3. 탈수설비 [Sludge Dewatering Equipment] 소화처리된 슬러지는 탈수작업으로 인하여 부피와 무게가 감소, 케이크 상태로 하여 운반과 처분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 4. 슬러지 소각시설 [Sludge Incinerate Facility] 탈수된 슬러지를 유동층 소각로에서 최종 소각처리하는 과정이며, 완벽한 대기오염 방지시설을 갖추고 있음
목 표 하수처리의 수질향상으로 한강수질보전 중 점 추 진 사 항 • 방류수질 개선 : 법정기준 및 협약 권고치 이내 수질관리 • 시설물의 효율적 유지관리 : 시설물 예방점검 및 정비철저 이행 • 에너지절약 및 자원재활용 : 여름철 자율절전, ESCO 중점추진 • 창의시정 구현 : 하수처리 효율개선, 기업경영 개선 • 시민 활용공간 제공 및 물재생시설 홍보 강화 Ⅱ. 2006년 업무추진계획 및 실적 1. 기본목표 및 추진방향
2. 처리수질 향상 (단위:㎎/ℓ, 개/㎖) 방류 수질 처리실적
4. 하수 고도처리시설 설치사업(시설개선공사) • 서울시 전역을 특정지역 기준으로 물재생센터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에 • 대비하여 시설을 개선 • - 추진기간 : 2001. 12 ~ 2007. 8(4개 센터, 1단계) • - 추진방법 : 기존시설개선 ⇒ 운영분석 ⇒고도처리시설 도입(2단계) • 주요개선내용 : 기계식농축설비 신설, 농축조 개량, 탈취시설 등 방류수질 기준 (’08. 1. 1)
5. 하수 차집관거 유지관리 • 점검 및 정비 • - 일상점검 : 관거내 불법투기, 관거의 무단사용 등 • - 정기점검 : 연 2회(상반기, 하반기) • - 특별점검 : 재해발생예상시기(해빙기, 우기 등) • 차집관거 준설 • - 준설량: 5,800㎥/년(1~11월 : 5,500㎥ 완료) • - 간선관거 및 상습퇴적구간(역사이펀 등) 우선 시행
6. 에너지 절약 • 혐기성 소화조(消化)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 최대 활용 소화가스재 활 용 • 고유가 시대에 적극적인 에너지 절약 운동에 동참 • - 여름철 자율절전, ESCO사업, Peak치 제어 등 • 포기조 송풍량 조절, 기기 효율증대 등 전력량 증가 억제 전력사용 실 적
7. 위탁 관리비(2006년) (단위 : 백만원) 시설비 추진실적
Ⅲ. 민원해소 추진사업 주요민원 • 악취 관리 철저 • 복개공원화 사업 추진 • - 혐오지역이미지를 개선하여 살기 좋은 지역으로 • 주민 편익시설 설치 • 주민감시원(단체) 운영지원 등 센터 전경 방화대교(방류구 측)
악취비산 시설물 개선 사례(5건) 1. 투입동 탈취시설 설치공사 • 위 치 : 위생처리장 옆 • 공사기간 : 2000. 10 ~ 2001. 3 • 공사금액 : 800백만원 • 공사개요 : Bio-cat(500m3/min×2sets) • 효 과 : 투입동, 정화오니농축조, 케익야적장 내부의 공기를 포집하여 미생물에 의해 악취 물질 제거 탈취시설 내부 투입동 탈취기동
2. 유입동 탈취시설 설치공사 • 위 치 : 유입펌프장 후면 • 공사기간 : 2000. 10 ~ 2002. 10 • 시행부서 : 서울시 건설안전본부 • 공사개요 : Bio-cat(800m3/min × 4sets) • 효 과 : 제 1처리장 유입펌프장(침사지) 및 케익야적장(구)의 내부공기를 포집하여 미생물에 의해 악취물질 제거 유입동 탈취시설 내부 유입동 탈취기동 외부
3. 포기조 덮개 설치 • 대 상 : 총 33,886㎡ (#1 포기조 72지, #2 포기조 48지) • 공사 기간 : 2005. 6 ~ 2006. 12 • 사 업 비 : 64억원 고도처리 사업일환인 기존시설개선공사와 병행 추진 제1처리장 포기조 덮개 제2처리장 포기조 덮개
4. 마곡 빗물 펌프장 악취 제거 • 도수로 정비 및 덮개설치 : 12억원 (’02. 7 완료)
5. 풍향 ·풍속 관측장비 설치운영 • 설치위치 : 본관(관리동)건물 옥상 • 설치기간 : 2003. 8 • 공사금액 : 3백만원 • 관측내용 : 풍향, 풍속, 기압, 습도, 기온, 강우량 • 운영방법 : 주변지역주민이 실시간(분단위)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www.seonam.seoul.kr)게시 관측 장비 홈페이지 화면
주민편익시설 설치 • 기존체육시설 무료개방-축구장, 테니스장, 배구장 등 • 실내배드민턴장 및 문화체육센터 건립 • (부지제공 20,000㎡, 예산 132억원) • - 실내배드민턴장 (코트 12면 및 샤워장)-`04.10 개장 • - 문화체육센타(수영장, 헬스장, 다목적체육관 등) • - `04.6 설계완료, `06. 12 완공 예정 • ☀ 강서구에서 복개공원화 대안으로 요청하여 추진 • (2001.10.26)
주민편의시설 무료개방 테니스장 센터내 공원
배드민턴 및 X-Game 개장 X-Game장 배드민턴장
주변환경 개선사례(4건) 1. 수림대 조성 • 위 치 : 주변아파트 조망지역 • 공사기간 : 2000. 12 ~ 2001. 6 • 공사금액 : 468백만원 • 공사개요 : - 벽산아파트 조망지역 : 390m (잣나무, 개나리, 덩굴장미등 3,078주 식재) - 서광아파트 조망지역 : 330m (잣나무, 개나리, 덩굴장미등 9,726주 식재) - 청구아파트 조망지역 : 4,446m2 (잣나무, 개나리, 덩굴장미등 1,831주 식재) 벽산아파트 조망지역 서광아파트 조망지역
2. 담장녹화 및 주민쉼터 조성 • 위 치 : 방화그린 아파트 ~ 서광 아파트 구간 • 공사기간 : 2001. 7 ~ 2001. 10 • 공사금액 : 125백만원 • 공사개요 : - 수목 식재 : 층층나무외 7종 4,984주 식재 - 시설물설치 : 운동시설 5종, 평의자 18개소등 - 산책로 개설 수목 및 산책로 운동 시설
3. 생태연못 조성 • 위 치 : 물재생센터 중앙로 좌우(정문으로부터 50m) • 공사기간 : 2001. 5 ~ 2001. 12 • 공사금액 : 150백만원 • 공사개요 : - 조경시설 : 소나무 외 9종 1,493주 식재 - 초화식재 : 금불초 외 10종 2,540본 식재 - 부유식물 : 노랑어리 연꽃외 2종 340본 - 편의시설 : 생태관찰테크 1개소, 사각정자 1개소, 벤치 3개소 생태 연못 편의 시설
4. 서광아파트주변 오수관거정비 • 목 적 : 서광 아파트 주민의 건의로 오수관 연장 설치 • 위 치 : 서광 아파트 주변 - 하수처리장 유입동 • 규 모 : 길이 418m • 공사기간 : 2004. 12 ~ 2005. 2 • 공사금액 : 5억원
주민감시단체 운영 지원 • 단체명 : 서남 물재생센터주변 환경개선 추진위원회 • 지원내용 • - 물재생센터내 사무실 및 집기 제공 • 활동내용 • - 물재생센터 악취발생 모니터링 • - 물재생센터로 인한 환경문제 전반 감시활동
Ⅳ. 창의시정 구현 • 목 적 : 각 분야에서 추진한 업무개선 및 연구사례를 발굴하여 • 하수처리 효율을 높이고 미래지향적 창의시정 구현 • 내 용 : 예산절감, 효율증대, 에너지절감, 민원감소 등 • 발 표 회 : 매년 12월 중 (프리젠테이션) • 사례집 발간 : 년도별 창안내용을 책자로 엮어 배포 활용 연도별 창안실적
우리 서남 가족은 완벽한 하수재생으로 환경서울 건설에 일익을 담당하고 세계 첨단도시 서울을 위하여 창의시정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