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존 내쉬가 들려주는 의사결정이론 이야기

존 내쉬가 들려주는 의사결정이론 이야기. 유대열. 존 내쉬. 존 내쉬 출생 1928 년 6 월 13 일 ( 미국 ) 나이 85 세 ( 만 84 세 ) 성별 남성 수상 :1978 년 John Von Neumann 이론상 1994 년 노벨 경제학상 1999 년 미국 수학회 리로이 스틸상 경력 : 프린스턴대학교 교환 연구원. 목차. 선거 분배 결정게임 비결정게임. 선거 - 다수에 의한 결정.

liv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존 내쉬가 들려주는 의사결정이론 이야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존 내쉬가 들려주는 의사결정이론 이야기 유대열

  2. 존 내쉬 • 존 내쉬 • 출생 1928년 6월 13일 (미국) • 나이 85세 (만84세) 성별 남성 • 수상 :1978년 John Von Neumann 이론상 1994년 노벨 경제학상1999년 미국 수학회리로이스틸상 • 경력 :프린스턴대학교 교환 연구원

  3. 목차 • 선거 • 분배 • 결정게임 • 비결정게임

  4. 선거 - 다수에 의한 결정 • 방법 : 득표수 중 가장 큰 최댓값 선택 • 장점 : 최댓값이 항상 존재하므로 신속하게 의사전달 가능 • 단점 : 소수의 의견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다수에의한 결정을 지지하는 사람보다 많을 수도있어 결정이 낮은 지지를 받을 수 있음

  5. 선거 - 과반수 투표 • 방법 : n명의 투표 인원의 과반수 [n/2]+1을 얻으면 선택 • 장점 : 과반수의 높은 지지를 받은, 합의가 된 의사결정 가능. • 단점 : 과반수의 득표자가 나오지 않는 경우는 계속하여도 끝이 나지 않아 결과 예측 불가,또한 후보가 많을수록 과반수가 나올 확률 희박

  6. 선거 - 보다의 선택 • 순위에 따라 점수 부여하여 합계의 최고점 선택 • 장점 : 1위뿐 아니라 다른 순위에 대한 의견을 반영하여 선택하기 때문에 주어진 후보들에 대한 선호도 조사할 때 유용 • 단점 : 결정 방식이 다소 복잡하며 과반수의 1위를 받은 후보가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음 A:4x3+1x2+2x1=16 ,B:3x3+9x2+5x1=32 C:3x3+0x2+3x1=10

  7. 선거 - 제거를 통한 다수결 • 방법 : 1위를 가장 적게 차지한 후보자를 차례로 제외하면서 마지막에 남은 후보가 당선 • 장점 : 극소수의 의견과 같은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적어도 안전한 의사결정 • 단점 : 제거된 후보를 골랐던 사람들이 1위가 아닌 후보에게 투표했을 때 전 1위는 낙선 될 수 있음

  8. 선거 - 이진비교법 • 방법 : 여러 후보 중 두 후보를 선택하여 비교해 우세한 후보에게는 1점, 열세한 후보에게는 0점, 비겼을 때에는 0.5점을 주어 각 후보가 얻은 점수의 합이 가장 큰 후보가 당선 • 장점 : 두 후보 간의 더 좋은 평가를 받는 선호도를 조사할 때 유용 • 단점 : 한 낙선자가 사퇴하여 그 낙선자를 제외한 후 재검표하면 결과가 변경 될 수 있음

  9. 분배 – 공평한 분배 • 모두가 불만이 없도록 분배하는 방법 • 유의점 : 분배에 참여하는 사람이 여러 조각으로 나눌 수 있을 때에 크기가 아닌 그것의 가치로 판단, 분배 후 크기가 모두 같을 필요는 없음 • 방법 : n(n>2)명이 참여했을 때 한 사람이 나누고 다른 사람이 선택하여 자신이 적어도 1/n이상 차지했다고 생각하도록 분배, 단, 공평한 분배가 되려면 반드시 나누는 사람과 선택하는 사람은 구별되어야 함

  10. 결정게임 • 선택 가능한 여러 전략이 있을 때,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지를 결정하는 게임. 안장점에서 최선의 전략을 가지게 되며 영합게임과 비영합게임으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음 • (안장점: 상대 경기자의 최선의 선택에 따른 자신의 최선의 선택을 결정하는 부분)

  11. 결정게임 - 비영합게임 • 전략에 따른 각 결과에 모든 경기자의 득실 합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모든 경기자들이 동시에 성과를 얻거나 또는 잃는 것이 가능한 상태를 말함 • 죄수의 딜레마 -둘 중 하나가 배신하여 죄를 자백하면 자백한 사람은 풀어 주고, 나머지 1명이 10년 복역 -둘 모두 자백하면 둘 모두 5년 복역 -둘 모두 자백하지 않으면 둘 다 6개월 복역

  12. 결정게임 - 영합게임 • 한 집단이 이득을 보면 다른 한 집단이 손해를 보아 결국 두 집단의 이익을 모두 합하였을 때 0으로 일정한 상태를 말함 • 경쟁하는 분식집 - 전략A : 주문한 음식만 제공 - 전략B : 주문한 음식과 후식 제공 old분식집 입장에서 나타낸 표

  13. 결정게임 - 영합게임 • New가 A를 선택했을 때 Old에 유리한 전략 A 60 • New가 B를 선택했을 때 Old에 유리한 전략 A 40 • 따라서 Old는 A를 선택하고 New는 B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 • 이 때 Old는 40의 수익을 얻고 New는 40의 손해를 얻으므로 40+(-40)=0 즉,0이 된다.

  14. 비결정게임 • 상대방의 전략을 미리 알지 못하면 자기의 최선의 전략을 알 수 없어 게임에 임하는 참여자가 자기의 마음에 따라 전략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한 전략은 상대방의 전략에 따라 자기에게 유리 또는 불리하게 적용됨

  15. 비결정게임-역진귀납법 • 비결정게임에서 선행 경기자는 후행 경기자가 자신의 전략에 대해서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것까지 생각하면서 전략을 사용해야 하지만 게임이 복잡해지면 선행 경기자가 생각하는 경우의 수가 많아짐 이를 극복하고자 고안한 방법이 역진 귀납법 • 마지막 수에서 최선의 전력을 찾는 것은 쉽다. 다음 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보수를 많이 얻는 것에 대한 전략을 찾으면 되기때문. •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 전 수에 대한 최선의 전략을 찾을 수 있고 이를 반복함으로써 균형 전략을 찾을 수 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