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6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Chapter 1. 무선인터넷 개론. 학습할 내용. 무선 인터넷이란 무엇인지에 관한 개념 등장배경 시장전망 등. 무선인터넷 개요. 무선인터넷 정의 좁은 의미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넓은 의미

naif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Chapter 1. 무선인터넷 개론

  2. 학습할 내용 • 무선 인터넷이란 무엇인지에 관한 • 개념 • 등장배경 • 시장전망 등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 무선인터넷 개요 • 무선인터넷 정의 • 좁은 의미 •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 넓은 의미 •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B-WLL(Broadband Wireless Local Loop)등 고정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하여 무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 1.1 정의 • 사용자가 무선단말기로 이동 중 무선망(Wireless Network)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에 액세스하고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환경과 기술 •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바로 그 자리에서 이동 전화만을 사용하여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즉, 휴대폰,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의 인터넷 접속을 가능케 함으로써 이동전화와 인터넷을 하나로 융합시킨 새로운 서비스 • 모바일 인터넷은 가입자가 유선(Fixed Line, Wired)이 아닌 무선을 통해 데이터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5. 유선인터넷 Vs 무선인터넷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6. 1.2 무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종류 • 고정형 무선접속(Basic or Fixed Wireless Access) • 단말기는 하나의 동일한 엑세스 포인트(AP)를 지닌, 그리고 그 엑세스 포인트가 수용 가능한 하나의 범위(즉, 하나의 단일 공간으로 될 수 있는 수영장, 사무실, 레스토랑 등)내에서만 사용 • 정지형 무선접속(Nomadic Wireless Access) • 여러 장소의 다양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해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 • 이동 중 접속(Mobile Access) • 이동하면서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7. 1.3 무선인터넷의 등장 배경 • 무선인터넷은 인터넷 혁신의 확산과 무선 기술의 발전이라는 이유 때문에 주목 받으며 등장 • 인터넷 발전 •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은 PC 혁신과 보급을 통해 이루어지고, 원격지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며 정보를 통합해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짐 • 이동통신의 발전 •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가 또 다른 하나의 인터넷 연결 수단으로 인식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넷 연결수단 기능 제공 •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능 • 기존 전자제품 및 장비에 대한 원격 조종이 가능 • 무선 단말기에 맞는 프로토콜과 기술이 지속적으로 등장 • HTTP, XML, CGI, URL, SSI are not suitable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8. 1.4 무선인터넷 서비스 • E-Mail, 팩스 등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개인정보 관리 및 통신 서비스 • 여러 가지 부가정보를 문자로 제공하는 문자정보 서비스 • 모바일 전자상거래(M-Commerce) • 멀티미디어 서비스 •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실례 • 위치기반 서비스 • 개인 기반 서비스 • 실시간 기반 서비스 • 음성 기반 서비스 • 통합화를 통한 서비스 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기반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9. 1.5 무선인터넷 시장 및 전망 • 인터넷 중심 •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가 많은 북미에서는 인터넷 중심 •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양질의 빠른 인터넷 접속에 관심이 있고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직접 원하는 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며, Mobile internet과 Mobile Intranet/Extranet 서비스를 모두 이용하는 경향 • ‘이동 중 접속(Mobile)’보다는 ‘이동 후 접속(nomadic)’과 서비스의 질에 더욱 중점 • ‘이동 중 접속(Mobile)’의 경우에도 Telematics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보다는 PDA, 스마트폰 등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더 선호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0. 1.5 무선인터넷 시장 및 전망(con’t) • 이동성 중심 • 이동성에 무게중심을 두는 대표적인 지역이 유럽과 일본 • 지하철 출퇴근이 일반화되어 있어 ‘이동 중 접속(Mobile)’환경에 적합하며 특히 청소년층에 보급률이 매우 높음 • PC-인터넷환경에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으며 낮은 속도의 접속에도 익숙함 • 쉽게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모바일 포털 이용률이 높으며 기업보다는 개인사용자 층의 맞춤서비스, 특히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의 이용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1. Chapter 2.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12. 학습할 내용 • 무선인터넷의 기술적 통신 환경에 관한 • 1세대 이동통신에서 출발하여 최근 IMT-2000으로 대변되는 3세대 이동통신에 이르는 과정 • 최근 무선인터넷의 대체 기술로 적용 가능한 무선랜에 관한 내용 학습 • 이동통신에 관한 기술적 지식을 습득한다.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3. 1. 이동통신 개요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4. 1.1 이동 통신의 놀랄 만한 성장 • 무선 통신 산업은 빠르게 성장 • 주요 통신 업체의 괄목할 만한 이윤 발생 • 새로운 경쟁자들이 시장에 계속 출현 • 시작은 비교적 작았지만, 최근 15년 동안에 이동 통신 가입자들은 폭발적으로 증가 • 앞으로도 이러한 증가 추세는 계속 • 이동 통신 가입자들의 증가 추세는 가까운 미래에 유선 가입자의 숫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 • 적어도 앞으로 몇 년 동안에 이동 통신은 바로 3세대 시스템(Third Generation Systems)을 의미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5. 1.2 이동 통신 역사 • 제1세대 시스템 • 1978년 시카고에서 시험 시스템을 선보이면서 시작 • 그 당시 시스템은 800-MHz 대역을 사용하는 AMPS 기술 적용 • 1979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된 AMPS 시스템 시작 • 유럽의 시스템은 450-MHz 대역을 사용하는 NMT 기술 사용 • 영국 역시 900-MHz 대역을 사용하는 TACS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AMPS의 개정판 • AMPS, NMT, 그리고 TACS는 성공적인 기술들이었으며 이들 기술들이 주요 1세대 시스템(First Generation Systems)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6. 1.2 이동 통신 역사 (con’t) • 제2세대 시스템 • 1세대 시스템과는 달리 2세대 시스템은 디지털 방식 • 성공적인 2세대 주요 기술들 • IS-136(Interim Standard 136) TDMA • IS-95 CDMA • GSM(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7. 1.2 이동 통신 역사 (con’t) • 제3세대 시스템 • IS-95와 GSM 그리고 IS-136은 대폭 증가된 수용량과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보다 안정된 시스템들 •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음성 서비스에는 적합했으나 데이터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 사용자들은 전자 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그리고 WWW 등과 같은 무수한 새로운 방법으로 통신하기를 원함 • 무선인터넷에서도 이런 서비스를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이러한 새로운 기능들은 3세대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음 •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 WCDMA(Wideband CDMA) • CDMA2000(IS-95 CDMA로부터 진보된 기술) •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DMA) • UWC-136(IS-136으로부터 진보된 기술) • DECT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8. 1.3 이동통신 기초 • “셀룰러(cellular)”라는 용어가 북미 지역에서 AMPS 시스템을 의미 • 이동 통신 시스템을 셀룰러라고 함 •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지리적인 지역을 몇 개의 셀로 나누는 것을 의미 • 각각의 셀에는 전파 전송과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포함 • 기지국은 셀 내에 있는 이동 전화들과 시스템 간의 전파 송•수신을 담당 • 셀의 통신 지역(coverage area)은 기지국의 전송 파워, 이동 전화기의 전송 파워, 기지국 안테나의 높이, 그리고 지형 들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결정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19. 1.3 이동통신 기초 (con’t) •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조 • 여러 개의 기지국(base station)들은 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연결 • 이동 통신 사용자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면 통화의 핸드오프 현상이 생기는데 이를 관리하는 것이 BSC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 • BSC는 물리적으로나 논리적으로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연결 • MSC는 이동 통신 사용자들의 통화 설정과 단절을 관리하는 교환기(switch) • HLR은 가입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표현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0. 1.3 이동통신 기초 (con’t) • 무선 인터페이스 접속기술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1. 1.3 이동통신 기초 (con’t) • 로밍(romming: 서비스권 전환) •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는 접속방법 • 사용자가 최초로 휴대폰을 켜면 휴대폰은 등록 메시지(registration message)를 현재 지역의 MSC로 전송 • MSC로 하여금 사용자가 어느 HLR에 속하는지를 알아내고 등록 메시지(registration message)를 그 HLR로 보내 현재 가입자가 그 지역에 있음을 알림 • HLR은 가입자가 이전에 있었던 MSC로 등록 취소 메시지(registration cancellation message)를 보낸 다음 새로운 MSC에 확인 메시지(conformation message)를 보냄 • IS-41이라는 표준이 완성 • IS-41은 AMPS 시스템, IS-136 시스템, 그리고 IS-95 시스템의 로밍에서 사용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2. 1.3 이동통신 기초 (con’t) • 핸드오프/핸드오버 • 사용자가 통화 중에 하나의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하면서 통화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 • 핸드오프라는 용어는 보통 AMPS와 IS-136 그리고 IS-95에서 주로 사용 • 핸드오버는 GSM에서 사용 • 좀더 최근의 방식으로는 MAHO(Mobile Assisted HandOver)라는 방식 사용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3. 1.3 이동통신 기초 (con’t) • 무선이주 • 3세대 기술의 선택이 앞으로 몇 년동안 해당 회사의 사업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한 사항 • 기존의 무선 서비스 제공자들과 새로운 서비스 제공자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결정한 플랫폼을 사용 • 대부분의 무선 서비스 제공자들은 어느 플랫폼이 적당한지를 일단 결정해야 함 • 조화처리 • 조화(harmonization)는 여러 가지 기술 플랫폼들의 명세가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목적을 갖고 있으며 IMT-2000 명세의 비전과 목표 • CDMA-2000과 WCDMA 시스템의 성능과 연관되어 있는 조화는 두 기술 모두에서 운용되는 가입자 유닛(subscribe unit)을 갖는 데에 있음 • 두 시스템 모두에 지원되는 접속 인프라 구조(access infrastructure)가 목표이지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4. Ch3. 휴대단말기 개론

  25. 학습할 내용 • 무선인터넷의 대표적 단말기인 휴대폰과 PDA에 관한 내용 학습 • 휴대폰의 진화과정 • 휴대폰 내부구조의 간략한 이해 • PDA 역사 및 기능과 종류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6. 1. 휴대폰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7. 1.1 개요 및 구조 • 이어 마이크잭 • RF잭 • 안테나 컨택 • 듀플렉서(Duplexer) • 파워엠프 • IF SAW 필터 • RFT • IFR • 멜로디칩 • MSM 칩 • 메모리 • 마이크 • I/O 컨텍터 • 텍트 스위치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8. 1.2 휴대폰 진화과정 • 1.2.1 이동전화망 진화과정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29. 1.2.2 휴대폰 진화과정 • 손에 들고 다니는 최초의 휴대폰은 모토로라가 88년 출시한「택8000」 • 92년 모토로라가 출시한 「마이크로택Ⅱ」는 두껑을 여닫는 플립형 전화기시대를 열었다. • 96년 하반기부터 통화방식이 디지털로 바뀌면서 메모리기능 등 갖가지 편리한 기능을 갖춘 지능 형 전화기가 본격 출시 • 최근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이나 신용카드 칩을 내장한 제품 출시 • 사진처럼 선명한 26만 컬러를 나타내며 3차원 입체음향까지 즐길 수 있는 64화음의 고성능 휴대폰도 보편화 •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 TV튜너를 내장, 이동하는 차 속에서 휴대폰으로 공중파TV를 볼 수도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해 휴대폰을 가방 안에 두고 해드셋이나 이어폰으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제품 • 1시간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품이 나왔고 화질도 점차 개선되고 있다.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전화하는 화상통화도 이미 실현 • 향후 휴대폰이 인터넷(IP) 기반으로 전환되면 정보통신 환경에 커다란 변화 발생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0. 1.3 이동전화단말기 시장과 전망 • 이동전화단말기는 크게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으로 분류 • 다시 각각의 무선접속방식에 따른 프로토콜과 주파수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 • 일반적으로 이동전화단말기는 지역과 국가에 따라 각기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며 서비스의 커버리지는 확대하고 각 방식간의 호환성을 갖기 위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모두 지원하거나(듀얼모드, 트리모드), 여러 주파수 대역들을 지원하는(듀얼밴드, 트리플밴드) 단말기들이 출시 • 각 국가마다 3세대 IMT-2000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기존 네트워크와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제공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이를 수용한 단말기의 개발 역시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1. 1.4 국내 이동단말기 산업현황 • 국내 휴대폰 시장은 이동전화 시장의 포화에 따라 더 이상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대하기가 힘들 것으로 전망 • 2004년부터 향후 2008년까지 1,500만대 규모의 시장에서 1% 내외의 성장과 감소세를 지속 • 카메라폰의 경우 연평균 46.1%의 성장세를 구가, 2007년에는 1,400만대 이상이 카메라 기능을 기본으로 탑재하게 될 것으로 예상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2. 1.4.1 가입자 규모 및 전망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3. 1.4.2 휴대폰 시장규모 및 전망 • 2003년 초 당시 전세계 휴대폰 제조회사의 시장점유율은 노키아(Nokia)가 36%로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모토로라, 삼성 등의 순서로 파악되었다. 아래 그림은 세계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을 보여준다.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4. 2. PDA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5. 2.1 PDA 개요 • 2.1.1 PDA정의 • PDA란 '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약자로 개인이 사용하는 디지털 보조 기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간단하게 개인 휴대용 단말기라고 불리고 있다. PDA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휴대용 컴퓨터라고 할 수 있으며, PC와의 데이터 동기화를 통한 개인정보관리(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oftware)기능을 제공한다.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6. 2.2 PDA 종류 • 2.2.1 하드웨어별 구분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7. 2.3 PDA 역사 • 0세대: 전자수첩과 PC의 축약, 팜탑 탄생 • 1세대: PDA라는 용어 사용, 대중적인 인기에는 실패 • 2세대: 대중적인 인기를 끄는 보급형 PDA 시장 개화 • 3세대: 무선 PDA 시장으로의 진화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8. 2.3.5 운영체제별 구분 • PDA와 PC의 가장 큰 차이점 운영체제를 어떻게 내장하고 있느냐의 차이점이 가장 크다. PDA의 특징인 Instant On, 즉 전원 버튼을 누르면 바로 켜지고, 꺼지는 것을 위해서 ROM 이란 공간에 운영체제를 내장하는 것이 PDA의 가장 큰 특징 • WinCE / PocketPC • PalmOS • CellVic OS • Linux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39. Ch4. 무선인터넷기반 콘텐츠

  40. 들어가기에 앞서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1. 학습할 내용 • 모바일 상거래의 정의, 유형 및 출현배경 • 모바일 상거래 가치사슬 • 성공전략 및 사례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2. 1. 모바일 컨텐츠 산업현황 및 산업구조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3. 1.1 모바일 컨텐츠 산업현황 • 최근의 모바일 콘텐츠동향 • 캐릭터, 음악, 게임 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 모바일 게임 • 2000년 350억 원에서 2002년 1,000억 원 규모로 성장 • 국내 모바일 이동통신업자가 시장을 주도 • 통신망, 포털서비스, 인증과 과금의 어플리케이션까지 제공 • 최근의 무선인터넷 망 개방이 허용됨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 프로바이더의 진입이 예상 • 모바일콘텐츠 시장 분류 • 멀티미디어형 서비스, 다운로드형 서비스, 모바일게임 , 정보제공형 서비스 • 모바일콘텐츠 시장 급증 배경 • 이동전화 및 무선인터넷 사용자 • VM내장 이동전화 단말기 • 유료서비스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4. 1.2 모바일 컨텐츠 산업구조 컨텐츠 제작 및 제공 네트워크&서비스 단말기 관련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5. 2. 발전배경 • 3G 네트워크 • 이미지, 음성(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리치 미디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를 사용 • 휴대폰 성능의 향상 • 고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행 • 메모리와 프로세싱 성능이 향상 • 시장의 잠재성 • 전 세계 10억 이상의 인구를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는 사업 기회 • ARPU(Average Revenue Per User)를 유지 또는 증대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6. 3. Mobile Contents Provider 전략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7. 3.1 수익분배 모델 • 형태 • 제반 경비를 제외한 나머지인 수익을 일정 비율이나 고정 가격으로 나누는 방식 • 장단점 • CP보다는 이통사에 유리한 형태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8. 3.2 광고, 마케팅 모델 • CP가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고 사용자에게 자사 콘텐츠와 함께 광고를 제공하는 모델 • 인터넷이나 방송 및 미디어 광고와 동일한 비즈니스 모델 • 광고의 종류 • 배너광고 • 스폰서형 광고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49. CP가 자신의 core business를 마케팅하기 위해 핸드폰을 마케팅 채널로 사용하는 것 모바일 쿠폰 맨인블랙(MIB)2 매스마케팅과 타겟마케팅이 모두 가능 개인정보 누출이나 스팸 3.3 마케팅 모델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50. 3.4 전자상거래 모델 • 모바일 전자상거래(M-Commerce) 모델 • 장단점 • 유선 인터넷에서의 전자상거래는 안정적인 성장기에 진입 • 언제 /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의 특징 •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제한 • 개인정보 유출 • 인터넷 속도 Introduction to Wireless Interne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