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6

최근 중국의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최근 중국의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2003 년 11 월 24. 양평섭 (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 중국경제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No.1. 세계속에 중국 , 그 위상은. 국내 경제지표 (1). 최근의 경제상황. 세계 제 1 위의 고성장 국가 실업률 ( 실질실업률 12%) 과 디플레이션으로 고민. * 2003 년 수치는 1~9 월. 78 년 개혁 . 개방정책 추진이후 20 여년간 중국경제는 연평균 9.9% 의 고도성장 지속 중국경제의 Turning Point

mill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최근 중국의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최근 중국의 경제동향과 투자환경 2003년 11월 24 양평섭 (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

  2. 중국경제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No.1 세계속에 중국 , 그 위상은

  3. 국내 경제지표(1) 최근의 경제상황 • 세계 제1위의 고성장 국가 • 실업률(실질실업률 12%)과 디플레이션으로 고민 * 2003년 수치는 1~9월

  4. 78년 개혁.개방정책 추진이후 20여년간 중국경제는 연평균 9.9%의 고도성장 지속 중국경제의 Turning Point 개혁.개방(78), 南巡講話(92초), 西巡講話(99말), WTO가입(2002), 북경올림픽(2008), 상해박람회(2010) 중국경제의 발전 과정

  5. 국내 경제지표(2) 중국의 산업구조의 선진화 • 1차산업의 감소세 뚜렷 • 제조업이 성장을 주도 (세계의 공장)

  6. 국내 경제지표(3) 국민소득(2002년 말) • 소득수준 - 1인당 GDP : 990달러 / 총 GDP : 1조 2천억 달러로 6위 • PPP기준 (2000년 기준 ) - 1인당 GDP : 4000달러(필리핀과 이집트 수준) - 총 GDP : 5조 달러로 미국에 이어 2위로 추정 국민소득(2020년) • 세계 최대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 1인당 GDP : 3,000달러 / - 총 GDP : 4조1970억 달러(미국, 일본에 이어 3위) - PPP기준 : 20조 달러(세계 1위, 미국은 17조 달러), 1인당 GDP 1만 달러 • 중국이 세계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급신장 - 비중추이 : 3.4%(2000년) 5.4%(2010년) 8.4%(2020년)

  7. 대외 경제지표(1) 무역과 투자위상(2002년말 기준) • 글로벌 소싱기지로 부상하면서 무역급증 - 무역규모 : 6,208억 달러(세계 5위) - 2003년 8,000억 달러 돌파 전망 •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선진 자본과 기술을 축적 - 외자유치 : 527억 달러(세계 1위) - 2003년 : 550억 달러(예상) • 외환보유고 : 3,839억 달러(세계 2위)

  8. 대외 경제지표(2) 품목 생산량(비중) 품목 생산량(비중) 컬러TV 3,630(62.2) 노트북PC 440(35.2) DVD 3,360(62.2) 데스크톱PC 3,650(36.5) 카스테레오 1,900(24.7) PDA 410(29.8) 휴대전화기 13,080(30.1) DVD-Rom 3140(40.5) 세계 제조업의 중심 • 세계 1위 생산품목 100여개 • 세계 500대 다국적기업중 400대 기업이 중국생산체제 구축 <표> 주요 가전제품의 생산량과 비중 (단위 : 만대, %) 주) 비중은 전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

  9. 대외 경제지표(3) 글로벌 비즈니스 메카 •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 소싱기지로 활용 - 상해에만 200개 다국적 기업이 구매센터 설립 - 소싱금액 급증 : 300억 달러(‘02년) 500억 달러(’05년) • 다국적 기업의 연구개발(R&D)기지 급증 - 100개(‘02년말) 200개 예상(‘05년) - 저임활용에서 고급인재와 기술을 활용하는 첨단제품 공급기지화 • 포천 500대 기업수 : 8개('97년) 11개('03년)

  10. 중국기업 경쟁력 확대 방향 수입제품 최첨단부품 외자기업 자동차 석유화학 모니터 반도체 현지기업 컴퓨터 휴대전화 가전 의류,잡화 오토바이 2000년대 90년대 80년대 중국내 산업별 주도자와 경쟁구조

  11. No.2 중국경제의 현안과 新동력은

  12. 중국경제의 숙제(1) 넘쳐나는 달러와 위안화 절상압력 • 변동환율제이지만 사실상 환율고정 - 1995년 1월 이후 5% 절상 : 1달러당 8.7위안(‘95년) 8.28위안(현재) • 무역수지 확대로 절상압력 가중 - 무역흑자 : 230억 달러(‘01년) 303억 달러(‘02년) • 위안화의 국제화를 통한 '아시아 달러'를 지향 - 급격한 환율변동보단 변동폭 조정할 듯 공급과잉 경제로 디플레이션 우려 • 공급과잉률 - 82.9%(‘01년 하반기) 88.0%(‘02년 하반기) 78.5%(’03년 하반기 예측) - 600개 주요 생산품목 중 471개가 공급과잉(2003년 하반기 예측) - (사례) 자동차 : 123개 자동차 생산기업(중국업체) 중 자체 디자인한 제품을 보유하면서 연간 생산량이 50만대를 넘는 기업은 2개에 불과

  13. 공급과잉 세계 공산품 가격 하락 세계 공산품 가격 하락 세계 디플레이션 가능성 세계 디플레이션 가능성 중국發 세계 디플레이션 미국시장내 중국산 점유율 중국 가전 maker 가동률은 50% 전후 CDMA단말기 (3,000만대 생산능력 수요 800~1000만대) 중국 디플레 출혈 수출 공급과잉 품목 21,25인치 CTV 냉장고 (1도어) 세탁기(1조식, 범용 전자동) 에어컨(벽걸이형) 전자레인지 Desktop-PC 오토바이 카세트테이프레코드 전화기, 무선전화 카메라 등 하이테크(반도체, 휴대전화, S/W) 소재 (합성수지, 철강) 잡화, 경공업 가전

  14. 중국경제의 숙제(2) 사스로 인한 경제손실과 사회불안 • 사스로 인한 경제성장률 둔화 - 이라크 전쟁과 사스로 1%포인트 경제성장 둔화, 재정부담 증가 • 농촌 위생수준 개선필요(WTO 회원국 191개국 중 188위) • 행정 및 정치체제 선진화 요구증대 • 농촌에 대한 사회보장제도와 교육기회 확대요구 지역간 계층간 빈부격차 심화 • 빈부격차 척도인 지니계수가 3.9(‘02년)를 기록 • 지역간 빈부격차가 최대 8.8배 - 상해 푸동지역 1인당 GDP는 6500달러이나 간쑤(甘肅)성의 당창현은 741달러(‘00년) -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 심화 : 3.11 대 1(‘02년)

  15. 중국경제의 신동력(1) 1단계 (2000~2005년) 개발계획 수립, 주요기구 설립 및 홍보, 인프라 건설 가속화 2단계 (2006~2015년) 서부개발 능력 제고, 투자규모 확대 3단계 (2015~2050년) 서부의 도시화, 시장화, 국제화 수준 향상 서부대개발을 통한 균형발전과 빈곤퇴치 • 추진단계 : 향후 50년간 크게 3단계로 추진 • 서부지역 우대 조치 시행 - 중앙재정 지원 강화, 은행 대출 확대, 토지사용 우대 등 - 중서부지역 장려업종의 경우 현재의 세제 우대기간(2免 3減) 만료 후 3년 간 15% 소득세 징수

  16. - 4연 (연해, 연선, 연변, 연강) 중 沿線, 沿江의 성장 (합비, 남창, 무한, 장사) - 연해와 연강을 지원하는 에너지와 원재료 공급지로서 북서 벨트지역 성장 - 서부대개발 전략의 중심지 : 성도, 중경, 서안, 란주 지역 성장 (10~15년) 呼和浩特-銀川 蘭州-우루무치 대북경 경제권 西安 장강삼각주 成都, 重慶 주강삼각주 合肥(안휘), 南昌(강서), 武漢(호북), 長沙(호남) 중국 경제발전 중심의 변화

  17. 중국경제의 신동력(2)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 2005년까지 핵심산업의 기술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 - 첨단기술산업 연 성장률 제고 : 28%(‘02) 30%(‘05) - 연구개발비의 GDP비중 확대 : 0.8%(‘02) 1.5%(‘05) • 전통산업 기술수준향상 및 첨단기술을 활용한 전통산업 개선 - 농수산업, 에너지환경산업 등 7개 산업, 33개 업종의 전통산업을 집중 육성 • 2005년 첨단기술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의 4%에서 6%로 제고 - 첨단기술제품의 수출이 제조업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의 15%에서 25%까지 향상

  18. 80년대 • 90년대 • 2001~10년대 • 섬유 및 경공업 • 조립산업(백색가전) • 가전, 석유화학, 자동차, • 철강, 건설업 • 정보통신, 반도체, 생명공학, 환경, 디지털 가전, • 실버 및 문화산업, 건설업 중국의 산업지도 변화 산업구조 재편 WTO 가입 외자기업 진출 가속화 디지털 시대 도래 첨단산업 급부상 정보통신, 인터넷 반도체, 문화산업 등 성장산업군 고부가가치화 추진 백색가전 =>디지털 가전 세계의 생산기지화 첨단산업의 태동 경쟁력 강화 산업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세계의 수출기지화 전통 제조업의 재편 수출 산업화 섬유, 경공업, 조립산업 2000년

  19. 중국경제의 신동력(3) 대외개방의 확대 및 개방형 경제의 발전 • WTO 가입 합의에 따른 단계적 관세 인하 - 관세율인하 추진 : 12%(’02년) 11%(’03년) 8%(’05년) • 은행·보험·전신·무역·관광 등 서비스 부분의 단계적인 개방 • 국제관례 부합되는 대외경제무역 체계를 수립 - 반덤핑, 보조금, 상계관세제도 개선을 통한 공평무역 실현 • WTO(세계무역기구)를 이용한 다자간 무역체계와 국제 지역경제협력에 적극 참여

  20. 관세 인하 수입시장 개방 비관세 장벽 철회 중국의 WTO가입과 시장 개방 국산 원자재 우선사용 의무 완화 수출의무비율 철폐 내수시장 개방 외환수지 균형의무 폐지 내국민대우 금융시장 개방 서비스시장 개방 유통시장 개방 무역업 개방 수출 or 내수 => 내수 시장 수출 or 투자 => 투자 전략 선택 중국의 WTO 가입과 시장 개방

  21. 긍정적 • 부정적 • 경제전반 • 개방 확대, 규제철폐=> 성장 제고 • 경제 구조조정 가속화 • 중국 경제력 제고 : 0.5~0.6% 제고 • 실업 증가 • => 정치.사회적 불안정 • 무역 • 무역환경 개선, 무역 확대 • * 2005년 무역 규모 6,800억 달러 • - 가격 하락 => 소비자 구매력 제고 • -외국제품에 의한 시장 잔식 • -고급제품 수입 증가 • 투자 • 정책 투명성 제고, 사업 환경 개선 • 외국인투자 증가 • * 2005년 외국인 투자 1,000억 달러 • -국내 취약 산업 붕괴 • 시장구조 변화 • 중산층 형성에 따른 소비자 계층 다원화 • 지방경제 활성화 => 지역 시장의 다극화 • -계층간 불균형 확대 • -지역간 불균형 심화 • 산업 • 및 • 기업 • 정보통신, 전자 첨단산업 발전 • M&A, 구조조정 가속화 • 산업구조 고도화 • 기업경쟁력 강화 및 체질 개선 • -부실기업.금융기관 파산 가 • 속화에 따른 불안정 • -산업구조의 이중성 심화 WTO 가입이후 중국의 환경 변화

  22. 중국경제의 신동력(4) 해외투자를 통한 중국기업의 글로벌화 도모 •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중국기업 육성 - 2015년까지 세계 500대 기업 중 중국기업이 50개에 달하도록 유도하고 5천개 중소기업을 다국적기업으로 육성 • 해외시장과 자원확보를 위한 해외투자 강화 - 가전과 화학 등 대외경쟁력을 확보한 산업과 에너지 관련분야가 선도 • 중국기업 6700개사가 98.4억 달러 투자(’02년말) - Haier그룹 등 400개 중국기업이 해외에 연구개발센터나 생산공장을 설립 - ’02년만 350개사 9.8억 달러(전년대비 25% 증가) 투자

  23. 중국경제의 신동력(5) 인적자원 고급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 9년제 의무교육 실시, 고등교육 규모 확대, 교육의 현대화·정보화 수준 제고 • 중국전역에 60여개의 전용단지를 건설하여 귀국창업 적극 지원 - 2002년 귀국창업자 전년대비 47% 증가한 1만8천명 • 인적자원 개발 및 하이테크 기술인력 유입 여건 조성 - 공개 채용, 경쟁적 취업제도를 실시하여 우수한 젊은 인재들의 재능 발휘 및 성장의 여건을 마련

  24. No.3 한중간 경제교류, 어디까지 왔나 한중간 경제교류, 어디까지 왔나

  25. 무역의 현황(1)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 무역의 “성장엔진” 역할 • 수교 10년만에 수출과 수입에서 모두 두자리수대 비중에 진입 - 전체 수출에서 대중국 수출비중 : 4.5%(1992년) 14.6%(2002년) - 전체 수입에서 대중국 수입비중 : 4.6%(1992년) 11.4%(2002년) 한·중간 교역동향 주) ( )안은 전체 수출입 금액에 대한 비중 자료: KOTIS

  26. 무역의 현황(2) 한·중 양국은 서로에게 주요 교역상대국으로 부상 • 한국에 있어 중국은 미국에 이은 2위 시장이며, 수입에서는 미국과 일본에 이어 3위임 - 수출에서 중국의 순위 : 6위(1992년) 2위(2002년) - 수입에서 중국의 순위 : 5위(1992년) 3위(2002년) • 중국에 있어 한국은 미국, 홍콩, 일본에 이어 4위 수출상대국이며, 수입에서는 일본, 대만에 이어 3위 시장임

  27. 무역의 현황(3) 중국에 대한 수출이 빠르게 하이테크화 되는 추세 • 2002년 기준 전체 대중국 수출에서 하이테크 제품의 비중이 10%안팎을 기록 - 하이테크 제품 수출비중 추이 : 5.8%(2000년) 10.9%(2002년) 중국에 대한 수출·입에서 IT제품의 선전이 두드러짐 • IT제품(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이 수출에서는 1·2위(MTI 3단위 기준)에 랭크되었으며, 수입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 - IT제품 수출비중 추이 : 0.6%(1992년) 17.0%(2002년) - IT제품 수입비중 추이 : 0.4%(1992년) 7.3%(2002년)

  28. 무역의 현황(4) 최근 중국과의 교역은 한국경제의 활력소 • 2002년 한·중 교역은 412억달러로 전년대비 30.7% 증가 (우리의 제2위 교역 대상국) • 2003년 1∼6월 대중무역흑자 49.4억달러 - 대중국 수출 : 150억달러 (47.0% 증가) - 대중국 수입 : 101억달러 (29.7% 증가) • 양국수교이래 2003년 6월 현재까지의 對中무역흑자 - 누계액은 400억달러를 넘어섬으로써 중국은 미국과 함께우리나라가 최대의 무역흑자를 누리는 국가임

  29. 매입구조 매출구조 업종별 부품 소재 비중(%) 투자와 무역의 관계 -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매입중 한국으로부터의 매입 비중은 38.5% • 제조업분야의 대중국 수출중 부품과 소재 비중 : 69.4% (2002년) • 중국내 외자기업의 대한국 수입 : 178억 달러(2002년, 중국 대한 수입의 62%)

  30. 한국기업의 영업 패턴 : 중국내 구매후 제3국 수출 투자 억$당 대한 수입유발 : 1.29억 달러 투자 1억$당 대한 수출유발 : 0.68억 달러 업종별 매입매출 구조 • 한국기업은 노동집약적인 동시에 수출지향적 투자 • 수출/매출 비율 : 한국 59%, 미국 28%, 대만 46.5%, 홍콩 30.4% • 투자 100만달러당 고용인원(제조업) : 한국 70명, 홍콩 88명, 미국 45명, 일본 47명, 독일 37명, 싱가폴 36명

  31. 투자동향(1) 한국의 대중국 총 투자규모 : 66.7억달러(7,448건) • 2002년만 보면 대중국 투자규모가 7.8억 달러로 연간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미국(1.3억 달러)을 제치고 최대 투자 대상국으로 부상 - 2002년도 투자규모는 1992년 투자액(1.2억 달러)의 6.5배 전체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 : 83.6%(55.8억 달러) • 중국에 대한 외국인 총 투자액 중 제조업 비중은 58.6%로 한국기업의 제조업 편중현상이 심함

  32. 투자동향(2) 대중국 제조업 투자동향 자료: 수출입은행

  33. 인적교류 현황 IMF이후 5년만에 중국방문 한국인 3배이상 증가 • 2003년 상반기중 중국의 SARS로 양국간 인적교류가 일시적으로 위축 - 한국방문 중국인수는 20.2만명(23.4% 감소) - 중국방문 한국인수는 62.4만명(20.4% 감소) 자료 : 한국관광공사(입·출국 통계)

  34. No.4 한중 경제협력, 미래비전은 중국 사업전략 방향

  35. Challenges Key Points Strategies • 중국의 성장은 “전방위적 성장”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기회가 발생하고 있음. • “시장+생산기지” 를 넘어서는 활용 • 전략이 필요 • 협력 분야 및 통로의 지속적 확대(R&D, 서비스업, 인프라, 자원개발)) • 10대 협력사업의 활용 Opportunity 중국의 고도성장 편승 • 공동화 우려보다는 구조고도화로 대응(중국의 저임금은 본질적 위협이 아님) • “세계의 공장”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 •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확대 가능성 • 중국 자본집약적 산업의 취약성 • 중국 접근성 의해 다국적기업 유치 • 중국 기업의 한국 투자 유치(투자보장협정 개정에 반영) • 자본 집약적인 핵심 부품/소재 산업 Threat Nut-cracker 論 산업공동화 우려 • 투자환경에서 구조 분석 연구 방향 전환 • 시나리오별 대응 계획 마련 • 지역 협력을 통한 역내 안정성 제고 • 중국 경제에는 다양한 불확실 요인 존재 ex ) SARS, 위안화, 부실채권 • 중장기적인 정치 사회적 불안정 가능성 • cf) 70~80년대 미국경제의 영향 Risk 경협확대로 인한 대중 의존도 심화 중국 부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효과: 기회, 위협, 위험

  36. 한·중협력의 신구도(플레임 측면) 기업과 민간단체가 주도하는 새로운 틀 구축 • 정부 : 동북아 등 국가간 협력의 틀안에서 양국간 경제협력 추진 - “동북아 경제중심” 컨셉에 맞는 대중국 경협방안 개발 • 민간단체 : 중국내 한국투자기업의 경영애로 발굴 및 건의 • 학계와 연구계간 협력방안 활성화 모색 정책중심에서 프로젝트 중심으로 협력단계 고도화 • 서부대개발과 인프라 등 건설분야 협력 • 2008년 북경올림픽(그린올림픽)을 계기로 환경프로젝트 공동추진 - 북경올림픽을 계기로 환경개선에 86억 달러 등 총 338억 달러 투자

  37. 한·중협력의 신구도(산업협력 측면) IT와 서비스 분야로, 인적 및 기술교류로 범위 확대 • 물류, 유통, 금융 등 서비스분야 상담회 상설화와 국제전시회 공동개최 - 서비스분야 투자협력정보 상시제공 시스템구축 한류의 산업화 프로젝트로 서비스 무역을 선도 • 한류의 상품화와 산업화를 선도하는 전문적인 조직을 만들거나 기업을 창업 - 한·중 공동 광고제작, 드라마와 영화 스폰서 등을 통해 한류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한국상품 홍보효과를 제고하여 일반산업발전을 지원

  38. 한·중협력의 신구도(통상 측면) 고부가제품 수출확대로 한·중간 호혜적 분업구조 구축 • 제품차별화와 고급화를 통한 상품경쟁력 강화 분쟁위주에서 협력위주로 통상협력 기조 변화유도 • 호혜성과 공정성을 원칙으로 사안별 유연한 대처 • WTO(세계무역기구) 규범을 활용한 분쟁해결 - WTO분쟁 해결제도 활용과 국가 및 업계가 공동협력 등을 통한 분쟁예방 공동현안에 대한 한·중간 공동대응 • 선진국의 반덤핑 남발방지와 산업피해 구제방안에 대한 공동대응

  39. 내수시장 개방 유통시장 개방 수입시장 개방 반덤핑 강화 현지 투자진출 확대 중국기업 경쟁력 강화 21C 중국시장 지속유지 확대 필요 Target 시장 : 내수시장 부가가치 활동 현지화 전자상거래 문화 및 스포츠 마케팅 경영/의사결정 현지화 LOCALIZATION 마케팅 수단 다양화 시장 세분화 전략 전문 유통채널 구축 인력 현지화 지역시장 세분화 전략 소비자 시장 세분화 제품별 세분화 중장기 중국사업 환경 변화와 대응 방향

  40. 기업전략의 신구도(마케팅타겟의 전환) 제3국을 겨냥한 임가공 위주에서 중국 내수시장 확대 • 지역별 계층별로 내수시장을 세분화하여 시장점유율 확대 • 전문 유통채널을 구축하고 인력의 현지화를 도모 장기적으로는 FTA를 통해 교역규모를 획기적 증대 • 우선 무역자유화가 가능한 품목에 한해 FTA를 적용하고 단계적으로 확대 - 중국과의 FTA 추진시 아세안, 대만 및 홍콩 등 중화경제권을 동시에 고려

  41. 기업전략의 신구도(마케팅의 업그레이드) 마케팅 4P+1G전략의 재점검 • Product : 사양품목에서 핵심기술이 체화된 제품으로 승부 -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와 디자인 고급화 도모 • Place : 중국내 도매업자를 활용한 위탁판매 증대 - 백화점내 매장임차, 전문점 설치, 브랜드 프랜차이즈 등 활용 • Pricing : 중고가 브랜드화 전략 - 치열한 가격경쟁에 대비한 생산코스트 절감방안 모색 • Promotion : 광고를 통해 품질 및 이미지 제고 - 신제품 발표회와 수주회 등 인적판촉 활동강화 밀착 마케팅 전개를 위한 새로운 파트너쉽 강화 • 단계적인 강화전략 : 상품거래 사무소 설치 Joint Venture

  42. 중국경제의 부상과 우리의 대응 No.5 맺음말 (新사고와 당부) 맺음말(新사고와 당부)

  43. 맺음말(新사고1) 사스이후 합리적인 사고방식 정착 • 합리적인 일상생활 : 택시 영수증, 교수 시간지키기 • 사스로 인한 의식 및 생활개혁 : 위생향상, 시스템화 메뉴얼화 • 변화하는 정치문명 : 민의를 존중하는 사법부와 입법부 자본주의 보다 더한 자본주의 • 고용 및 승진 : 파격인사, 해외인재 우대 • 근로시간 : 은행의 일요일 근무 • 민영화 전산업으로 확산 : 항공, 출판 등 전산업으로 확산

  44. 맺음말(新사고2) 산업의 고도화 첨단화 • 저가품 수출국가에서 고부가 제품 수출국가로 전환 - 전체 수출의 50%이상이 전기전자와 기계류 등 고부가 제품 개발전략 및 정책의 일관성 • 앞장서 뛰는 공무원 : 투자유치 및 수출증대 - 10월부터 상해시 주말통관 실시 • 한국보다 앞선 상해시의 물류 및 도시개발전략 • 사회인프라 확충 : 서부대개발, 삼협댐 건설

  45. 맺음말(新사고3) 13억 인구 신드롬 • 13억 인구의 시장에 대한 열정만 가지고 접근하는 것은 금물 • “Be Ambitious”가 아닌 “Be Careful”의 접근 태도가 바람직 • 중국의 실질적인 시장은 2억의 중산층, 그 중에서도 800만의 부유층 이웃나라 신드롬 • 1시간의 시차와 1시간 반의 비행시간으로 지리적으로 근접한 나라로 착각 • 항상 미국을 통한 對中접근 방식으로 실제적으로 23시간의 시간차가 존재 꽌시 신드롬 • 꽌시가 없으면 실패요인이 될 수 있지만, 꽌시 그 자체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음 • 꽌시에 집착하면 실질적인 수확이 없이 거대한 비용만을 지출

  46. 맺음말(당부) 21세기 한국경제의 키워드는 디지털과 중국 • 휴대폰, 반도체, 컴퓨터가 한국경제를 선도 • 중국이 최대 수출시장으로 부상 - ‘03년 7월 29.7억달러(같은달 미국은 25.6억달러) 중국은 무한한 기회의 땅 • 중국에 대한 재인식 : 짱개신드롬 불식 • 한국과의 중국이 아닌 세계시장속의 중국으로 그랜드 디자인 필요 • 월드컵 4강 신화의 저력을 중국에서 전개되는 “경제월드컵”에서 다시 한번 발휘할 수 있도록 승화 • 기회는 준비하는 자의 몫 : 열정을 갖고 중국을 배우고 이해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