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서울 시립대학교 행정과 정치 7

서울 시립대학교 행정과 정치 7. heyok@uos.ac.kr. 민주주의 체제와 여론. 가장 덜 민주적인 체제에서조차도 여론은 실질적인 정책의 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한 정부가 전제 정치에 기초해 있을지라도 , 그것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의 국민들로부터 자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 - V. O. Key, Jr. 여론의 성격. 하나의 정책적 제안에 대해 모든 주민들이 의견을 표시하는 것은 아님 찬성이나 반대 모두가 동일한 강도로 문제를 인식하는 것은 아님

lavi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서울 시립대학교 행정과 정치 7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서울 시립대학교 행정과 정치 7 heyok@uos.ac.kr

  2. 민주주의 체제와 여론 • 가장 덜 민주적인 체제에서조차도 여론은 실질적인 정책의 방향과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정부가 전제 정치에 기초해 있을지라도, 그것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의 국민들로부터 자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 V. O. Key, Jr.

  3. 여론의 성격 • 하나의 정책적 제안에 대해 모든 주민들이 의견을 표시하는 것은 아님 • 찬성이나 반대 모두가 동일한 강도로 문제를 인식하는 것은 아님 • 제안의 변경에 의해 찬성과 반대의 인적 구성원이 바뀔 수 있음 • Public Opinion 에 따라 결정되었다고 하더라도 public 이 모든 주민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거나, 주민 모두가 모든 정책의제에 대해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

  4. 여론의 정의 • “어리석음, 위약함, 편견, 잘못된 느낌, 올바른 느낌, 고집, 신문기사를 종합한 것이 바로 여론이다”– 19c 영국정치가 Sir Robert Peel • “정부가 경청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하는 개개인들이 견지하고 있는 견해”–V.O.Key • 여론은 정부관료들이 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인식하고 고려하고자 하는 모든 사적 의견의 총합 • 여론은 특정 정치 상황과 쟁점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지 공중으로 알려진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모든’ 쟁점에 대한 생각들의 총체는 아님 • 쟁점에 따라 상이하게 결합된 여론 집단들이 형성되고, 모든 결합들은 어떠한 입장도 표명하지 않는 집단을 반드시 포함함

  5. 여론의 두 차원: 선호도와 강도 • Preference –어떤 정당, 후보, 정책에 대해 찬성 또는 반대하는 속성을 측정 • Intensity –사람들이 자신들의 선호를 얼마나 강력하게 느끼는 가를 측정 • 투표하고 싶어하는 강도가 같을 때 60% 가 A후보를 선호하고 40%가 B후보를 선호할 때 A후보가 3:2로 승리하게 되지만, A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절반만이 투표하고 싶어하고 B후보를 선호하는 사람은 모두 투표하고 싶어 한다면 B후보가 4:3으로 승리하게 됨 • 소수이지만 강력한 동기를 가진 집단이 다수이지만 무관심한 반대 집단을 누르고 승리한 경우가 많음

  6. 여론의 두 차원: 선호도와 강도 • “당신은 동성연애자들이 직장을 구할 때 차별받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에 찬성하십니까? 아니면 반대하십니까?” 26% 강한 찬성, 27%약한 찬성, 3% 상황에 따라, 16% 약한 반대, 26% 강한 반대 • -> U형 곡선: 강한 불일치의 상태 –대부분의 사람들은 견해를 가지고 있고,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그 정도가 강력하며, 강력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양 극단적인 위치로 거의 대등하게 나뉘어져 있음 •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정치체계의 능력이 큰 시험을 받게됨

  7. 여론의 두 차원: 선호도와 강도 • “당신은 다음 중 어느 것이 옳다고 생각하십니까? 첫번째, 학교에서 수업 시작 전 기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두번째, 종교의식은 학교 프로그램에 속해서는 안된다.” • J형 곡선: 65% 기도하는 것을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허용, 26% 종교는 학교와 무관, 9% 상황에 따라

  8. 여론 조사를 통한 측정 • 의의: 민주주의란 정부가 국민다수의 희망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 • 국민대다수가 정치적 쟁점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알아낼 방법을 가지고 있어야 함 • 국민투표에 입각한 직접 민주주의 • 뉴잉글랜드의 주민회의, 스의스 캔턴의 란츠게마인덴(landsgemeinden)을 위시한 어떠한 실제의 민주 체제도 이러한 식으로 조직되고 운영되지 못했음

  9. 여론조사의 등장 • 표본조사(sample survey):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 집단에 대한 질문을 통해 수행하는 모집단의 의견연구->여론조사(public opinion survey) • 여론조사는 큰 사업 –상업성 여론조사, 정치문제에 관한 여론조사 • 여론조사는 모든 현대 민주주의에서 정당과 후보들이 동원하는 중요 선거 운동 장치, 주요 정당들은 여론 조사 전문가들을 고용하여 발표된 여론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자체 여론 조사도 실시 * 상업적 여론조사기관-George Gallup의 미국 여론 연구소(American Institute of Public Opinion), 해리스 조사 연구소(Louis Harris and Associates), 영국의 국제시장 및 여론조사연구소 (MORI:Market and Opinion Research International), 프랑스의 프랑스 조사 연구회 (SOFRES:Societe Francaise pour Etudes Sondages), 독일의 알렌스바흐 여론 연구소 (Allensbach Institut fur Demoskopkie) *학술기관 – 미시간대학교의 정치사회연구센터(CPSS:Center for Political and Social Studies), 시카고 대학교의 전국 여론 연구 센터(NORC: National Opinion Research Center), UC 버클리의 조사 연구센터(SRC:Survey Research Center)

  10. 여론 조사의 방법 1) 표본의 추출(미국 표본의 수 3000-6000) 좋은 표본의 기준은 표본의 크기가 아니라 표본의 대표성 2) 표본 구성원들이 갖고 있는 특정의 주제에 대한 생각을 알아낼 수 있는 질문을 만듦 3) 면접자가 표본 구성원에게 질문을 제시 4) 응답지를 컴퓨터에 입력, 분석 투표장 출구 조사(exit poll) –신속히 투표결과를 예측하고 투표동기를 분석하는데 유용

  11. 여론조사의 정확도 • 85.2%의 적중률(1936-1988) • 질문이 제기되는 방식이 응답에 커다란 영향을 미침 • “당신은 정부가 현재 취하고 있는 조치보다 더 많은 조치를 취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예 관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2. 여론 조사의 영향 • 관료들은 여론 조사 결과를 보고 이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는가? ->여론 조사 결과가 수많은 영향 요인들 가운데 하나의 요인에 불과 • 미결정 유권자나 유동적 유권자들이 선거 전 여론 조사 결과를 보고 그들도 예상되는 승리자에게 투표하기로 결정하느냐? -> ‘편승효과(bandwagon effect)’또는 ‘동정효과(sympathy effect)’는 없음 • 서부 유권자들이 동,남, 중서부의 결과에 근거하여 특정 대통령 후보가 이미 승리하였다고 하는 텔레비전 선거 중계 방송의 예측을 보고투표를 포기하는가? ->기권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하지 않음

  13. 서구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 분포 • 국민들의 관심사 • 미,영,독,불 국가 모두에서 경제를 안정시키고 범죄를 해결하며 법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 • 미국인들만이 강한 군사력을 유지하는 것에 높은 점수, 프랑스인들만이 ‘더 친절하고 더 인간적인 사회’를 만드는데 높은 점수를 줌 •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과제”–경제적인 문제에 더 많은 관심

  14. 서구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 분포 • 이데올로기 • 스위스와 미국의 일반인들에게 이데올로기는 가장 덜 중요하게 나타남 • “당신은 정치적으로 자유주의자, 온건파, 보수주의자, 아니면 다른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대부분 온건파(19% 자유주의자, 34% 보수주의자, 44% 온건파) • 남>녀, 백인>아프리카계 미국인, 늙은 세대>젊은 세대, 기독교>카톨릭>유대교>무신론자, 고소득층>저소득층 ……더 보수적 • 이데올로기 입장에 대해서 30% 모른다로 답하고, 20%는 일관되게 입장을 틀리게 대답함

  15. 서구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 분포 • 대학 사회의 자유주의적 경향 • 급진적 교수들이 좌파적 정치적 견해를 강의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부모로부터 습득한 보수주의를 버리게 하고 있는가? • 확실히 대다수 대학 교수들은 일반인들보다 자유주의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 • 사회과학 교수들의 64%가 자신의 자유주의자로 생각 • 교수들에 의한 단순한 주입보다 더욱 강력한 요인들이 대학생들의 이데올로기를 규정 • 대학진학자가 대학 미진학자보다 더 자유주의적, but, 고등학교 시절 이미 대학 미진학 예정자인 동급생들보다 더 자유주의적이라는 사실이 입증

  16. 서구 민주주의 국가의 여론 분포 • 국내정책: 정부의 경제적, 사회적 책임 • 미국의 응답자들이 서구 국가들의 응답자들에 비해 자신들의 정부가 국민들의 기본 소득을 보장하고, 빈부간의 소득격차를 줄이고, 누진세를 부과하는 의무를 전적으로 져야 한다는 생각에 훨씬 더 적은 지지를 보냄 • 이탈리아는 미국의 다른 극단에 위치 • 모든 국가의 국민 대다수는 세금이 지나치게 높다고 생각, 그러나 세금 감액과 정부 서비스 유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국민들 대부분은 정부 서비스 쪽을 택함 ->비일관성? • 만약 정부가 낭비와 횡령을 없앤다면 세금을 줄이면서 동시에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

  17.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 커뮤니케이션이란 ‘상징(symbol)’의 사용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것 • 커뮤니케이션은 정치활동과 정치적인 갈등이 일어나는 기본적 과정 •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1) 커뮤니케이터 2) 메시지 3) 미디어-개인적 대화, TV, 신문 4) 수신자-커뮤니케이터의 메시지를 알게 되는 사람 5) 반응 –동기부여, 사고의 전환, 재확신, 실천적 활동

  18.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커뮤니케이터 • 정부정책에 영향을 끼치기 위해 활동하는 사람이나 단체(정당, 압력단체), 정부기관들은 보도자료, 배경설명, 정보누설을 사용 • 독재주의 정권은 모든 종류의 직접적인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의 내용까지도 장악하기 위해 노력

  19.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 반응 1) 동기부여(initiation)- 새로운 문제의식을 갖게끔 함 2) 사고의 전환(conversion)-이전 견해 포기하고 입장 전환 3) 재확신(reinforcement)-확고한 신념을 줌 4) 실천적 활동(activation)-감동케하여 적극적 활동에 참여

  20.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 • 대중 커뮤니케이션 매체 • 대면매체(face-to-face-media): 커뮤니케이터와 수신자 간의 직접적인 접촉, 즉 개인적인 대화, 사적인 편지 등에 의해 메시지가 전달되는 매체 • 대중매체(mass media): 직접 접촉하지 않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텔레비전, 신문, 라디오, 영화, 잡지, 책, 인터넷

  21. 대중 커뮤니케이션 매체 • 텔레비전의 소유, 조직, 규정 • 미국에서 대부분의 텔레비전 방송은 사적으로 소유-수입의 대부분은 방송광고시간 판매, 연방커뮤니케이션 위원회(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허가권을 가짐 • 벨기에, 덴마크, 노르웨이: 모든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국을 정부에서 소유 • 영국은 공공,민간소유가 혼합된 방송체계: BBC(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공공기관’

  22. 텔레비전 • 정치적 뉴스와 정보의 발표 • 보도에 대해 시청자들이 사실 그대로 믿는 경향이 있음 • 텔레비전 제작자와 기자들이 방송의 내용을 통제 • 뉴스 방송인들의 목적은 재미있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지 결코 후보자를 좋게 보이도록 하는 것은 아님 • 30초에서 1분 정도의 짧은 정치 광고

  23. 텔레비전 뉴스의 정치적 및 구조적 모순 • 보수적 비평: 방송망이 한결같이 고의적으로 보수주의자보다 자유주의자를 선호하고, 공화당보다는 민주당을, 낙태 반대보다는 찬성의 입장을 호의적으로 보도했다고 주장 • 좌파 비평: 방송망 뉴스 캐스터들이 대기업 회장들에게 고용되어 방송을 통해 그들의 입지를 영예롭게 만들고, 미국의 권력구조가 어떻게 일반 대중을 격리시키고 분쇄하는가에 대한 보도를 탄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봄 • 구조적 편견이라는 비평: 권력을 쥐고 있는 사람보다 체제에 도전하는 사람에게, 정당의 수뇌보다 무소속정치가에게, 선두주자보다는 뒤에서 달리고 있는 후보자에게, 경마의 인기 있는 말보다는 다크호스에게, 정치가보다는 비정치가에게, 지속적으로 더 많은 동정심을 가지고 보도 <- 텔레비전 매체 자체의 본질로부터 발생 • 운영방법에 대한 법적 제한, 방송사간의 격렬한 경쟁, 지루하고 장황한 이야기 대신에 생생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많은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고 계속 유지해야만 하는 필요성, 광고 선전을 포함한 모든 프로그램을 반 시간짜리 프로그램에 짜맞추어야 하는 필요성, 정치 이야기에 쉽게 식상하는 대다수 시청자들에게 지나치게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짧은 시간 동안 그들의 집중을 모야야 하는데 있는 것 • 반론: 뉴스는 기자의 인식, 혹은 무엇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단순히 무엇이 일어났는지’를 보도한다. ‘전기거울’

  24. 미국 내 정치적 방송의 규정 • 미국 헌법 수정 1조 “의회는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을 만들 수 없다.” • 주파수들은 FCC에 의해 특정한 방송국에 지정 –이런 제한적 자원을 허가받은 대가로 의회와 FCC는 ‘공공의 이익, 편의, 필요성’목적으로 방송국이 운영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들을 부여할 권리를 갖는다고 선언 • 공익 프로그램을 방송하도록 한 규정: 적절한 수의 공익성을 담을 프로그램을 방영할 것을 의무화(대략 15%)

  25. 방송의 원칙 • 공정성의 원칙: 상반되는 견해들을 방송 전이나 후에 소개할 것을 요구 -> 책, 잡지처럼 자신들이 표현하고 싶은 뜻대로 정치이야기나 사설 등을 담을 수 있도록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주장 -> 연방재판소가 원칙을 명령하지 않았음(1987) • 기회균등의 원칙-자유시간을 할애할 때 경쟁후보에게도 똑같은 시간을 할애 but, 뉴스 프로그램에서 후보들을 다루는 데 적용되지 않음, 군소후보에 대해서 똑같은 시간을 할애해 취재할 필요없음

  26. 신문 • 신문을 정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원 가운데 두번째로 중요하고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 • 신문은 텔레비전 뉴스 쇼가 뉴스를 모으고 의제를 정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 • 대부분의 신문들은 사적으로 소유, 민간 기업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 • 신문의 광고수입 65-90% -> 잠재적 광고주가 지나치게 불쾌해하지 않을 소재를 택하여 인쇄하는 경향

  27. 라디오 • 텔레비전 시대의 도래가 라디오 방송 사업을 파산시키지는 못했음 • 라디오는 여전히 중요한 정치적 역할 • 텔레비전, 신문에 이어 제 3의 위치를 차지 • 개도국의 경우 텔레비전보다는 라디오를 더 많이 접하기 때문에 중요한 매체로 기능

  28. 대중 매체의 정치적 영향 • 정치 유세의 운영은 대체로 정당 정치와 공직에 경력이 있는 정치적인 지도자들로부터 광고와 텔레비전 제작에 경력이 있는 전문적으로 유세를 하는 사람들로 옮겨져 감 • 무료매체의 장점: 1) 비용이 들지 않음, 2) 강한 신뢰를 얻음 • 유료매체를 통한 유세용 정치광고 –무엇인가 팔려고 하는 것이라는 인식하에 유권자들이 신중해 짐

  29. 대중 매체의 정치적 영향 • 대중매체는 공무원과 정책 결정자들에게도 중요 • 보도자료(handout)-사전에 준비된 문서로서 이를 통해 과거의 조치를 옹호하거나, 새로운 제안에 대한 정당성을 주장 • 배경설명(backgrounders)-공보장관 혹은 그보다 상위직 관리들이 기자들과 만나서, 기록에 남기지 않는다는 전체하에,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알려줌으로써 기자들이 ‘진실된’사실이라고 믿는 바를 이야기로 쓰게 됨, 정보 출처를 “고위 백악관 관리”“국무성의 권위있는 소식통” • 누설(leak)-공식적으로 허가받지 않은 정부의 비밀 정보가 뉴스 매체로 은밀히 전달되는 것 • <- 누설된 정보에 기초하여 독점적이고 정확한 이야기들로 특종을 내어 다른 경쟁지를 앞서려는 뉴스 매체의 열망, 기자에게 누설을 함으로써 정치적 목적을 이룰 수 있다고 보는 이들의 존재

  30. 커뮤니케이션 혁명, 과거와 미래 • 큐브시스템(Qube system)-상호 반응하거나 청중이 참여하는 텔레비전 형태 • 케이블 시청자들이 수신기를 통해 스튜디오에 신호를 보낼 수 있어서 그들이 보는 것에 대한 견해를 피력할 수 있고, 정치적인 토론이 방송된 후 정책문제에 대해 전기 장치로 투표할 수도 있음 • 국가적 ‘마을회의’로 확장? • 인터넷의 발달 -> 방송과의 통합 •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직접 민주주의에 기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