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1

제 5 장 균형국민소득 결정 모형

제 5 장 균형국민소득 결정 모형. 제 1 절 폐쇄경제 제 2 절 소규모 개방경제 제 3 절 맺음말. 제 1 절 폐쇄경제. 1.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 생산요소 완전고용. • 생산함수 : 규모수익 일정. • 생산요소와 생산기술이 주어지면. 제 1 절 폐쇄경제. 2.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 • 소비와 투자. • 정부구입. 제 1 절 폐쇄경제. 3. 균형조건. • 수요 : 소득 ( 완전고용 ), 재정 : 외생변수. • 공급. 제 1 절 폐쇄경제. • 균형조건.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제 5 장 균형국민소득 결정 모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5장 균형국민소득 결정 모형 • 제1절 폐쇄경제 •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 제3절 맺음말

  2. 제1절 폐쇄경제 1.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 생산요소 완전고용 •생산함수: 규모수익 일정 •생산요소와 생산기술이 주어지면

  3. 제1절 폐쇄경제 2.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 •소비와 투자 •정부구입

  4. 제1절 폐쇄경제 3. 균형조건 •수요: 소득(완전고용), 재정 : 외생변수 •공급

  5. 제1절 폐쇄경제 •균형조건 •대부자금시장 균형조건 S(r의 증가함수), I(r의 감소함수): <그림 5.1>

  6. 제1절 폐쇄경제 4. 정책효과 •투자수요 증가 - <그림 5.2> - 실질이자율 상승, 투자 증가, 소비 감소 •확장적 재정정책 - <그림 5.3> - 실질이자율 상승, 민간투자 구축

  7.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1. 저축, 투자와 순수출 <표 5.A 1> - 순수출 = 순해외투자 = 순자본유출 - 소규모 개방경제 : r = rF <그림 5.4> - 주어진 국제이자율 수준에서 순수출 = 저축 - 투자

  8.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2. 각종충격과 순수출 1. 확장적 재정정책 <그림 5.5> - 쌍둥이 적자 - 클린턴 재정적자 축소정책, IT 붐 2. 대규모 해외경제의 확장적 재정정책 <그림 5.6> - 국제이자율 상승  순수출 증가 3. 투자수요의 증가 <그림 5.7> - 순수출 감소

  9.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3.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명목환율: 두 나라의 통화간의 상대가격 • 환율인상은 자국통화 가치의 절하 • 환율인하는 자국통화 가치의 절상을 의미 •실질환율: 두 나라의 상품의 상대가격

  10.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4. 실질환율의 결정 실질환율 : •실질환율과 순수출 - 순수출은 실질환율의 증가함수 <그림 5.8> • 실질환율의 결정요인 - 순수출 = S – I - S – I는 실질환율과 무관 <그림 5.9> - 균형실질환율은 NX = S-I 일 때 결정 - S – I : 원화자금의 공급 - NX : 원화자금의 수요

  11.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5. 정책변화와 실질환율 •확장적 재정정책 <그림 5.10> - 원화공급 감소  실질환율 절상  순수출 감소 •대규모 해외경제의 확장적 재정정책 <그림 5.11> - 국제이자율 상승  S – I 증가  원화공급 증가  실질환율 절하  순수출 증가 •투자수요의 증가 <그림 5.12> - S-I 감소  원화공급 감소  실질환율 절상  순수출 감소 •수입규제정책 <그림 5.13> 순수출 감소 - 순수출 증가  원화수요 증가  실질환율 절상 

  12.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6. 명목환율의 결정 •명목환율 증가율 = 실질환율 증가율 + 국내 인플레인션율 – 해외 인플레이션율 - 실증적 증거

  13. 제2절 소규모 개방경제 7. 구매력 평가재정 가정 : 교역재, 동일한 품질, 거래비용 무시 <그림 5.14> •상대적 PPP - 순수출이 실질환율에 민감하게 반응 • PPP는 장기균형조건 - 빅맥지수1 ,2 ,3

  14. <그림5.1> <다시본문으로>

  15. <그림5.2> <다시본문으로>

  16. <그림5.3> <다시본문으로>

  17. <그림5.4> <다시본문으로>

  18. <그림5.5> <다시본문으로>

  19. <그림5.6> <다시본문으로>

  20. <그림5.7> <다시본문으로>

  21. <그림5.8> <다시본문으로>

  22. <그림5.9> <다시본문으로>

  23. <그림5.10> <다시본문으로>

  24. <그림5.11> <다시본문으로>

  25. <그림5.12> <다시본문으로>

  26. <그림5.13> <다시본문으로>

  27. <그림5.14> <다시본문으로>

  28. <빅맥지수1> *: 달러/해당화폐 자료: Economist, 2010/7/22 <다시본문으로>

  29. <빅맥지수2> <다시본문으로>

  30. <빅맥지수3> <다시본문으로>

  31. <표5.A 1> 국제수지표의 구성 <다시본문으로>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