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전력계통보호

전력계통보호. 전력계통보호의 의미. 보호기기의 역할. 사고범위의 축소 ( 사고구간 제거 ) - 주보호 , 후비보호 사고파급 방지 ( 탈조 , 주파수저하 ) 신속한 복구 - 재폐로 등. 대정전 진행과정. 과부하. 고장. 주파수저하. 대규모 정전. 송전선 , 전원 차단. 연계선 , 기간송전선 분리. 발전기 탈락. 고장으로 인한 장애. 대전류로 인한 전력계통기기의 과열 아크발생으로 인한 설비 손상 전압의 이상 강하 또는 상승 불평형 야기로 인한 전력설비의 정상동작 저해

naida-good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전력계통보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전력계통보호

  2. 전력계통보호의 의미 보호기기의 역할 • 사고범위의 축소 (사고구간 제거) - 주보호, 후비보호 • 사고파급 방지 (탈조, 주파수저하) • 신속한 복구 - 재폐로 등 대정전 진행과정 과부하 고장 주파수저하 대규모 정전 송전선, 전원 차단 연계선, 기간송전선 분리 발전기 탈락

  3. 고장으로 인한 장애 • 대전류로 인한 전력계통기기의 과열 • 아크발생으로 인한 설비 손상 • 전압의 이상 강하 또는 상승 • 불평형 야기로 인한 전력설비의 정상동작 저해 • 전력공급 차단 • 계통안정도 저해 및 붕괴

  4. 보호방안 • 고장점의 신속한 발견 및 계통에서 분리 • 가능한 많은 부분을 연결 유지 • 원상태로의 복구(고장이 저절로 해소될 때가 많음) • 정상상태와 고장상태의 정확한 판단

  5. 보호기기의 구성요소 • 변성기, 필터 : 정보제공 • 계전기(Relay) : 고장의 판단 • 차단기 : 고장부위 제거

  6. 계측용 변성기(Instrumental Transformer) PT 및 CT

  7. Capacitive Potential Devider

  8. CT •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오차가 큼 • 부하 임피던스가 클수록 오차가 큼

  9. Linear Coupler • magnetic saturation 영향 적음 • voltage-actuated device와 연동

  10. 계전기 • 전압, 전류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단기의 동작여부를 결정 • 신뢰성 : 수년동안의 idle상태, 고장시 빠른응답 • 선택성 : switching transient또는 부하급변과 고장의 구분 • 민감성 : 동작의 경계에서도 정확히 동작 • 속응성 : 만일 시지연이 있으면 predictable & adjustable • 순시성 : no intentional delay

  11. electromagnetic-plunger type Pick-up current : plunger를 움직이는 전류의 문턱치

  12. Solid-state type 동작조건

  13. Relay with adjustable time-delay

  14. Relay with adjustable time-delay

  15. Westinghouse CO-7 relay

  16. Balanced beam type 계전기 동작조건 로 두면

  17. Balanced beam type(계속)

  18. 2중 입력 계전기 Induction cup relay construction Functional diagram

  19. 2중입력 계전기의 동작 토오크 일반적으로 일반적 계전기 방정식

  20. 개폐기의 종류 • 차단기(Circuit Breaker) • 정상 및 고장전류의 차단 • 보호계전기와 조합되어 운용 •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 전류의 개폐에 사용하지 않음 • 선로접속 변경 또는 주요기기, 송전선로의 점검시 • 부하개폐기(Load-Break Switch) • 평상전류의 개폐

  21. 차단기의 종류 • 유입차단기(OCB) • 기름을 소호매질 및 절연매질로 사용 • 공기차단기(ABB) • 압축공기 이용, 소음이 큼 • Gas차단기 • SF6 이용, 공기대비 2.5절연내력 • 전자친화력으로 소호성능 우수 • 진공차단기 • 자기차단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