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H.W. and Exam. 2009

H.W. and Exam. 2009. 환경공학과 20051468 안정 근. 7. 재폭기 , 침전 , 분해 , 광합성 , 호흡 , 퇴적물산소요구량 , 비점오염원이 있는 경우의 DO 모형의 모식도 및 관계된 식을 설명하라 . DO 결핍농도의 해를 상미분방정식의 해법으로 자세히 구하여라.

meli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H.W. and Exam. 2009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H.W. and Exam. 2009 환경공학과 20051468 안정근

  2. 7. 재폭기, 침전, 분해, 광합성, 호흡, 퇴적물산소요구량, 비점오염원이 있는 경우의 DO 모형의 모식도 및 관계된 식을 설명하라. DO 결핍농도의 해를 상미분방정식의 해법으로 자세히 구하여라.

  3. DO 모형의 모식도를 그림 6.6에 나타냈다. 거기에서 우리는 DO 부족농도(D)에 관한 각각의 생성원과 감소원 항의 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호흡이 광합성보다 크다면(밤의 조건), 순 광합성은 음수가 되고, 그 기간에 DO는 감소한다. 낮시간 동안에는 1차 생산력에 의한 산소의 생성이 호흡보다 크므로 용존산소가 증가한다. 정상 상태로 접근할수록 모형에서는 일 평균값으로 함축된다. 물론, 임계조건(최악의 조건)에서는 때가 일출시간 전에 발생하기도 한다.

  4. 이 식의 우변에서 첫 항은 초기 부족에 의해 die-away(소멸)하므로 재폭기를 나타낸다. 두 번째 항은 초기 CBOD를 나타낸다; 세 번째 항은 초기 NBOD를 나타낸다; 네 번째 항은 산소요구량을 나타낸다; 다섯 번째 항은 을 나타내고; 마지막 항은 비점오염원이 원인인 이면 BOD()를 나타낸다. 표 6.4에서는 주어진 식(68)에서 합산할 수 있는 각각의 발생항과 소비항에 대한 개별적인 해를 나타냈다. 그림 6.7에서는 주어진 전체 해를 합산할 수 있는 의 각각의 발생항과 소비항에 대한 도식적인 해를 나타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