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1

공장혁신 컨설팅 추진방법 및 사례

공장혁신 컨설팅 추진방법 및 사례. 생산시스템 : -. 개별 생산방식 -. 로트 생산방식 -. 라인 생산방식 원가관리시스템 -. 종합적 원가관리 -. 원가관리와 원가절감 설비보전시스템 -. 기계설비 보전시스템 -. 보전관리 및 방침 -. 기계설비의 고장 특성관리 품질관리시스템 -. 공정품질관리 -. 품질코스트 시스템 -. 품질수준결정. 생산 ( 공장 ) 관리의 영역.

kato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공장혁신 컨설팅 추진방법 및 사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공장혁신 컨설팅 추진방법 및 사례

  2. 생산시스템 : -. 개별 생산방식 -. 로트 생산방식 -. 라인 생산방식 원가관리시스템 -. 종합적 원가관리 -. 원가관리와 원가절감 설비보전시스템 -. 기계설비 보전시스템 -. 보전관리 및 방침 -. 기계설비의 고장 특성관리 품질관리시스템 -. 공정품질관리 -. 품질코스트 시스템 -. 품질수준결정 생산(공장)관리의 영역

  3. 생산(공장)관리의 영역 • 재고관리시스템 -. 창고관리 -. 구매관리 -. 자재관리 • 공정관리시스템 -. 공정분석 -. 일정관리 -. 계획방법 • 제품 및 서비스의 설계 -. 제품의 설계 -. 제품 및 부품의 표준화 -. 제품의 연구 및 개발 • 시설 및 설비의 배치 -. 설비배치 분석 -. 운반시스템의 설계 -. 설비배치의 방법

  4. 생산계획 예산편성 및 이익계획 생산통제 생산관리 기본체제

  5. 교 육 목 표 • 문제해결과정의 기본사상과 프로세스의 이해 • 프로세스 단계별로 사용되는 Tool의 구체적인 내용과 How-to 의 이해 • 프로세스를 추진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의 내용의 이해 이해 • 문제해결프로세스 추진과정의 이해 및 사용방법의 습득 • 문제해결활동의 효과적 추진에 필요한 제반 기술 습득 기술습득 • 개선활동에 필요한 Skill 및 Tool 의 도입과 Know-how 의 적용에 대한 문제 해결의 성과 극대화 • 문제해결 과정의 성공기법을 사용함에 따른 유능한 컨설턴트로 육성 활용

  6. 테마선정 Process 와 주요 Output Stage 현상분석 테마선정 Step 요인분석 테마선정 활동계획수립 현상분석 결과를 토대로 핵심문제의 해결과 핵심역량의 확보에 필요한 테마를 결정하기 위함 분석팀에 의해 진행되었던 테마선정의 과정과 결과를 인수하여 팀활동의 성공에 필요한 제반팀활동의 방향과 과정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함 사실에 근거해서 무엇을 해 달라는 요구를 도출 하기 위함 목적 주요 Out put 합의된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확정된 테마 -.구체화된 테마후보 List -.평가기준 -.확정테마 상세 활동계획 -.추진체계 -.장애요인검토서 -.Task Team의 목표 명확한 사업환경과 고객의 요구 활동 주체 공장예비분석팀 팀미팅 혁신Task팀

  7. 테마선정의 중요성 과대포장형 별로 중요하지 않은 사안을 확대 해석해서 1년간 자원/노력을 투입한 경우 테마가 구체화 되지 못해 초기분석의 방향설정이 어려워져 2-3개월을 과제분석의 범위/방향 설정에 시간을 낭비한 경우 오리무중형 주체상실형 선정된 테마에 대해 의문은 있지만 Top의 강력한 의지에 밀려 논리적 타당성을 강제로 찾아서 결합시킨 경우 좌충우돌형 활동중 범위와 방향에 대해 팀원들조차 충분히 공감하지 못하여 추진력이 떨어진 경우 현실 안주형 혁신Task팀을 먼저 결정한 후 사람에 맞추어 테마를 선정함으로써,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테마보다는 현재 여건과 상황에서 해결 가능한 테마에만 치중한 경우 사실무시형 당연한 논리로서 테마를 결정한 후 형식적으로 테마선정의 타당성을 강제 결합시킴으로써 사업을 둘러싼 제반 환경의 중요한 요구 등이 반영되지 못하여 경영자원을 낭비하거나 혁신운동은 서류가 많아서 문제라고 불평을 하는 경우

  8. 테마선정 1 목적 핵심역량의 확보에 필요한 방안을 결정하고 이를 수행할 Task팀의 활동방향과 과정을 명확히 설정하기 위함 과제 테마선정 절차 테마선정 -.테마후보안 구체화 -.테마선정 -.Task팀 구성 홛동계획수립 -.테마등록 -. 활동계획수립 Out put 함의된 평가기준에 근거 하여 확정된 테마 Task팀 의 상세 활동계획

  9. 테마선정 2 1.목적: 공장내 핵심문제 해결과 핵심역량 확보에 필요한 방안들을 도출, 조직내 컨센서스가 이루어진 최적의 방안을 선정하기 위함. 2.절차 : 문제점 분석 문제점 분석 테마 후보안 도출 테마 후보안 구체화 분석결과 정리 테마 선정 활동계획수립 테마 후보안 구체화 테마선정 Task 팀 구성

  10. 혁신 Task 팀 구성 1 1.목적 선정된 테마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인원을 선발하여 효과적인 Task팀을 구성하기 위함. 2. 방법 1) 팀장선발 ① 혁신 Task팀장에게 요구되는 기본 skill -. 프로잭트 매니지먼트 : 프로잭트 계획을 준비하고 팀을 리드하고 계획대로 진행되도록 팀을 이끌고, 미팅 리딩, 기록유지 및 관리, 등 -. Team Building : 팀 멤버 각자가 자유로운 의사소통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활성화된 팀을 만들기 위한 Skill. -. Communication & Coordination : 조직에 지속적으로 팀활동에 관해 알리고 필요한 지원을 위해 협조를 받고 외부 정보나 Resource 등을 확보하는 Skill. ② TFT 멤버들의 Brainstorming 을 통한 후보자 List Up.

  11. 혁신 Task팀 구성 2 ③ 팀장에게 요구되는 필요 Skill 의 보유정도와 테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적임자 선발. ④ 팀장에게 팀원 선발권/인사권에 대한 Top의 지원 및 TFT멤버들의 지원합의 2) 혁신 Task 팀원 선발 Task팀원선발에 권한과 책임을 가지고 최적의 인원을 선발하고. 선발시 활용할 수 있는 Tool로 팀원 선발 Skill Matrix 와 공장담당의 사례를 참고한다. -. 정보수집력: 대,내외에 정보의 Source를 많이 알고, 쉽게 접촉가능하며, 정보 수집을 위한 설문제작, 인터뷰를 할 수 있는 능력 -. 분석력 : 수집된 Data를 집게하고 Data가 지니고 있는 본질적인 의미를 추출 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해석능럭 -. Human Skill : 팀동료, 관련부서원과 상호 지원 협조를 통해 업무 성과를 내는 능력 -. PC활용능력, 테마특성상 필요한 Skill

  12. 활동계획수립 • 목적 : 선정된 테마의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과적인 혁신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함. 2. 절차 : 혁신팀구성 테마요건명료화 추진체제 구성 장애요인검토 테마등록서 작성 검증 보고 활동방향설정 테마등록 활동계획수립

  13. 테마등록 1 • 목적 : 혁신 Task 팀 내에서 테마의 명확한 활동방향과 범위를 공유하고 활동전반의 내용에 관해 추진조직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실행부서및 유관부서와의 컨센서스를 통해 활동의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함. 2. 방법 : 테마등록을 위한 구체작업을 분석팀과 혁신팀의 명확한 업무인계 인수가 전제 되어야 함. 따라서 혁신팀은 테마선정 결과보고, Raw data, 공장/담당 회의록, 분석의 과정, 추후 지속적인 지원협의를 분석팀으로부터 확보토록한다. 1) 테마요건 명료화 테마의 3 요건이 충족되지 못하면 반드시 다루어야 할 영역을 빠뜨리거나 불필요한 영역까지 조사/ 분석하는 노력의 낭비를 가져오며 이후 활동에 대한 팀내의 컨센서스 확보에도 장애가 될 수 있다. 테마의 3 요건: 1) 절차 –테마선정과정, 변혁, 목표, 2) 방법–테마의 구성요소, 테마의 구성용어 분해, 테마전개 3) 기대효과—목표달성결과 예상되는 기대성과의 도출,

  14. 테마등록 2 2) 추진체제구성 -. 성공적으로 테마를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원을 받기 위함. -. 테마와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행팀, 혁신심의 위원회. 지원Channel 을 구성하여 활용한다. -. 추진체제 구성후 실행팀. 혁신심의위원회와 컨센서스를 이루고 추진체제 는 테마 등록서에 유첨으로 첨부한다. 3) Neck Point 검토 -.테마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공유하여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문제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문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활동의 낭비를 최소화 하기 위함. ① 테마추진시 발생가능성이 있는 예상문제를 최대한 도출하여 문제별로 Grouping 한다. ② 예상문제의 중요도를 평가한다. -. 평가기준은 각각의 문재에 대해 발생가능성(P)과 발생시 심각성(S)이고 평가척도는 P와 S에 대해 High, Medium, Low 의 3단척도를 활용한다. -. 선정된 문제에 대해 P와 S 축면에서 H,M,L로 평가한다. -. 평가결과 S가 H 이고 P가 M 이상인 문제를 선정한다.

  15. 테마등록 3 ③ 선정된 문제에 대해서는 2가지 관점에서 대책을 수립한다. -.선정된 문제에서 P를 어떻게 하면 줄일 것인가의 예방측면에서의 대책과, -.문제가 발생되었을 경우 심각성 S를 최소화 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④ 문제중요도 평가결과 선정되지 않는 문제도 폐기치 말고 유지/관리하여 이후 활동의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16. 테마요약서 KPI란 –Key Performance Index 로 혁신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객관적인 지표임

  17. 테마요약서(사례)

  18. 문재해결 Process Phase 테마선정 과제선정 변혁 P/G개발 실행/평가 사업환경, 고객의 요구 경쟁사의 대응안 분석 결과에 대한 활동방향 설정 목적 테마에 대한 핵심 문제 문제의 핵심 원인 티당성이 확인된 해결 과제 Out Put Step

  19. 효과적 팀웍의 기본요소

  20. 문제해결의 기본개념 1 문제의 개념 : 문제란 꼭 해결을 해야 하는 것이며 목표와 현실의 차이이다. 목표 • 어떻게 하면 좋은가? -. 바람직한 상테 -. 기대되는 결과 -. 있어야 할 모습 원인 왜 그렇게 되었는가? 문제 차이(Gab) 현실 • 어떻게 되고 있는가? -.실제의 모습 -.예상되는 상테 -.예기치 못한 결과

  21. 문제해결의 기본개념 2 ( 문제의 유형 ) 발 생 형 탐 색 형 설 정 형 목표(기대수준) 지금있는수준 현상(실제) 목표(기대수준) 기준이 변화 현상(실제) 목표(기대수준) 기준을 새로설정 현상(실제)

  22. 문제해결의 기본유형 3 어떤 과제가 주어지면 먼저 목적을 명확하게 확인하여 기대하는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Output 을 그려놓고 작업에 착수한다면 작업의 초기단계에서 전체작업의 80% 이상을 완성하는 결과를 갖고 옴. ( 2 : 8 의 법칙 )

  23. 문제해결의 기본개념 (분석의 기본사고) 과제해결 Output 지향 가설지향 사실지향 개 념 기대하는 결과를 명시하고 효과적/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을 사전에 구상하고 행동에 옮기는 태도 정보수집. 분석 등 실제 활동으로 옮기기전에 그 과정이나 결과/결론을 추정, 사고하는 태도 일상업무에 나타나는 상식/편견에서 벗어나 객관적 사실로 부터 출발하는 사고 /활동 주요내용 -.현장조사 실시 자료분석 -.자료수집 보고서작성 -.해결의 납기/목표 기대결과 -.자료수집과 고서의 Output 설정 -.조사자료의 방향성 설정 -.조사도구의 제작 (가설 기본) 기대효과 -.편견과 상식을 바꾸어 준다 -.작업에 대한 전체관을 갖는다 -.작업효율 증대 -.낭비의 제거 -.판단력,창의력

  24. 문제(Issue) Logic Tree(예) 현업붓어관리자 경영부서 관리자 관리자 사내담당자 작성담당 송부담당 확인담당 지불담당 담당자 사람 협력회사 은행원 사외담당자 전표 처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 회게처리기준 예산편성기준 위임전결기준 기 준 제 도 기 타 기준/제도 대표담당제 증빙요건 시스템 입력시점 입력내요 작 성 결재 . 송부 확인 절 차 처 리 지불장소 지불시점 지불방식 지 불 화면구성 작성환면, 편절화면 터미널 Tool 처리속도 용량 갯 수 C D기 위치

  25. 해결과제 도출(사례) 문제해결 Logic-Tree (해결방향) (과제 Level 1) (과제 Level 2) -.자체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술동신교육 제공 -.OJT교육실시 현장중심의 기술교육 체계를 구축한다 현장위주의 기술교육 제공 조,반장 생산기술력 향상을 위해 서는 -. 신제품개발침여 프로세스개잘 -. 설비자동화 프롯세스구축 -. 문제해결 프로세스 재정립 기술업무를 직접한다 업무참여 기회제공 -. 계츤별 Job Profile 작성 -. 현장중심의 Line조직 재구축 조,반장 업무권한 확대 기술습득을 도와준다 기술자료의 현장공유 -.기술교류회 채널 확보 -. 공정간 방법개선 기술정보 교류체계

  26. 해결과제 선정 방법 해결안이 도출되면 중요도와 실현가능성의 측면에서 평가하여 우선순위가 어떠한지 정 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해결과제를 선정한다. ( 해결과제의 평가내용 )

  27. 목표설정 절차 1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뚜렷한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데 그 절차를 아래와 같이 설정 하는것이 편리하다. • 목표로 할 항목선정 2. 목표치의 설정 ① 해결과제의 내용을 구체화 한다. ① 현재 공장의 수준은 어떤가. -. 목적이 무엇인지 -. 구체적으로 나열한다 -.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지 -. 수량과 금액으로 구분 -.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할 것인지 ②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한다 ② 명확한 결과물을 정한다. -. 동종 타사의 데이터는 있는가 -. 혁신 프로그램은 되어 있는지 -. 세계수준의 데이터는 있는가 -. 문제해결을 위한 기술력은 ③ 목표치를 설정한다 ③ 목표항목을 정한다 -.주간 혹은 월간 계획 -. 달성해야 할 내용 -. 년간 계획 -. 목표달성 기간은

  28. 목표설정 절차 2 3. 목표측정지표 설정 ① 목표계획의 달성 확인을 위한 지표를 설정한다. ② 확인을 위한 자료의 수집은 어떠한 방법인가 ③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한다 4. 성과예측 설정 ① 생산성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정한다 ② 비용절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③ 테마의 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 ④ 정성적과 정량적인 목표가 달성되고 있는지

  29. 성과관리 표 (성과 및 효과)

  30. "GLOBAL기업경영의 가속화" 공장혁신활동 성과내용 (제품 을 중심으로 한내용) 2002. 7. 12. RIAL-TFT

  31. 1.2 추진목적 및 목표 RIAL Project를 통해 고객만족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차기 제품개발 및 최적의 생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설계 표준화를 유도하여 타 모델에의 효과파급을 기하고자 함. RIAL 추진활동 Quality(고객감동) ◎ 원류단계의 제품개선활동 ◎ 제품과 생산시스템이 연계된 종합적인 활동 ◎ 경영이익에 직결되는 활동 ◎ 고객만족의 제품 개발 수익성 있는 제품 개발 및 최적 생산시스템 구축 목 적 방 향 RIAL 연계 원류지향, 중지결집,선진사고 기획 설계 시작 방 법 Needs 분석 요구 수용 제품 분석 부품 분석 VE 기법, IE 분석 총합합리화, 제품/생산시스템 개선 * ◎ 중지결집을 위한 CFT 활동 ◎ 높은 목표에의 도전 ◎ 품질기능전개, 조립성 평가 ◎ Value Engineering ◎ Concurrent Engineering 방 법 ◈ 재료비 삭감 : 30 % ◈ 공 수 삭 감 : 40 % ◈ 원가구조 개선 : 30 % ◈ Skill 향상, 시장 확보 목 표 ☞ CFT : Cross Functional Team ( 업무 다기능 팀)

  32. 1.3 추진 프로세스 조직 구성 자료 수집 현 상 분 석 문제점 정리 제품 구상 상세 설계 기술 시작 양산 시작 Process 제품분석 생산시스템 분석 Event ▶중점과제 선정 ▶팀 구성 ▶원류관리 기본교육 ▶원가교육 ▶기존 자료 수집 ▶설문지, 인터뷰, 작성 ▶시장조사 ▶설문내용 조사/분석 ▶클레임 조사 ▶작업자 대화 ▶제품추이 및 기술 동향분석 ▶부품분석 ▶원가분석 ▶품질분석 ▶조립성 분석 ▶특성분석 ▶현장VCR 분석 ▶시간측정 ▶공정편성 표 작성 ▶설비분석 ▶공정분석 ▶관리항목 추이분석 ▶잠재불량 분석 ▶요인별 문제정리 - 설계 - 설비 - 물류 - 작업 - 부품 ▶배제List 작성 ▶구상골격 작성 ▶제품구상 W/Shop 실시 - Simple성 - 작업성 - 가공성 - Cost를 고려한 구상 ▶실험계획 작성 ▶회로설계 (도면작성) ▶기구설계 ▶라인/공정 설계 ▶제품구상 안 실적 비교 ▶디자인 결정 ▶부품발주 ▶초품입고 ▶초품승인 ▶작업지도 서 작성 ▶시험치구 제작 ▶Line up 준비 ▶양산품질 확인 ▶실적비교 ▶생산관리 ▶진도관리 ▶자재관리 ▶라인밸런 스 로스 점검 ▶기본목표 대비 실적 평가 Mind set Depth Interview, QFD 타사 제품 B/ Marking VE Work shop 실시 현 생산시스템 효율화/신생산시스템 구상 설계 공용화/표준화 적용 Tool

  33. 1.4 추진 조직 1차 RIAL Project는 추진 초기단계부터 분야별 사내 전문가로 추진팀을 구성, 강력한 Empowerment와 Teamwork 으로 높은 목표를 달성토록 추진하여 왔음. 추진위원장 박 이사 추진팀장 김 부 장 추진간사 장 과장 고객만족 그룹 설계변혁 그룹 제조변혁 그룹 IDEA 그룹 전 원 Filter부: 장 과장 Iso부: 황대리 생기 : 이 대리 Q A : 김대리 자재 : 송 과장 생산 : 이 과장 생기 : 이 대리 Q A : 임 대리 생관 : 김 사원 각 부서장 협력업체

  34. 1.5 추진 일정계획 계획 실적 일 정 (月 ) 비 고 추 진 내 용 3 4 5 6 7 1. 조직구성 2. 자료수집 >. 설문 및 인터뷰 조사 분석 >. 품질자료(IQC,OQC,PQC), 클레임 조사 >. 개발이력 조사 3. 현상분석 >. 부품분석, 품질분석(유형, 항목, QFD) >. 원가분석(표준, 실적) >. 경쟁사 제품분석 >. 공정/흐름분석, 관리지표 분석 >. VCR작업분석, 시간분석, LOB분석 >. 잠재불량 분석 4. 목표설정(재료비, 가공비) 5. 문제점 돌출 >. 디자인 설계부문 >. 공정작업 부문 >. 재료, 부품, 사내. 외 물류 부문 >. 치.공구, 검사, 측정 부문 >. 각 부문 배제 List 작성 >. 제품 골결 구상 6. 제품, 라인 시스템 구상(W/S) >. 원가부문, 작업부문, Simple성 7. 상세설계 >. 디자인 결정, 도면작성 >. 작업공정 설계(Lay Out) >. 부품, 업체 공법개발, 견적, 발주 8. 기술시작 >. 초품 입고, 승인, 단가 결정 >. 작업지도서 작성, 치.공구 제작, 예상 S/T 설정 >. Line Up 준비 >. 양산품질, 생산성 확인 >. 품질체크 포인트 확정, 예상실적 평가, 작업표준 확정 9. 예상 효과 파악 10.양산 시작(사후관리) 가목표 설정 목표 확정 Workshop Sample 입고지연 양산시작 미실시

  35. ISOLATOR DFU RF UNIT 2. 테마 선정 동기 2.1 환경의 변화 세계시장에서 당사의 주력제품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기는 하지만 고객의 품질,가격,납기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 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위한 생산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생산 3 Part 생산추이 DFU 생산추이 ( %)는 수량기준 신장률 <수량기준> (223%) 6,582 금액(백만) 수량(개) 12,955 38,593 117,563 36,033 (342%) 38,593 2,950 12,485 54,869 3,042 862 12,485 12,247 14,653 3,042 2000년 2001년 2002년 2000년 2001년 2002년 ☞ 동기간 대비 증감 비교임.

  36. 2.2 테마의 선정 DFU중 연속생산이 진행중인 FDU-238이 전체판매 비중의 46%를 차지하며, 고객으로부터 지속적인 판가 인하가 요구되고 있는바, 설계,생산 측면의 VE활동을 추진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음. DFU 판매 비중 판가 추이 <FDU-238> <01 ~ 02년 4월, 금액 기준> $ 256 1% 23% 48 % 판가인하 46% 54 % 인하예상 CDF-52 15억 6천 $ 157.5 FDU-238 30억 7천 $ 132 $ 118 DFCA-**20억 2천 30% 01년 2월 01년 12월 02년 현재 향후 예상 ☞ FDU-238은 4월 현재 판가가 대당 $132이나 향후 $118까지 조정될 수 있다는 정보에 의함.

  37. 3. 목표설정 3.1 원가분석 (총원가) 4월 현재 표준 총원가는 대당 161,084원이며, 실적원가는 169,234원으로 판가 158,400원 대비 각각 대당 2,684원(1.7 %)와 10,843원(6.8 %)의 적자로 나타나고 있음. 169,234 161,084 10,834 8,150 158,400 ($ 132) 27,245 27,245 판관비 59,007 51,290 가공비 (노무비+경비) 82,982 82,549 재료비 현재표준원가 표준/실적원가Gap 실적원가<4월> 손실금액 판매가 ☞ 판관비는 매출액 대비 당사의 판관비율 17%를 동일하게 적용했음.

  38. 27,600 3.2 목표설정 근거 고객의 예상 요구가인 $ 118 에서도 20%의 이윤을 확보하기 위하여 $ 95를 목표원가로 설정하여 현재의 표준원가 161,084원 대비 29.2%의 원가를 낮출 필요가 있음. 29 % 인하 161,084 재료비24,104 141,600 ($ 118) 27,245 39,081 판관비 114,000 ($ 95) 가공비14,977 확보이윤 절감목표<판관비제외> 51,290 가공비 비목별 절감목표 82,549 재료비 목표원가 현재표준원가 C/R 요구단가 ☞ 절감목표 설정시 판관비는 제외하고 공장의 재료비, 가공비에 중점을 둠.

  39. 기 능 구분 제조 방법 재질 구입처 기타 Part No 품명 수량 단가 기능부 명사 동사 주 보조손실 INSULATOR-1 INSULATOR-2 SUPPORT BAR-1 SUPPORT BAR-2 RESONATOR-2 COVER-1 D1C32HQ00000003 D1C32HQ00000004 D1B42BQ00000001 D1B42BQ00000002 D1B41ZQ00000002 D1B41CQ00000001 고정한다 격리한다 고정한다 격리한다 전달한다 잡아준다 전달한다 잡아준다 전달한다 분리시켜준다 (선택통과 한다) 확보한다 차폐한다 닫아준다 SUPPORT BAR를 ISOL-FILTER를 SUPPORT BAR를 D/C-FILTER를 ISOL-FILTER 신호를 LOOP 납땜 자리를 D/C-FILTER 신호를 LOOP 납땜 자리를 신호를 신호를 LOOP의 납땜자리를 회로를 HOUSING을 Teflon Teflon C3771 C3771 A6061 A6061 절삭 절삭/은도금 절삭/은도금 절삭/은도금 절삭/은도금 절삭/은도금 1 1 1 1 2 1 795 868 235 129 581 6029 기전 기전 기전 기전 기전 공업 Filter 4. 주요 추진경과 4.1 부품기능 분석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의 기능을 규명하고 제조공법을 파악하여 불필요한 기능이나 중복된 기능에 대하여 통합하거나 삭제하기 위한 Idea 도출을 위해 실시. 예 시

  40. 기타 5종 15개 부품 7.0% Filter부 20종 48개 부품 22.3% 회로부 48종 82개 부품 38% 장착부 19종 118개 부품 55% 총 72종 215개 부품 D/C부 17종 21개 부품 9.8% BOLT류 11종 106개 부품 49.3% ISOL부 11종 13개 부품 6.0% 기구부 8종 12개 부품 5.6% 4.2 부품분석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의 種數 및 수량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부품을 줄이거나 통합화 하는데 필요한 분명하고 구체적인 Target를 설정하기 위해 실시. 기능부 점유율 부품수 * Bolt 류 * Filter 부 * D/C 부 * ISO. 부 * 기구부 * 기타 11종 106개 20종 48개 17종 21개 11종 13개 8종 12개 5종 15개 49.3% 22.3% 9.8% 6.0% 5.6% 7.0% ☞ Bolt류는 단순 채결용으로 튜닝 Bolt는 Filter부에 포함했음.

  41. OQC불량 (수량) 4 2 1 공정불량 현황 (수량) 1500 1000 500 CLAIM 접수 (수량) 30 15 5 1 2 3 4 5 6 7 No. 1 2 3 4 5 6 No. 동판/TERM’불량 D/C 동판투락 MCX 납땜누락 SMA 텐션불량 특성불량 I/L 내부본딩누락 특성불량 불 량 항 목 MCX CON’ RESONATOR HOUSING SUPPORT FERRITE 불량 PCB 불량 불 량 항 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No. 요인구분 납땜불량 설계 설비 연구 자재 작업 튜닝불량 P C B 쇼 트 볼 트 풀 림 스티커 불량 본딩누락 표면변색 CON’ BURR 은도금 손상 접촉불량 요인구분 Con’ 불량 내부이물질불량 INSUL 이물질 P I N 불량 불 량 항 목 설계 설비 연구 자재 작업 4 2 2 1 1 1 1 1667 1460 1346 1043 484 363 설계 설비 연구 자재 작업 30 7 6 5 5 4 2 1 1 1 1 1 1 1 4.3 품질분석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공정불량, 최종검사 불량, 고객으로부터의 클레임 정보를 요인별로 분류하여 원류단계에서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기 제품에서 재발되지 않도록 설계에 Feedback하기 위함. 예 시

  42. PARAGON CAMELEON FDU 모델 비고 항목 238 변경샘플 자사 자사 PILTRONIX REMEC 조립 부품부 97개 80개 120개 96개 81개 67개 Screw 수 106개 96개 125개 114개 93개 45개 조정 Point 부 3종 20개 2종 20개 Filter 부 2종 18개 1종 19개 2종 15개 1종 19개 가공성(외주) Housing 기준 양 호 양 호 보 통 양 호 양 호 양 호 조립성 양 호 보 통 양 호 양 호 보 통 보 통 평점 55 점 65 점 50 점 65 점 75 점 85 점 20 조립 부품부 10 10 5 10 10 15 항 목 점 수 Screw 수 20 5 10 5 5 10 20 25 10 10 15 15 20 15 조정 Point 부 15 가공성(외주) 15 15 10 15 15 15 20 조립성 15 20 15 20 15 20 20/15 15/10 10/5 항목/배점 20 15 10 5 항목/배점 배 점 기 준 부품수/Screw 수 50개 이하 70개 이하 100개 미만 100개 이상 조립성/가공성 양호 보통 미흡 항목/배점 25 20 15 10 기 타 CAMELEON (ACE) : DIE CASTING FDU (238) : DIE CASTING 조정Pount수 10개소 이하 15개소 이하 20개소 미만 20개소 이상 4.4 생산성수준 분석 당사 경쟁사 제품을 비교 평가 분석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추출하여 장점의 부각, 단점의 보완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Bench marking 활동임.

  43. 담 당 예상개선 금액(원) 완료 일정 개 선 방 법 NO 항 목 구분 5/22 3/31 5/31 6/14 C B B B B B A 1 2 3 4 5 6 7 RESONATOR COVER-1 STRIP STICK COVER-3 COVER-4 COVER-5 PCB-1B 81 2,110 130 656 709 973 108 락크도금 => 바렐도금 방법으로 변경 Al =>C3771 합금으로 재질변경 검토 절삭 => PRESS가공법 변경/HAIR LINE 삭제검토 차기모델 STIP STICK 제거 절삭 => PRESS 가공법 변경 / 6061 => 5052 Al 재질변경 은도금 => 백색크로메이트 도금 또는 세척 만/ HAIR LINE 삭제 절삭 => PRESS 가공법 변경 / 6061 => 5052 Al 재질변경 은도금 => 백색크로메이트 도금 또는 세척 만/ HAIR LINE 삭제 절삭 => PRESS 가공법 변경/ 6061 => 5052 Al 재질변경 은도금 => 백색크로메이트 도금 또는 세척 만/ HAIR LINE 삭제 수입 원자재 변경으로 단가 인하 [라메이트 구입] 장창수G송용규G (연구/구매) 장창수G송용규G (연구/구매) 장창수G (연구) 장창수G ( 연구) 장창수G (연구) 장창수G (연구) 송용규G (구매) 5. 개선안 돌출 5.1 요인별 문제점 정리 현상분석에서 나온 모든 사항을 발생요인별로 구분 정리하고 실행구분에 따라 즉시,차기,검토로 분류하여 개선 진행사항에 대한 Follow up 자료로 활용. 개선항목 List 예 시 < 구분 => A : 즉시 개선, B : 차기 적용, C : 검토 > 유형별 분류 설계개선 : 46건 제조공법 변경 : 15건 공정변경 : 6건 보류 : 1건

  44. 5.2 개선안 도출 요인별 개선항목에 대하여 해결방법을 찾아 전원이 참여한 Work-shop을 통해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 도출. 중요 문제점 ISSUE 1. SMA/MCX CON’ 체결이 어렵다. 2. D/C 측정시 빈번한 COVER 개폐. 3. PCB 납입품질 불균일. 4. Bolt 결합(Tap 가공)이 많다. 5. 제조공법이 부품특성에 부적합. (Loop,동판,Cover3,4,5….) 6. 불필요한 공정이 많다. 7. 라인의 부하불균형이 심하다( LOB : 68%) 8. 조립 작업시 JIG 사용이 안되고 있다. 9. 공정에서 Loop Bending 및 Cutting . 10. 부품 납입방식이 불합리하다. 11. 부품기능에 비해 재질/도금 사양이 매우 고가이며 까다롭다. 12. 수입부품의 단가가 비싸다. 13. 부품 체결시 제품을 여러 번 뒤집는다. 14. 설비의 오차가 심하다. 설계개선46건 67.6% CON’ 체결구조 변경 : 나사Type=>Knurling Type 부 기능 부품 삭제 및 통합 재질 및 도금 Spec. 변경검토 D/C 설계개선 : Microstrip Line 설계검토 Press 전문업체 부재 2 Vender 부재로 각 부품의 단가가 과다 책정됨. 신규업체 개발이 안되고 있음. 제조공법 변경15건 22.1% 공정변경6건 8.8% 보류1건 1.5%

  45. ( 개선안 사례 : 1 ) 품명 : SMA CON’ 공정명 :SMA CON’ 체결 현 상 1 차 안 2 차 안 3 차 안 4 차 안 • 체결이 어렵다. • 체결시 드라이버로 BODY에 찍힘이 발생한다 • LOCATION JIG제작 사용 • 2 HOLE TYPE으로 변경 • KNURLING TYPE 으로 압입 • SUCO도금으로 변경 검토 품질 작업성 Cost 가공성 \400/Set 절감예상 \200/ea 절감예상 재료비 절감 직접 효과 공수 절감 양수 작업이 가능함. 작업성 평가 관리부품수 ▲ HOLE 1EA ▲ BOLT 2EA HOLE 2EA 간접 효과 요소작업수 Con’및 housing 외관불량 감소 부정형,잠재불량 Bottleneck 부서 예상문제점 적용가능성(즉시,검토,차기적용) 차기모델(연구) 즉시 (생산기술)~5/25 차기모델(연구)

  46. ( 개선안 사례 : 2 ) 품명 : COVER 3,4,5 공정명 : D/C COVER 조립 현 상 1 차 안 2 차 안 3 차 안 4 차 안 도금변경 : 은 =>백색 크로메이트 설계변경에 따른 삭제 : COVER 3,5 • 가공공법 변경 - 절삭=>PRESS • Al 재질변경 - 6061 =>5052 • 두께변경- 3t => 2t COVER 기능에 비해 가공 법이 난해하며 단가가 비 싸게 책정됨. COVER3 : \1,094 COVER4 : \1,181 COVER5 : \1,621 TOTAL : \3,896 품질 작업성 Cost 가공성 재료비 절감 \2,338/SET \1,169/SET \2,715/SET 직접 효과 공수 절감 공수 2/3 절감 예상 작업성 평가 외관취급이 용이 작업성 70% 향상 관리부품수 COVER 3개=>COVER 1개 간접 효과 요소작업수 볼트 풀림/ 누락 감소효과 부정형,잠재불량 Bottleneck 부서 예상문제점 적용가능성(즉시,검토,차기적용) 차기적용(연구)

  47. ( 개선안 사례 : 3 ) 품명 : INSULATOR 1,2 공정명 : INSULATOR 삽입 현 상 1 차 안 2 차 안 3 차 안 4 차 안 INSULATOR의 기능성에 비해 고가이며 가공시 재 료의 낭비가 심함 INSULATOR-1 : \795 INSULAOTR-2 : \868 TOTAL : \1,663 INSULATOR 재질변경 검토(온도변화 적응력) : 엔지이어링 플라스틱 및 범용 플라스틱 검토 : 테프론-> PP/PA PE/PC 사출로 변경시(\50/EA) 태프론 사출 및 압축성형 가능업체 개발 품질 작업성 Cost 가공성 재료비 절감 \913/SET \1,563/SET 직접 효과 공수 절감 작업성 평가 관리부품수 간접 효과 요소작업수 부정형,잠재불량 Bottleneck 부서 연속사용 온도 검토 필요 예상문제점 (구매)자재수급(~5/10) TEST 시험(연구,QA)~5/16 업체와 협의 검토 완료(6/28) 적용가능성(즉시,검토,차기적용)

  48. 45.0% 18건 37.5% 15건 17.5% 7건 7. 실행 효과파악 7.1 정량적 효과 (재료비 위주) 개선안 내용을 검토, 시험결과 총68건중 40건이 현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계부문 개선이 40건중 18건으로 45.0%를 점유하며, 제조공법 변경이 37.5%로 나타나고 있고 총 예상 절감액 중 32.8% 인 9,471원은 즉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됨. 적용 시기별 분류 개선 유형별 분류 개선 금액별 분류 28,910 19,439 54.7% 설계개선 15,817원 67.2% 제조공법 변경 30.5% 8,825원 9,471 32.8% 단가인하<공정개선> 14.8% 4,268원 즉시적용 차기모겔 총 예상 절감

  49. 절감금액 < 재료비> 재료비의 경우 목표대비 119%의 개선 및 절감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절감목표를 초과하였으나 가공비의 경우 대상모델의 생산중단으로 파악이 불가능함. 차기 모델 적용시 가공비 절감활동 추진 예정임. 목표대비 개선안 < 재료비, 단위:원 > 39,081 161,084 가공비14,977 28,910 132,174 재료비24,104 114,000 가공비 절감방안 ($ 110) ($ 95) 계획 대비 재료비 19% 초과 달성 - 재료비 개선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 LOB개선에 따른 생산성 향상 - 작업방법 개선 현 총원가 절감목표 목표원가 개선후 금액<1차> < 판관비 제외>

  50. RIAL 7.2 정성적 효과 가공비의 경우 대상모델의 양산 중단으로 인하여 효과파악이 불가능하며 차후 신모델 양산시 LOB분석,공정분석을 통한 가공비 절감활동을 추진하여야 하며, 타 모델로의 수평전개가 가능할 것이 예상됨. 가공비 부문 품질 부문 -. 부품수,Tap 감소로 인한 작업공수 감소-. 설계개선에 의한 비효율적인 낭비 제거-. 작업의 난이성 배제-. 특성작업의 안정화 및 표준화 고려-. 부정형 작업의 감소 -. 부정형 특성작업에 의한 Visual 및 특성 불량 감소-. 관리포인트 감소에 의한 CTQ 개선 역량 집중-. 관리부품의 감소로 인한 납입 및 공정품질의 안정 -. 설계기법 개선에 의한 납땜 포인트 감소 및 불량 감소 설계 부문 -. 목표원가에 의한 설계개념 도입-. 부품별 최적의 제조공법 개발인지-. 새로운 설계기법 도입(연구 주도의 개선활동 지속))-. 표준화,공용화를 통한 단순화 가능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