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8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이상숙 (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1moretry@naver.com(02-3497-7716). 수교 이전 외부적 제약. 수교 이후 한중관계. 중국 , 한국 최대 교역 상대국 (2004). < 표 1> 한중교역에서 상위 품목 (1988-1992). ( 투자금액 : 100 만 미 달러 ). 중국 , 한국 최대 수출시장 (2003). 중국 , 한국의 3 대 무역국 (93). < 표 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추이 (1985-1992). 한국의 대중국 투자.

marcel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시진핑 시대의 북중관계 이상숙(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1moretry@naver.com(02-3497-7716)

  2. 수교 이전 외부적 제약

  3. 수교 이후 한중관계 중국, 한국 최대 교역 상대국 (2004) <표1> 한중교역에서 상위 품목(1988-1992) (투자금액: 100만 미 달러) 중국, 한국 최대 수출시장 (2003) 중국, 한국의 3대 무역국 (93)

  4. <표2> 한국의 대 중국 투자 추이(1985-1992) • 한국의 대중국 투자 한국, 중국의 3대 투자국 부상 (2003) 한국, 중국의 10대 투자국 (93)

  5. 한중 밀월기의 종언(통상 갈등)

  6. 한중 역사갈등

  7. 경제협력을 넘어서(전략적 제휴 가능성)

  8. 전환기의 북중관계

  9. 한중수교 이후 북중관계

  10. 후진타오 시기의 중국의 대북정책

  11. 제1차 북핵실험과북중관계

  12. <표> 북한의 대중 교역현황 (단위: 천 달러, %)

  13. 김정은 후계체제 구축시기 북중관계

  14. 2011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지린성과 조선 라선특별시 중-조라선경제무역구 공동개발관리사업위원회 제1차회의가창춘에서 열렸다. 지린성과라선시는 공동으로 "중조라선경제무역구(2011-2020년)계획틀에 관한 협의"를 체결했다.

  15. 중국의 ‘창-지-투’ 계획 본격화

  16.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17. 김정은 후계자에 대한 중국의 반응

  18. 북한 김정은 시대의 개막과 중국의 대응

  19. 장성택 중국 방문

  20. 시진핑 지도부의 대북정책

  21. 3차 핵실험 전후 중국의 대응

  22.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23.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원인

  24. 중국의한반도정책 변화인가?

  25. 우리의 대응

  26.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