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9

학습 및 사고 기술 개발 : 인지기술의 개선

2001 년 8 월 4 일 수시 합격생 하계캠프 강연. 학습 및 사고 기술 개발 : 인지기술의 개선. 이정모 성균관대 심리학과 / 인지과학 협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미래의 인간. 인간의 생물적 / 신체적 진화는 Stop 됨 인류가 survive 할 수 있는 방법 - 의식 ( 인지 기술 ) 의 진화 - 인지와 환경의 연계 기술 개발 마음 ( 인지 )- 두뇌 - 컴퓨터 - 문화체계의 연결

marguerite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학습 및 사고 기술 개발 : 인지기술의 개선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1년 8월 4일 수시 합격생 하계캠프 강연 학습 및 사고 기술 개발:인지기술의 개선 이정모 성균관대 심리학과/ 인지과학 협동과정 jmlee@yurim.skku.ac.kr http://cogpsy.skku.ac.kr/

  2. 미래의 인간 • 인간의 생물적/ 신체적 진화는 Stop됨 • 인류가 survive할 수 있는 방법 - 의식 (인지 기술)의 진화 - 인지와 환경의 연계 기술 개발 • 마음(인지)-두뇌-컴퓨터-문화체계의 연결 * 이를 위해 인지 기술 개발 필요

  3. 강조하고자 하는 바 • 한 개인의 삶 = f (자신의 지적 수준) • 지식, 인지능력의 냉엄한 빈익빈 부익부 원리 • 객관적 일반 지식이나 지적 능력이 아니라 자신의 인지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상위인지(meta-cognitive) 능력의 좋고 나쁨이 우수 또는 평범을 가르는 핵심

  4. 지적 능력의 특성 • 인지적 경제성(Cognitive Economy) • 의미 추구성(Effort after Meaning) • 이야기 역동성(Narrative Psychodynamics) • 빈익빈 부익부 • 상위(초) 인지 능력(Meta cognitive Ability) • 지식 의존적(Knowledge Dependent)

  5. 학습/ 사고 상황의 예 • 초•중•고•대학교 학습 / 공부 • 대학 진학 학과 결정 • 직업 특성 학습 및 직업선택 결정 상황 • 산업체: 회사 업무 파악 및 전문기술 습득 • 의사, 법률가, CEO 등의 전문지식 학습 및 판단 • 자신의 인지적 기술 개발 시도 상황

  6. What it is ? • 학습: 세상과의 경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떤 것을 수행하는 능력/ 잠재력이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 • 사고: 모든 사고가 아니라 방향지워진 사고 (directed thinking) 상징, 정보의 조작 지식의 조작 문제 해결 및 목표의 달성

  7. 학습/사고 기술 개발이란 • 초•중•고교 시에 내내 해온 일 • 학습, 사고과정의 원리에 대한 이해와 그를 통하여 효율적 학습, 효율적 사고의 인지적 기술, 전략을 발전시키는 것 (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s )

  8. 왜 필요한가? 1. 인간의 본질: cogito ergo sum, effort after meaning(의미에의 노력) 2. 현실적 적응: 학교, 학원, 산업체, 일상생활 3. 교육환경의 변화 4. 교육개념의 변화 education -> learning teaching -> collaborative learning(협동적 학습) 5. 인터넷, 사이버 공간, 현실 6. 창조적 소수(Creative Minority)의 본질 - 선비(엘리트) 의 본질: 지적, 인격적 도야 조건

  9. 인지 기술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것 1. 동기 2. 지식 3. 환경 조건(개선 디자인) 4. 인지 능력 - 정보처리 능력

  10. 필요한지식 • 인지기술개발을 위해 알아야 하는 것 - 인간 마음의 본질 - 인지과정의 특성 - 앎의 추구의 본질, 효율적 정보탐색의 특성 기존지식의 효율적 가동 및 활용 방법 - 동기의 원리

  11. - 학습의 원리 - 좋은/깊은 이해의 원리 - 체계적, 효율적 사고의 특성 - 지속적, 좋은 기억, 효율적 기억 - 인지기술의 이해, 자발적 개발

  12. 앎, 마음, 인지, 배움 등의 본질에 대한 이해 - 전문가 특성 -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 교육의 특성, ; - 배움의 본질 - 창의성 - 인지적 환경 디자인 ;- 인지 전략 디자인 - 인지적 기술의 평가 - 동기, 감정과 인지의 원리 - 사회심리 원리

  13. 필요한 기술 - self regulation - 학습 환경 관리 - 정보 축적, 인출, 활용 기술 • 인터넷 시대의 학습 사고 기술 • 21세기 information 시대의 infoman으로서의 인지 기술

  14. 동기 Motivation • self regulatory skills - 자신의 목표를 세우고 - 자신의 배움, 학습 과정을 관리하고 - 자신이 해내는 바(수행)를 관리하는 기술 • 자신의 인지, 행동, 감정을 가동시키고 지속시키는 기술 • 성취 동기(achievement motivation)

  15. 동기를 결정하는 요인들 1. 호기심과 흥미 “A deeper level of curiosity may be activated by creating a problem situation which can be resolved only by knowledge-seeking behavior” 2. 목표와 목표방향 - 목표 유무 - 목표의 보편성: 근접목표, 원격목표 - 장단점 - 목표 유형: 성과 목표, 배움 목표 - 목표 달성까지의 시간 - 목표의 방향: performance vs. learning

  16. 성과 (Performance)목표 지향 - 자신의 성취와 능력에 대한 타인의 긍정적 평가 추구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 적음 - 자신의 능력은 고정되어 있다고 간주함 - 도전을 회피, 기회가 주어져도 지속보다는 중단 - 실패하면 자신의 능력이 맞지 않다고 생각함  과제와 목표 달성에 시간을 덜 들임

  17. 배움(learning)목표 지향 - 자신의 능력 자체 향상 추구(A를 마스터, 이해...) - 지적 능력은 변화/수정/개발 가능하다고 생각함 -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기나 타인의 평가는 무관 - 도전적 과제를 적극 선택, 과제에 대한 끈기, 지속 - Mastery 지향적 동기 - master 하는 전략 모색 강조

  18. 배움(learning) 목표 지향 - 실패하면 자신의 능력이 아니라 전략이 잘못되었고 수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 - 과제 수행과 목표 달성에 시간을 더 들임 * 현재의 한국의 중•고•대에서 하는 교육 방식에는 문제가 있음 (∵ 성과지향적 동기화 교육이기에)

  19. 3.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믿음 :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 활동을 연결, 기획, 조직,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 자기가 비교하려는 모범model인물이 누구냐에 따라 자기 효능감이 달라짐

  20. 동기를 계속적 유지하는데 영향 주는 요인 1. 예상 만족 - 결과 예상에 대한 만족 - 자기 효능감 예상에 대한 만족 * 자연적 만족결과 얻는 것이 제일 좋음 - 이는 새로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하여서 얻는 만족 - 내적 동기화

  21. 2. 원인 귀속하기(attribution) - 과제 제출 시의 자신의 과제에 대한 생각 경우 - 과제 실패의 원인을 통제 불가능한(고정된) 자신의 열등한 능력에 있다고 원인 귀속 시  실패의 악순환 * 이럴 때의 타인의 드러내놓고 하는 도움은 열등감 조장 - 가변적이고 통제 가능한 외적 또는 자신의 특성에 있다고 원인 귀속 시에  계속 개선 노력 가능  학습, 사고 전략, 기술의 문제일 뿐 !!!! 3. 진척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 [목표 - 현재수준] 차이의 계속 모니터링 및 격차 감소

  22. 동기를 자극하는 전략: ARCS 1. Attention:주의하고 지속하기 2. Relevance 높이기: 그 일이 자기와 관련이 있어야 함(적절성) 3. Confidence 형성하기: 긍정적 기대 4. Satisfaction 생성하기: 예: 초보자 마라톤 - 근접적 목표, 성취 가능한 목표 설정

  23. 인간 인지과정의 특성 A. 인지과정1: 주의 • 주의 및 단기기억: 처리 용량 제한 -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단순화 경향 - 이분법적 경향, 요점, 중요한 부면만 기억 - engaging, disengaging의 문제

  24. 부주의에의 대처 방안 - 약 처방: - 행동치료, 이완훈련, 상담 -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할 것 - 심상 이미지를 사용하여 감정을 통제하고 자신감 높이기 - 자신의 스트레스 수준 모니터링하기 - 규칙적인 일 하기 - 타인보다 자신과 경쟁하기

  25. B. 인지과정2: 기억 • 기억 능력의 個人差 원인-특성 ① 일반 지식의 양, 다양성의 차이 ② 일반 지식의 질적 차이 (조직화 정도, 추상화 수준) ③ 지각적 처리 능력의 차이 ④ 주의 능력의 차이 (이는 단기기억 과정 상의 차이임) ⑤ 작업기억의 처리 용량의 차이

  26. ⑥ (작업)기억 처리 전략들의 풍부성 ㉠ 주의 할당 전략의 효율성 ㉡ 절차적 지식의 수행 능력의 차이 ㉢ 거슬러 올라가 처리하는 능력의 차이 ㉣ 단위 정보 활성화 속도의 차이 ㉤ 한번에 접근-작동시키는 정보 단위의 크기 ㉥ 각종 지식을 확산적으로 가동시키는 용이성의 차이 ㉦ 부적절한 정보가 저절로 가동되는 것의 억제 능력 차이

  27. ⑦ (작업) 기억 처리 전략들의 자동화되어 있는 정도의 차이 ⑧ 지식 유형(의미지식, 일화지식, 절차지식)에 따른 다른 처리 전략의 소유 여부와 이의 차별적 사용 여부 ⑨ 입력 (부호화 encoding) 처리 능력의 차이 ㉠ 입력 시의 다양하고 깊은 처리 전략의 풍부성 차이 ㉡ 입력 시의 실제 수행된 처리 깊이의 차이 ㉢ 心象(이미지) 사용 능력의 차이 ⑩ 이해 및 추론 능력의 차이

  28. 기억 능력의 個人差 원인-특성 ⑪ 인출 (출력) 과정 상의 차이 ㉠ 입력 시에 맥락과 연결시켜 놓은 단서들의 풍부성과 단서 활용 가능성의 차이 ㉡ 인출 단서의 인식 능력의 차이 ㉢ 다양한 맥락 정보의 활용 능력의 차이 ㉣ 부적절한 인출 단서에의 편향-고착으로부터의 융통성 ㉤ 입력-출력(인출) 단서간의 match 능력의 차이 ㉥ 목표 정보의 재구성, 편집 능력의 차이

  29. : 기억 ** 기억 일반: 인간의 기억은 복사가 아니라, 구성 과정 - 사진 찍기가 아니라 스케치 구성 - 사실 그대로의 기억은 드묾 - 단서 활용 능력이 기억 결정 ** 기억한다는 것은 자극을 그대로 사진 찍어 복사해 저장 창고에 넣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님.

  30. 자극에 대해 나름대로의 해석된 sketch-(1)을 구성해 넣는 것. 후에 기억해 낸다는 것도 이 sketch를 그저 꺼내는 것이 아님 새로이 sketch(2)를 구성하여 저장된 것과 맞추어가며 재구성 해내는 것

  31. 기억을 좋게 하는 전략 • 학습, 입력 시의 기억 정보처리 내용이 풍부할 것 • 되 꺼낼 때의 상황, 맥락과 관련된 단서를 넣을 것 • 각종 지식이 풍부하고 잘 조직화 되어 있을 것 • 기억 관리 지식인 절차적 지식이 잘 발달 되어 있을 것

  32. 기억 기술의 개요 • 어떤 것을 기억하고자 할 때, 그 과제에 가장 잘 맞는 것들을 선택하여, 이 기술들을 조합해서 사용 • 학습할 때 (1) 주의 집중하라 (2) 의미를 점검하라 (3) 분산 학습하라 (4) 조직화하라 (5) 인출을 위한 다양한 단서들을 생성하라 (6) 많은 학습을 하라

  33. 기억 기술의 개요 (7) 정신과 신체 건강을 잘 유지하라 (8)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라 (9) 학습의 쉽고 어려움을 평가하라 (10) 학습과정(획득과정)을 계속 점검하라 (11) 가능하다면, 외부의 보조 기억 수단을 사용하라 (12) 현재 학습중인 과제에 적절한 기억술 방법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라 (13) 가능하면 이미지를 사용하라

  34. 기억 기술의 개요 • 기억하고 있는(retention) 동안 (1) 기억이 변화할 수 있는 방식에 주의하라 (2) 추론이 개입된다. 추론된 내용을 실제기억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하라 (3) 가능하면, 주기적으로 반복하라 (4) 알고 있다는 느낌에 대한 판단을 하여라

  35. 기억 기술의 개요 • 기억해 낼(인출할) 때 (1) 기억에 대한 과신을 조심하라 (2) 기억해 낸 내용에 오류가 없는지 점검하라 (3) 학습할 때 만들었던 단서들을 사용하라 (4) 계속 인출하려고 노력하라 (5) 회상이 정확한지 그 신뢰성을 판단하라 (6) 학습할 때 사용했던 기억전략을 사용하라 (7) 학습할 때 사용했던 외부 보조 수단을 활용하라 (8) 회상하려는 정보를 상상하라

  36. C. 인지과정3: 언어 이해 • 언어 이해 : 추론과 해석임 - 글, 말은 이해자가 어떠한 지식을 동원하여 추론/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단서, 지침에 지나지 않음 - 언어이해란 주어진 말글을 단서로 하여 자기의 지식에서 관련된 지식들을 가동시키고 추론을 하고, 새로운 지식 구조를 형성하여, 말한 사람, 글 쓴 사람의 생각을 추정하여 맞추어 나가는 해석 과정임

  37. 보다 깊은 이해 1. 보다 높은 의미 수준에서 통합적 이해를 하는 것 2. 어느 의미 수준에서건 잘 통합된 이해 3. 새로운 다른 지식을 생성하거나 탐색하게 하는 이해 4. 개방적 open 구조의 이해 내용 5.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이 잘 연결된 이해 6. 자신의 문제와 관련된 내용으로의 이해

  38. 이해를 잘 하는 사람 - 일반지식 측면 1. 일반지식과 영역특수적 지식들이 많고, 2. 이들이 체계적인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잘 조직화되어 있고 3. 잘 조직화된 지식 덩이 수는 많지만 중복된 수는 적고 4. 지식이 경험에 의해 쉽게 재구성되거나 세련화 될 수 있는 개방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5. 개인적 일화적 경험과 연결이 잘 되어 있는 지식구조를 지니고 있다

  39. - 절차지식 측면 1. 현재의 상황맥락과 처리수준에 보다 적절한 지식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활성화하는 처리책략을 지니고 있고 2. 결여정보 채워넣기 책략, 상위 수준 스키마 형성 책략, 각종 추론을 시작하고 방향지으며 정교화하고 종결하는 추론 책략 등이 효율적으로 조직화되어 있고 3. 언어적 단서의 파악 및 활용 책략이 좋으며,

  40. - 절차지식 측면 4. 갈등되는 지식구조들의 해결 책략이 발달해 있다. 5. 모든 입력정보에 대하여 동등하게 처리하지 않고, 중요성 정도에 따라 그 차이를 식별하는 절차지식과, 보다 중요한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더 상세히 처리하고 기타내용은 보통 처리를 하는 책략이 발달해 있다.

  41. -기억 과정 모니터링 측면 1. 기억관리 프로그램이 좋고 2. 상황맥락에 따라 다른 이해처리의 목표나 기준을 정할 것인가에 대한 절차지식이 발달해 있고, 3. 이 기준을 상황과 처리수준에 따라 융통성 있게 변화시키며 4. 항상 자신의 이해(앎) 수준을 모니터하려 하며, 5. 현재의 이해 정도에 대하여 의식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는 체계적 노력을 유지시키고,

  42. - 6. 가동시킨 자신의 지식 덩이와 자극 내용 사이에 상치되는 수준, 유형 및 범위를 계속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체계적으로 전개하며 7. 현재 지적 사고 활동의 현실적 타당성 여부를 계속 점검하며, 8. 여러 다른 수준과 유형의 지적 정보처리 과정들을 병행하여 유지하고, 9. 상황에 따라 처리 수준들간에 이행하거나, 억제, 강조하거나 조정하는 절차지식도 발달해 있고, 10. 이들 각종 절차지식과 책략들 자체를 평가하고 수정하며 세련화 하는 한 수준 위의 처리절차 지식 또한 발달해 있다.

  43. 결론: 다양한 지식구조가 체계적으로 잘 조직화되어 있고, 각종의 새로운 지식구조를 추구하고 생성하고 재구성하는 절차지식과, 절차지식의 관리절차지식, 새로운 그리고 더 효율적인 절차지식 등 절차지식이 잘 발달해 있는 사람이 이해를 잘 할 수 있는 사람임

  44. 학습 Learning • 학습이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의미있게 하려 하는 노력의 결과 • 우리의 지식, 기대, 느낌, 동기, 환경조건, 인지적 전략 또는 기술이 학습을 결정 • 지식 구축, 활용, 재구성의 과정 • 학습의 결과 지식과 기술이 축적됨

  45. 지식과 학습 • 일반적 지식 • 특수 지식 - 영역에 특별한 지식 • 서술적 지식 - 일반 사실 지식 • Knowing What • 절차적 지식 -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 지식 • Knowing How

  46. 조건적 지식 Conditional Knowledge • Knowing When & Why • 언제 어떤 지식을 왜 적용하는 가를 앎 • * 이 3개 지식이 조합되어야 학습된 것임 • * 절차지식, 조건지식이 중요함

  47. 상위-인지 지식 • 지식에 대한 지식 (메타 지식) • 자기가 어떻게 학습하고, 사고하는가 하는 자신의 지적 과정에 대한 인식, 모니터링하는 지식과 기술 • Executive Knowledge • 위의 3 유형의 지식을 적절히 활용

  48. 상위-인지 기술 • 1. Planning • 무엇을, 언제, 얼마나 시간 들여서 • 어떤 전략을 사용하여 • 어떤 자원을 활용하여 • 어떤 순서로 • 무엇은 집중 중의 무엇은 약하게 • (내 능력, 습관, 외적 한계) 는 무엇?

  49. 2. Monitoring • 온라인적 파악: 내가 어떻게 하고 있는가? • 이 활동은 과연 의미가 있는가? • 너무 빨리, 아니면 천천히 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충분히 공부/배웠나? • 목표와 현재 달성의 차이를 어덯게 해결?

  50. 3. Evaluation • 학습, 사고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 • 전략을 바꿔야 하는가? • 도움을 얻어야 하는가? 지금 당장? • 내가 일을 끝낸 것인가? • * 이러한 상위 인지 능력에서 개인차가 심함. 우수한 사람을 결정하는 요인임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