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3

大氣腐蝕과 防蝕

大氣腐蝕과 防蝕. 2006. 1. 耐候性鋼의 出現. 1. 내후성강의 탄생 - 20 세기초 미국에서 최초로 사용 - 탄소강중에 0.15∼0.3% 의 Cu 가 함유되면 대기중에 내식성이 기존 탄소강의 2 배정도 향상되는 것을 발견 - 1933 년 미국 U.S.STEEL 사에서 고장력저합금강을 제조 . 판매 개시 ( 내후성강 ) 2. 내후성강이란 ? - 기후 , 즉 대기조건에 견디는 鋼이라는 의미 - 저합금강 : 첨가되는 합금원소의 양이 저농도인 鋼.

mayli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大氣腐蝕과 防蝕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大氣腐蝕과 防蝕 2006. 1

  2. 耐候性鋼의 出現 1. 내후성강의 탄생 - 20세기초 미국에서 최초로 사용 - 탄소강중에 0.15∼0.3%의 Cu 가함유되면 대기중에 내식성이 기존 탄소강의 2배정도 향상되는 것을 발견 - 1933년 미국 U.S.STEEL 사에서 고장력저합금강을 제조.판매 개시 (내후성강) 2. 내후성강이란 ? - 기후, 즉 대기조건에 견디는 鋼이라는 의미 - 저합금강 : 첨가되는 합금원소의 양이 저농도인 鋼

  3. 3. 내후성강의 변천 - COR-TEN : 탄소강 + Cu(0.3%), P(0.1%), Cr(1%) - 용접구조용 내후성열간압연강재(JIS G 3114) ☞ Cu-Cr-(Ni)계의 저합금강 : 기호 SMA - 고내후성압연강재(JIS G 3125) ☞ Cu-Cr-(P)계 : 기호 SPA ※특징 ㅇ SPA가 SMA보다 내후성은 뛰어나지만, 용접성에 제한적 임 ㅇ SMA는 용접부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짐 (인장강도 : 400MPa, 490MPa, 500MPa)

  4. 4. 내후성강의 특성 가. 도장없이 충분히 사용 가능 나. 비에 젖거나, 일정기간 경과후 대기중의 습분에 의해 보호층의 녹층 생성 다. 대기뿐만 아니라 염분량이 높은 공장지대 및 해변지대 에서도 녹층이 안정화

  5. 부식량

  6. 5. 내후성강의 용도 가. 초기(1950년경) : 화차, 트럭, 트레일러, 농기계, 산업용기계 등 ㅇ 도장의 손상 우려, 유지보수 불편 등의 해소 목적으로 이용 나. 60년경 건축물에 적용하였으나 녹물에 의한 외관이 나빠 70년 경부터는 채택하지 않았음 다. 70년대중반이후 오일쇼크로 교량등의 도장재시공에 따른 비용 경감의 목적으로 교량에 주로 채택하여 지금에 이르렀음 라. 일본의 경우 70년도 후반 2∼3개에서 90년대초 1000개를 초과 마. 현재 10개의 교량중 2∼3개는 내후성강을 채택

  7. 아연도금鋼材의 이용 1. 아연도금 구조물 가. 도입분야 ㅇ 건축물 : 驛舍, 공장, 격납고, 스포츠시설의 옥상, 창고 등 ㅇ 토목 : 橋梁 등 ㅇ 전력.통신 : 송전철탑, 무선철탑 등 나. 사용강재 ㅇ 일반구조용압연강재, 용접구조용압연강재, 일반구조용탄소강관 다. 문제점 ㅇ 강재의 잔류응력으로 도금후 재료에 폐해발생 ㅇ 도금후 절단, 천공, 용접등으로 도금피막 결손 ㅇ 용접작업성이 나쁘고, 용접부의 기계적성질이 저하

  8. 2. 아연도금 강판 (표면처리薄강판) 가. 종류 ㅇ 순수아연을 薄강판에 도금 ㅇ 아연을 소지와 합금화 ㅇ 아연계의 합금도금 실시 ㅇ 제철소에서 미리 도장(도장아연도금강판, 프리코트강판) ☞ <뒷장 표; 아연도금 강판의 제품계열> 참조

  9. 나. 도금방법 ㅇ 용융아연도금 : 60∼600g/㎡의 도금부착량을 가진 일반제품 ※ 단점 : 도금을 않는 냉연강판에 비해 도료의 접착성, 용접성 이 나쁨 ㅇ 합금화용융아연도금 : 상기 강판을 개선하기위해 철-아연, 아연-Al 합금도금강판을 채택 (고 내식성) ㅇ 전기아연도금 : 합금층이 없어 도금층이 얇아 가공성이 우수 ㅇ 전기합금아연도금 : 아연-니켈, 아연-철 합금전기도금 - 재료의 내식성과 도료접착성 향상 목적 ㅇ 도장아연도금강판 : 공장에서 미리 투코트, 투베이크, 쓰리코트, 쓰리베이크해서 생산 (도장.열처리 반복)

  10. 3. 스틸 하우스 가. 개요 ㅇ 92년 미국 클린튼 대통령이 삼림자원 보호를 위해 국유림 의 벌채를 금지시킴으로서 목재가격 폭등 ㅇ 목재 대신 주택의 골조용 재료로써 아연도금형강 채택한 것 ㅇ 일본 등에서는 95년부터 채택 나. 특성 ㅇ 경량으로 시공이 용이 ㅇ 내진성, 기밀성, 단열성, 공간의 자유도 등에 있어서 우수 ㅇ 부식환경평가에서도 부식상의 문제도 없는것으로 확인

  11. 스틸하우스로 시공한 포항스틸러스 축구단 숙소 전경

  12. 스텐레스鋼의 방청 1. 특징 및 문제점 가. 특징 ㅇ 부식에 강하고 외관이 좋음 ㅇ 사용처 : 커텐월, 사이딩, 지붕, 건축물의 외장재 등 나. 문제점 : 사용조건과 환경조건에 따라 녹 발생 1) 염화물 부착 2) 토사, 먼지, 매연, 퇴적물 등의 고착 3) 염산계, 유산계 등 산의 부착 4) 철분 부착

  13. 2. 일반 환경조건하에서의 방청을 위한 세정 기준

  14. 腐蝕의 큰 敵 산성비 1. 산성비란 ? 가. 정상강우의 PH : 이산화탄소가 녹아들어있어 PH가 약5.6으로 낮음 나. 대기오염상태의 강우 : Sox와 Nox의 영향으로 5.6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임 다. 산성비의 정의 : PH5.6 보다 낮은 경우의 강우

  15. 2. 산성비의 원인과 피해 가. 산성비의 원인 1) 자연적인 현상 ㅇ 일반 대기중에도 SOx가 일부 검출됨 ㅇ 일본의 경우 화산, 지진등 자연재해의 영향도 있음 2) 인공적인 영향 ㅇ 7∼80년대의 고도경제성장기에 공장, 자동차 배기가스등 에서 나오는 Sox 및 Nox 등 오염물질에 의함 나. 산성비의 피해 ㅇ 동과 동합금의 이음을 한 지붕 및 동상에서 부식이 현저함 ㅇ 일반적으로 SOx와 NOx가 공존할때 부식 상승효과가 뚜렷

  16. <동 및 동합금의 부식 사례> 산성비에 의한 동상의 부식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