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제 8 강의 조선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제 8 강의 조선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조선 후기 : 17 세기 후반 ~19 세기 말 봉건사회 해체기 조선 : 봉건사회 근대 : 자본주의사회 개항 전 우리 사회가 도달했던 역사적 발전단계는 ? 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 숙종대 (1675~1720) 환국 영조대 (1274~1776), 정조대 (1777~1800) 탕평 순조 (1801~) 이후 세도정치. (1) 농업의 발달. 왜란 , 호란 후의 농촌복구 : 국가 사업 , 지방 양반의 자발적 노력

kameko-best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제 8 강의 조선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제8강의조선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2. 조선 후기 : 17세기 후반~19세기 말 • 봉건사회 해체기 • 조선 : 봉건사회 • 근대 : 자본주의사회 • 개항 전 우리 사회가 도달했던 역사적 발전단계는? • 조선 후기 정치의 변화 • 숙종대(1675~1720) 환국 • 영조대(1274~1776), 정조대(1777~1800) 탕평 • 순조(1801~) 이후 세도정치

  3. (1) 농업의 발달 • 왜란, 호란 후의 농촌복구 : • 국가 사업, 지방 양반의 자발적 노력 • 수리시설 확충 ←국가적 지원 *1662년(현종 3) 堤堰司 설치 • 18세기 말 堤堰(큰 저수지) 3,590개, 洑(작은 저수지) 2,265개 • 간척사업 : 농경지 확장 (예:강화도) • 논 : 移秧法(모내기) 보급 • 노동력 절감 • 특히 除草 : 直播法 4,5회에 비해 2,3회로 단축 *金容燮 • 단위면적당 수확량 증가 • 二毛作 : 농업생산력 배가 효과 (벼/보리, 벼/밀) • 밭 • 견종법(畎種法) 보급 : 노동력 절감 • 그루갈이 : 보리[밀] / 콩[조] • 농업경영의 규모 확대 : 광작(廣作)

  4. 商業的 農業 • 상품화를 전제로 하는 농업 ←18세기 商業의 발달 • 모시·담배·생강·인삼·과일·채소 등 (지역적 전업) • 인삼 : 개성을 비롯하여 경상,전라,충청도 일대에서 재배 *수출 • 담배 : 17세기 초에 일본에서 전래된 이후 전라도를 중심으로 재배 • 서울 근교의 왕십리, 송파 일대 : 서울 주민을 상대로 하는 채소 재배 • <經世遺表>(丁若鏞) :“비옥한 논과 비교하여도 그 이익이 10배나 된다”

  5. 농민층의 분해 • 조선 후기 지주제(地主制) 발달 • 관료, 양반 : 매득, 개간 등을 통해 토지 겸병 • 왕실 : 내수사(內需司)를 통해 토지 축적, 수만결의 宮房田 확보 →自作農은 줄고 대부분 농민들은 小作農 또는 自小作農으로 존재 • 새로운 부농층의 성장 : 경영형 부농(經營形富農) *金容燮, 1970‧1971 <朝鮮後期農業史硏究>1.2 • 새로운 농업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증산을 도모하고, • 자가 경작 범위를 넘은 借耕地 확보를 통해 경영확대에 힘쓰며, •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상업적 농업을 행하고, • 농업노동을 임노동으로 충당하는 사람들 ⇒자본가적 차지농(借地農) • 경영형 부농 가운데 지주로 성장하는 경우 : 서민지주(庶民地主) • 지주·소작인 관계 변화 :신분적 예속에서 탈피, 경제적 관계로 이행 • 소작농의 자유로운 농업경영 보장 • 18세기 말 일부 지방에서 소작료 납부 방식이 打租法(수확량의 반을 나누는 定率地代)에서 정액제인 都租法으로 변화 :수확량의 1/3을 표준으로 정해져 소작인에게 유리

  6. 토지에서 탈락된 농민들이 임금노동자 또는 머슴으로 전환 • 머슴[雇工]:농가에 고용되어 농사뿐만 아니라 가사노동에까지 종사하며, 대부분 雇主의 집에서 기거하고 일정한 연봉과 식사 및 의복·술·담배까지 제공받는 농촌노동자로서, 고용 관계뿐만 아니라 인습적·신분적 주종관계에 의해 맺어져 있다.(<경제학사전>, 풀빛, 1988) ⇒18세기 이후 새로운 농업경영형태 출현 • 자본주의적인 것인가? *資本主義萌芽論 • 반론 1 : 미야지마(宮嶋博史), 이영훈 • 17, 8세기 집약농업 발달로 소농경영의 안정 • 이에 바탕을 둔 지주제가 성립 • 광작은 19세기 중엽에 나타난다. • 반론 2 : 허종호, <조선봉건말기의 소작제 연구> • 19세기 일부 지주경영에서 자본주의적 농업경영을 지향

  7. 지주제(地主制)의 변동 • 지주제의 확대 :소수의 부농과 다수의 빈농으로 분화 • 신분과 계급의 분리 • 종래 「兩班=地主, 良人·賤民=小作人」에서 兩班小作人, 良人·賤民地主의 출현으로 신분, 계급 분리 • 1720년(숙종 46) 경상도 의성의 신분별 농지소유 현황

  8. (2) 상업, 수공업의 발달 • 전석담,허종호,홍희유,1970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1971 <조선에서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달> • 강만길, 1973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 송찬식, 1973 <조선후기 수공업에 관한 연구> • 상업도시 발달 • 場市의 발달 • 15세기 말 발생하기 시작 • 17세기 후반 전국에 확대 • 장시 수의 급증 :1770년 1,064개 (한 군현에 3,4개) • 5일장 정착 • 일부가 상설시(상업도시)로 발달 • 특히 충청도 강경, 경기도 광주·안성, 전라도 전주·남원, 경상도 대구·마산·안동, 함경도 원산 등 육상‧해상 교통 요지

  9. 상업자본의 성장 (都賈 :독점적 도매상인) • 특권상인 • 大同法 실시 이후 관청에 물품을 조달하는 貢人 • 관청과 연결되어 특정 물품의 판매를 독점, 貢人稅 납부 • 서울의 市廛 상인 • 금난전권(禁亂廛權) • 6주비전 :비단 무명 명주 종이 모시 어물 • 사상(私商) • 장시를 발판으로 성장, 전국 규모의 상권 형성 • 서울 京江商人, 개성 松商, 평양 柳商, 의주 灣商, 동래 萊商 • 1791년(정조 15) 辛亥通共 :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 폐지 • 이후 동대문 부근의 梨峴(배오개), 남대문 밖의 七牌(서울역 근방), 종로 근방의 鍾樓 등에 새로운 상권을 형성 • 유통부문에서 자본을 축적 • 獨占 :특정 물품의 판매를 독점하는 행위 • 買占 :쌀 때 사두었다가 비싸지면 파는 행위 • 지역차, 시간차(봄·가을이 2배, 풍·흉년에는 10배) *허생전

  10. 商業觀의 변화 • 都賈商業의 폐해 • 독점으로 인한 물가 앙등, 영세 상인의 몰락 →柳壽垣 : 가격 조작을 막기 위해 상업을 국가에서 통제할 것 • 18세기 후반 北學 : 상공업 진흥을 적극 주장 • 정조의 정책에 반영 • 화폐의 유통 • 1678년(숙종 4) 상평통보(常平通寶) 주조, 전국에 유통 • 실제 거래에서는 쌀, 포 등이 화폐로 기능 • 18세기 후반 : 조세 금납 등으로 금속화폐 기능 강화 • 폐해 –화폐 폐지론

  11. 조선후기 民營手工業 발달 • 판매를 위한 생산 (←大同法, 상업발달) • 18세기 말 관영수공업 폐기, 수공업자에게 주문 생산 • 조선 초기 2,800 여명에 달하던 京工匠이 18세기 후반 1/10로 감소 • 국가에 匠人稅를 납부하는 納布匠은 18세기 중엽 10만여명 • 수공업자에게 일당을 지급하는 경우 :정조대 華城 건설 • 선대제 수공업(先貸制手工業) • 상인의 주문에 따라 원료와 자금을 先貸받고 생산 *物主 • 점차 工場制 手工業(manufacture)으로 발전 • 초기 manufacture :구래의 수공업을 경영하여 오던 師匠들을 임노동자로 고용하여 일정한 작업장에 집합시키고 자본가를 위해 노동하게 하는 제도 *서양 중세 말에 출현 • 본연적 manufacture :기업가가 다수의 임노동자를 일정한 작업장에 집합시켜 노동하게 할 뿐 아니라 분업의 원칙에 따라 생산공정의 각 소부분공정에 일정한 비율로 배치한다. 따라서 각 소부분공정은 지금까지의 숙련노동자 대신 비숙련노동자를 사용하게 되고…이러한 체제 아래서 일종의 부분노동에 종사하는 임노동자는 독립적으로 완성품을 제작하여 판매할 능력을 잃게 되고,…이와같이 분업에 의한 생산력발전은 자본에 대한 임노동의 종속성을 강화한다. (<경제학사전>, 풀빛, 1988) • 수공업자가 독립하는 경우 • 자기 자본으로 대량 생산하여 직접 또는 보부상을 통해 판매 • 경기도 안성, 평안도 정주 納靑의 놋그릇

  12. (4) 광업의 발달 • 조선 전기의 광업 • 지방관의 책임 아래 부역 노동으로 필요한 만큼 생산 • 개인의 광산개발(私採) 금지 • 조선 후기 광업 발달 • 광산 개발의 필요성 ←상업(무역), 수공업 발달 • 1651년 이후 設店收稅制 • 정부의 통제 아래 민간인의 金店, 銀店 경영 허용 • 특히 對淸貿易에서 은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銀鑛 개발이 활기 • 18세기 중엽 광산 개발 억제 • 농업네 지장 -높은 세금을 부과 • 금광, 은광을 몰래 개발하는 潛採 성행 • 19세기 자본주의적 경영형태의 출현 • 물주(物主) : 자본가 • 덕대(德大) : 경영자 • 鑛軍 : 광산노동자 *처음에는 계절노동자, 점차 전업노동자

  13. (5) 신분제의 동요 • 조선전기의 신분제 :良賤制 • 良人과 賤民의 엄격한 차별과 신분의 세습 • 兩班은 文武의 官職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良人에 포함되며, 良人 내부의 상하 이동은 원칙적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짐 • 신분제의 변동 • 16세기 지주제의 발달과 竝作制의 보편화 • 良人 중에 地主의 위치에 있던 사람이 兩班(士族)으로 상승하고, 소작인은 양인,천민을 불문하고 常漢으로 불림 →班常制 (cf. 조선전기 良賤制) • 兩班, 中人, 常民, 賤民의 신분구조

  14. 양반의 몰락 • 사회의 변화 속에서 지배신분을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상실 • 17세기 후반 朋黨政治의 파탄으로 정치참여 봉쇄 *숙종대 換局 • 殘班으로 전락, 小作人 또는 賃勞動者로 생계를 유지 • 常民의 신분상승 • 空名帖, 납속첩 매득 • 호적, 족보 위조 *換父易祖, 冒稱幼學 • 19세기에는 전체 주민의 과반수가 양반으로 호적에 기재 • 노비의 免賤 • 신분 해방을 위해 도망하는 노비가 속출 • 정부의 양인 확보책 :군역대상자 및 재정 보충의 목적 • 納粟 : 임진왜란 중 庶孼과 鄕吏를 대상으로 실시 • 庶孼 쌀 5석, 鄕吏 쌀 30석 →전쟁후 常人·奴婢에게 확대 • 奴婢의 免賤 :쌀 20~30석 • 奴婢從母法 cf. 一賤卽賤 • 1801년(순조 1) 일부 공노비를 제외한 공노비 66,000 여명을 양인으로 해방

  15. 신분제 동요 • 양반의 격증, 상민의 감소, 천민(노비)의 격감 • 예1) 大邱의 신분별 인구분포 변화 • 예2) 울산大邱의 신분별 인구분포 변화

  16.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植民史學의 停滯性論에 의해 왜곡 • 조선에는 資本의 축적이나 資本家 계급, 대규모 생산을 할 수 있는 기계‧기술 등이 없었다 (停滯) • 식민지 지배가 조선사회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음을 증명 • 1960년대 이후 현대민족주의역사학 : 세계사의 합법칙적 발전을 증명할 목적에서 조선후기 사회의 역동적인 모습을 탐구 • 연구의 주된 관심은 개항 전에 이미 자본주의적 관계가 발생하였음을 밝히는 것 • 資本主義萌芽論 • 경영형부농 : 資本家的 借地農 • 상업 발달에 따라 商業資本의 성장 • 手工業에서 매뉴팩쳐의 진전 • 광업에서 자본주의적 경영형태의 출현 • 근대사상의 맹아로서 實學 연구 • 자본주의 맹아론에 대한 비판 • 총체적, 구조적 관점을 결여한 채 부조적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 한국사에서 자본주의의 자생적 발전이 본질적으로 가능하였는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