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미래 인터넷 국제 협력

미래 인터넷 국제 협력. 국제 협력 Counterpart (I). 미국 GENI PlanetLab Consortium GENI 는 정기적인 미팅을 통한 단체의 형태를 띄고 국제교류를 위한 틀을 갖추려고 한다 . 반면 PLC 는 PlanetLab 운영을 위한 단체 . Technical 교류 중점을 두어야한다 . ROADS 와 같이 PLC 에서 지원하는 학술대회 등이 교류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유럽 FP7: FIRE and OneLab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미래 인터넷 국제 협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미래 인터넷 국제 협력

  2. 국제 협력 Counterpart (I) • 미국 • GENI • PlanetLab Consortium GENI는 정기적인 미팅을 통한 단체의 형태를 띄고 국제교류를 위한 틀을 갖추려고 한다. 반면 PLC는 PlanetLab 운영을 위한 단체. Technical 교류 중점을 두어야한다. ROADS와 같이 PLC에서 지원하는 학술대회 등이 교류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유럽 • FP7: FIRE and OneLab 유럽은 EU의 모든 Future Internet 관련 연구가 FP7하에 지원된다. FIRE는 FP7에서 미래 인터넷 관련 연구를 지원하는 과제인데, 미국 NSF의 NeTF/FIND에 해당되는 기초연구 지원이 주목표이며, 국제 협력을 위한 counterpart로는 애매하다. 그러나 OneLab은 testbed설치 및 운영이 기본인 단체로 다른 testbed간의 연동 등을 위한 국제 협력 주체로의 역할이 가능하다.

  3. 국제 협력 Counterpart (II) • 중국 • CERNET (6PlanetLab) 중국의 CERNET은 2004년 HP의 지원을 받아서 중국내 PlanetLab 노드를 설치하였다. 6PlanetLab은 그 중에서도 IPv6를 지원하는 private testbed의 형태로 기존의 PlanetLab 과의 연동상에서 technical 문제가 예상된다. 미래 인터넷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가시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로는 AsiaFI에 참여하는 CERNET측 연구원들이 협력 대상이다. • 일본 • NICT • WIDE 일본은 전통적으로 NICT와 WIDE가 컴퓨터 네트워크 관련된 연구 및 국가 예산에 대해 경쟁하는 체제로 되어 있다. 미래 인터넷에 관련된 연구에서는 NICT가 Akari와 JGN2 Plus로 앞서가고 있다.

  4. 국제 협력 방안 (I) • 지금까지의 활동 • FIW ’06, CFI ’07을 통한 교류 • AsiaFI조직 및 참여 • GENI 미팅 참여 • 국제 협력 목적 • 연구 교류 • FIRE 및 NSF FIND는 기초 연구 과제 지원 체제로 실제적인 교류는 학술대회에서 이뤄진다. OSDI, SOSP, NSDI, SIGCOMM, HotNets, Co-Next, INFOCOM, EuroSys등이 실제 과제의 결과물들이 발표되는 학술대회로 연구원들의 참여가 중요하다. • CFI/AsiaFI는 위의 연구 결과물들을 빠르게 소화하고 최신 정보를 나누는 장으로, 그리고 CJK의 연대를 강화하는 장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5. 국제 협력 방안 (II) • 테스트베드 연동 및 협력 • 미래 인터넷은 지금까지의 테스트베드와는 다른 개념의 테스트베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테스트베드간 연동을 위한 협력도 기존의 테스트베드간 연동보다 긴밀하게 이뤄져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미 PLC/OneLab federation이 동작하고 있고, PlanetLab Japan도 연동될 것으로 예상. PlanetLab Korea도 연동 준비중. • GENI에서 구축할 testbed도 PLC의 federation 개념 하에서 폭넓게 다른 testbed와의 연동이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된다. • 국내에서는 PlanetLab Korea가 이제 시작되는 단계로 국제 협력의 창구가 좀더 확실하게 구축되어야한다.

  6. 국제 협력 방안 (III) • 표준화 활동 • 미래 인터넷 기술은 아직 태동단계로 표준화 활동이 없다. 그러나 기존의 표준화 단체을기반으로한 모임은 IETF와 co-locate되는 IRTF 모임들이 있다. • GENI 미팅은 NSF FIND와는 달리 해외 협력창구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유럽의 FP7 OneLab도 GENI 미팅 규모는 아니지만, 일년에 서너차례one-day workshop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도 국내 연구진의 꾸준한 참여가 필요하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