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5

방수재료

방수재료. 13 조 2100993 박태규 2500814 김성훈. 1. 개요. 물과 건축물 방수공사의 정의 방수성능과 환경조건 방수공법 방수재료의 평가 및 평가 방법 현장사례 옥상방수 특기시방서 대체방안 결론. 2. 물과 건축물. 누수 ( 漏水 ) 현상 금속계 재료의 부식 백화 ( 白樺 , efflorescence) 현상 곰팡이 발생 유수 ( 流水 ) 에 의한 외벽의 얼룩 목재의 부패에 의한 조직파괴 강도저하 마감재의 박리 , 부풀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방수재료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방수재료 13조 2100993 박태규 2500814 김성훈

  2. 1.개요 • 물과 건축물 • 방수공사의 정의 • 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방수공법 • 방수재료의 평가 및 평가 방법 • 현장사례 • 옥상방수 특기시방서 • 대체방안 • 결론

  3. 2.물과 건축물 • 누수(漏水)현상 • 금속계 재료의 부식 • 백화(白樺, efflorescence)현상 • 곰팡이 발생 • 유수(流水)에 의한 외벽의 얼룩 • 목재의 부패에 의한 조직파괴강도저하 • 마감재의 박리, 부풀음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 • 단열성능의 저하

  4. 3.방수공사의 정의 • 방수공사의 목적 외부로부터 우수(雨水)의 침입을 방지  건축물의 이용가치의 저하 방지, 건축물 자체를 보호하여 구조체 재료 본래의 내구성을 충분히 발휘시킴 • 부위별 구분 - 지붕방수 - 실내방수 - 외벽방수 - 지하방수 - 콘크리트 구체방수 • 재료별 구분 - 아스팔트방수 - 도막방수 - 시트방수 - 시멘트 액체방수 - 실링 공사

  5. 4.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방수할 장소의 선정 : 구조물에는 같은 종류 또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 물과 접촉하여 사용되는 부위가 있으며, 이런 부위에서는 반드시 방수층을 필요로 하게된다. 물이존재하는 장소와 형태

  6. 4.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방수층의 조건 • 물을 투과시키지 않는 피막이어야 할 것 • 내 기계적 열화성 • 내 화학적 열화성 • 사회성

  7. 4.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방수층의 일반적인 결함발생 원인과 요구되는 성능-반드시 확인하고 방수재를 선정 또는 시공하여야 한다.

  8. 4.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방수와 기상과의 관계 -방수시공, 즉 방수의 시작에서 부터 그 일생을 마칠때까지 크게 관련되는 것이 자연이며, 물, 바람, 직사광선에 의한 표면온도, 기온 등이 방수성능의 열화요인으로써 작용한다. 특히 물은 기온에 의해서 형태가 바뀌고, 바람 등에 의한 압력, 혹은 중력에 의한 움직임 방향의 변화. 건물의 부위에 따라서 영향정도가 달라진다. -강수(降水) :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이 되어서 내리는 것이 비이고, 승화(昇華)되어서 생긴 것이 눈이다. 이 외에 우박·싸라기눈 등 지상에 떨어져서 물의 형태로 바뀌는 것을 총칭해서 강수라고 한다. -적설 : 적설의 유무는 방수설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동결방지를 위한 내홈통의 설치, 방수층의 끝부분부터 융설수에 대한 처리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적설은 방수공사를 불가능하게 한다. 저온에 대해서는 방수공법의 종별선택에 의해 어느정도 해결할 수는 있지만, 적설은 제설하지 않는 한 공사는 불가능하다. -바람 : 방수상으로 보면, 바람에 의해 문제가 되는 경우 하나는 바람에 의한 날림이고 두번째는 바람에 의한 빗물 침입이다.

  9. 4.방수성능과 환경조건 • -일사와 방수 : 외부기온의 변화로부터 인간생활을 보다 좋은 환경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조건에 따른 건물의 방서(防暑), 방한(防寒)구조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방수층은 그 성격상 건축물의 가장 외부에 놓여지는 것이 통칙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붕은 낮에는 태양의 직사광선을 받고, 밤에는 지붕표면으로부터 열이 방사되기 때문에 그 온도차는 점점 커지며 이러한 양향은 곧장 방수층으로 이어진다. • -결로 : 옥상층의 슬래브 하부면에서의 결로(結露)는 슬래브의 하부면 온도가 저하되고, 습(濕)할 때에 비교적 고온의 공기와 접하게 되면 생기는 현상이다. 따라서 특히 동절기에 많으며 장마철에도 볼 수 있다.

  10. 4.방수공법 멤브레인 침투성 도포 시멘트 모르터 방수공법 실링 공사

  11. 5.시멘트 모르터 방수 방수제를 모르터에 혼입해서, 이것을 콘크리트에 도포하거나 침투시켜서 수밀층을 만들어 방수성능을 갖는 피막을 만드는 공법

  12. 6.침투성 도포 방수 • 콘크리트와 모르터의 표층부 공극 내에 속한 폴리머 필름막을 형성하여 발수성을 가지게 하기 때문에 충전 및 발수의 상승효과에 의해 콘크리트의 방수성을 발휘 • 방수제에 포함되어 있는 규산질미분말의 규산이온은 콘크리트 속의 모세관 공극을 통하여 침투 확산되어 모세관 공극을 충전시켜 치밀해짐 • 점차 내부로 침투 확산하는 원리에 의해 시공 초기에 나타나는 누수현상이 점차 감소 • 균열에 대한 저항성은 거의 없어, 정기적인 보수를 요함

  13. 7.실링 방수 공사 건축물 각 부의 접합부, 특히 스틸새시 주위나 균열부의 누수를 막음

  14. 8.멤브레인 방수 • 아스팔트, 시트 등을 방수바탕의 전면 또는 부분적으로 접착하거나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루핑(Roofing) 류가 서로 만나는 부분을 접착시켜 연속된 얇은 막상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15. 9.아스팔트 방수 • 가열 용융한 아스팔트로 아스팔트펠트나 아스팔트 루핑을 연속적으로 겹쳐서 방수층을 만드는 공법 • 200℃ 이상 가열 용융시킨 아스팔트는 점성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등의 바탕이나 아스팔트펠트·아스팔트 루핑 등을 접착시키며 그 피막은 점탄성·방수성·내구성이 있으므로 거의 완전한 방수층을 형성 • 아스팔트 방수재료는 천연아스팔트와 석유계아스팔트가 있으며 건축에서는 석유계아스팔트가 주로 사용

  16. 9.아스팔트 방수 천연 아스팔트

  17. 9.아스팔트 방수 석유계 아스팔트

  18. 9.아스팔트 방수 시공순서(8층 방수)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 청소및바탕처리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 방수층 시공 아스팔트 아스팔트 펠트 방수층 누름 아스팔트 아스팔트 프라이머 보호 모르타르 신축줄눈 시공

  19. 9.아스팔트 방수 • 시공바탕의 결함부분을 보수하고 모르타르 배합 1:3으로 1.5cm 정도 바르고 완전 건조 (함수율 8%이하) • 배수구 주위는 1/100 정보 물흘림 경사를 주고 구석, 모서리 치켜올림 부분은 부착이 잘되게 둥글게 3~10cm 정도 접음 • 파레펫 방수층 치켜올림 높이는 30cm 이상 • 아스팔트 가열온도는 180~210°C 정도 또는 연화점에서 +140°C 이내, 인화점 +14°C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180°C 이하는 부착력 불량) • 보호층은 방수층의 열화방지, 외부 온도의 차단을 위해서 설치하며 아스팔트 방수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빠른 시일 안에 처리하고 적당한 거리(3~5m) 마다 신축줄눈을 설치 • 기온이 0°C 이하일 때는 작업을 중지

  20. 10.스테인리스 시트 방수 • 스테인리스 박판시트의 양면을 현장에서 적절하게 구부려,특수한 고정철물로 바탕에 고정시키면서 박판시트의 접합부를 용접하여 방수층을 형성. 주로 일반 지붕 또는 특수한 형상의 지붕의 화장 마감방수에 많이 시공됨

  21. 11.도막방수 • 우레탄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고무 아스팔트계 등의 합성고무, 합성수지 용액을 여러 번 칠하여 소요 두꼐의 방수층 형성 공법 • 장점 : 시공이 용이 하며 균열이 적음단점 : 피막의 연속성, 두꼐의 균일성 • 시공위치 : 지붕, 외벽, 화장실, 발코니,주차장 등 • 시공순서 :순서: 바탕처리 프라이머 도포 방수층 시공 보양

  22. 12.방수재료의 평가 및 평가 방법 • 방수재료의 평가 및 시험법 • 평가요건 • 충분한 투수 또는 투습저항성의 여부 • 겹칩부분 등의 연속적 접합성 주의 • 태양열에 대한 방수층의 부풀음, 보행 또는 기타 작업으로 인한 손상에 대한 저항성 •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화학적 열화작용에 대한 내성

  23. 12.방수재료의 평가 및 평가 방법 • 평가방법 • 방수성(투수저항성)시험 : 핀홀(pin hole)의 발견을 목적으로 함 - 수밀시험 - 투수시험 : 시료에 수압을 가하여 단위시간에서의 투수량(투수계수)등을 구함으로써 투수성 평가 • 내피로성 시험 : 방수바탕재에 생기는 거동의 작용에 대한 저항성 평가 • 내외상성(충격시험, 패임)시험 - 동적(충격) : 자유낙하시험, 용수철 장치를 이용한 타격시험 - 정적(지속하중) : 구 또는 원주형 하중체에 의한 지속재하로부터의 외상정도 평가 • 내풍시험 : 노출방수층의 경우 태풍에 의한 날림 저항성능을 평가 • 부품(들뜸시험) : 동절기 시공. 바탕재의 양생불량에 따른 미건조시 방수층이 국부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부품음에 대한 저항성 평가

  24. 13.현장사례(1)-폴리우레탄 그라우팅(Polyurethane Grauting) 지수공법- • 인천지하철 계양~귤현 터널구간 누수→ Polyurethane Grauting 지수공법 • 터널 구간 내 지하 수압에 의해 유출되는 누수를 수화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주입하여 지수효과를 나타내는 공법

  25. 시공순서 누수 부위 조사 천공작업 Packer 설치 발포우레탄 주입 Packer 제거 마감작업 13.현장사례(1)-폴리우레탄 그라우팅(Polyurethane Grauting) 지수공법-

  26. 특성 -미세한 균열에도 시공가능 -수축·팽창이 자유롭다. -내구성이 우수하다. 시공시 유의사항 -접착되는 면에 이물질이나 기름성분 등이 없도록 청소해야 한다 -접착제가 피부에 묻으면 즉시 비눗물로 씻고, 작업도구에 묻은 경우에는 굳기 전에 신나 등의 용제로 닦아야 한다. 13.현장사례(1)- 폴리우레탄 그라우팅(Polyurethane Grauting) 지수공법의 특성 및 유의사항-

  27. 13.현장사례(2) • 공사명 : 한성빌딩 옥상방수(우레탄 도막방수-재시공) • 위치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708-4 한성빌딩 • 중도작업까지 끝내고 마지막 상도작업 진행

  28. 13.현장사례(2) -우레탄 도막 방수- • 우레탄 도막 방수 -폴리우레탄수지의 특징인 탄성과 수밀성에 착안하여 시공하는 공법.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시공하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 시공순서 : 바탕처리 프라이머 도포 방수층 시공 보양 • 바탕상태 확인 및 취약부 보강작업 • 프라이머 도포 • 중도 작업 • 상도 작업

  29. 특성 장점 -접착력과 탄성력이 탁월 -내구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부식방지에 탁월 -배합과정을 제외하면 시공이 용이함 단점 -습기에 대해 취약함 시공시 유의 사항 건조가 불충분할 때는 도포작업을 피하여야 한다 공사전 비가 온 경우에는 최소한 3일 이상은 건조시킨다 혼합 교반시 도장 면의 오염을 방지 13.현장사례(2) -우레탄 도막 방수의 특성 및 유의사항-

  30.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 -우레탄 도막방수- • 옥상의 방수를 목적으로 하는 공법으로 고분자 우레탄수지를 사용하며, 경화후 뛰어난 신축율과 접착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외부 노출 부위인 옥상 층의 콘크리트 내구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시공하는 방법 • 건축물의 방수용으로 많이 선호하며, 국내외적으로도 많은 시공실적이 있다 • 시공효과가 우수하며, 비교적 경량이므로 건축물에 부담을 적게 주며, 온도 적응성이 뛰어난 시공방법이다. • 시공 시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한다.

  31.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사용자재 및 공구 • 프라이머(하도재) : 바탕면(콘크리트)를 강화 시키며 바탕과 우레탄의 접착을 향상 시킨다. • 우레탄(중도재) : 우수한 방수도막을 형성하며, 신축율과 접착력이 뛰어나다 • 탑코트(상도재) : 자외선 및 산성비로부터 우레탄 중도재를 보호한다. • 탄성 씰링재 : 줄눈 및 탈기장치 설치용으로 사용한다. • NET-HOSE(넷호스) : 백업재의 역할과 물 또는 수증기 공기 등의 팽창분을 저장, 유도하는 역할 등 다용도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전용 신너 : 우레탄 희석용으로 사용되며 반드시 전용 신너를 사용하여야 한다. • 탈기공 : 우레탄 방수층 밑에 있을수 있는 물, 수분, 공기등의 팽창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장치로 우레탄 등 도막방수층의 파괴, 들뜸, 균열 등의 발생을 막아 방수층의 수명을 연장 하는 역할을 한다. • 전동식 교반기: 우레탄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기구이다.

  32.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시공순서 • 바탕 상태를 점검한다.-작업시간은 일출 2시간 후 일몰 시간까지만 시공하며 습도 75%이하 온도 4˚c이상에서만 시공한다 • 원칙적으로는 고압 세척을 선행하여 바닥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켜야 하지만 물의 사용을 억제해야 할 경우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다.. -바탕정리 ① 바탕면은 평탄하여야 하므로 돌출부분은 그라인더로 갈아 평탄하게 한다. ② 배수가 잘 되도록 하되, 물이 고이는 부분은 고무칩수지몰탈 또는 폴리머 세멘트 몰탈 등으로 미장한다 ③모래, 먼지 등 이물질은 깨끗이 쓸어내고 기름 등이 묻어 있으면 용제로 청소하거나, 디스크 샌더 등으로 갈아 낸다.

  33.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U컷팅 작업 : 줄눈 부위를 U 컷팅(폭 10mm )하고 깨끗이 제거, 청소한다. • 넷 호스 설치 : U 컷팅한 부위에는 넷 호스를 설치하고 탄성 실링재로 고정시킨다. • 충 진 : U 컷팅한 부위 및 줄눈 부위에는 탄성 실링재로 충진한다.

  34.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탈기공을 설치한다. 약 100㎡당 1개 • 바탕강화 및 우레탄 방수재의 접착을 최대한 증강시키기 위하여 우레탄 프라이머를 롤러 또는 붓으로 바른다. 우레탄 프라이머 : 건조시간 : 2시간이상 배합비 : 1액형(상온경화용) 도포량 : 0.2~4kg/㎡

  35.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우레탄 프라이머가 경화, 양생되면 우레탄 방수재를 정해진 배합비에 따라 혼합한후 전동식 교반기로 충분히 교반하여 로울라 또는 붓으로 바른다. 우레탄 건조시간 : 24시간이상(20˚기준) 배합비 = 주제 : 경화제 도포량 : 3.6 Kg/㎡(3mm기준) 도포두께 : 최저 1.5mm이상, 최고 5mm 이하 가사시간 : 배합 후 30분 이내(20˚기준) • 도포한 우레탄 방수재가 적당히 경화, 양생되면 반드시 우레탄 TOPPING재를 도포하여 표면을 보강하여야 한다. 우레탄 탑 : 도포량 : 0.3Kg/㎡ 건조시간 : 24시간이상(20˚기준)

  36. 14.옥상방수 특기시방서-우레탄 도막방수- • 주의사항 • 용제를 잘못 사용하면 수지의 경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전용 신너를 사용한다 • 하도, 중도, 상도작업은 가능한 한 연속작업을 원칙으로 하나, 작업여건상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재차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작업을 전개한다.(앞 공정과 7일이상 경과시) http://www.chemi-con.co.kr중앙 케미콘

  37. 15.대체 방안-구체방수- (1)구체방수재의 원리 및 조건 ①구체방수재는 콘크리트 자체를 방수층 또는 막으로 만들기 위해서 시멘트 자체가 경화되면서 생성되는 유리이온이 Ca, Mg, Na, K들과 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구조체를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반응성을 가진 방수제이어야한다. ②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시켜서 수화물(겔)이 구조체의 공극을 조기에 충전시켜서 구조체를 수밀화시켜야 한다. ③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가용성 물질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불용성염을 형성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이 공극에 잔류할 수 없도록 하며, 동결융해에 대한 체적팽창압을 발생할 수 없게 하여야 한다. ④방수와 발수가 동시에 이루어 지도록 구조체 내부는 방수층을 형성하게하고 구조체 표면에서는 발수성을 부가하여 구조체 자체가 물과 접촉각을 형성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수압이 걸릴 경우에는 내부의 방수층 막에서 방수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⑤방수제 혼용시 시멘트 기본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8. 15.대체 방안-구체방수- (2)구체방수의 특징 (가) 경제성 ①시멘트 액체 방수 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므로 공기가 단축된다. ②기능인력 확보의 문제가 해결된다. ③후속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④현장 레미콘에 직접 투여하므로 별도의 시공비가 들지 않는다 (나)신뢰성 ①액체 방수층과 같이 건조수축 영향에 의한 균열이나 탈락에 의한 문제발생의 여지가 없다. ②콘크리트 자체의 조직을 치밀화시킴으로써 구조물 두께만큼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③레미콘의 혼합, 타설기술이 뒤따라야 한다. (다)취약부위의 보강 -콘크리트가 부실한 곳, 콜드 조인트, 이어치기 부분 및 폼타이 제거한 곳 등은 구체 방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보강방수를 하여야 한다.

  39. 15.대체 방안-구체방수- (3)시공방법 (가) 타설 ①플랜트 혼합은 배치 플랜트에서 혼화제와 함께 투여하거나 첨가되는 배합수에 분산시켜 투입한다. ②현장타설은 시공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레미콘 트럭에 직접투여하여 3~4분간 고속 회전시켜 타설한다. (나)조인트 및 폼타이, 이어치기 연결부위 ①구체처리 후 폼타이의 처리는 미장작업시 브이컷팅(V-Cutting)후 모르터 접착방수제로 충전처리한다. ②조인트 이어치기 연결부위는 시공전에 지수판 또는 수팽창제로 처리하거나 시공후 별도 충전한다. (다)보조방수 ①설계상 보조방수 공정이 필요할 때에는 구체방수 후 미장작업 전에 시방서에 따라 내방수(모르터방수, 침투방수, 도막방수)를 하면 방수효과도 배가 시킬수 있으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②구체처리후 미장작업시 미장모르터에 방수제를 혼입하여 미장처리하거나 별도의 침투성 방수제처리를 병행할 수 있다.

  40. 15.결론 • 환경공해로 인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대기오염 문제가 동식물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배기가스와 화석(火石)연료에서 배출되는 산성을 띠는 가스가 대기 중의 수증기와 결합하여 강한 산성비가 내리게 되고, 이러한 유해물질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침투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노화를 유발하며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킵니다.또한, 지하 표층수는 이러한 산성비등으로 인해 황산염, 탄산염 등이 녹아 침식성있는 물로 변하고, 특히 해얀지방에서는 해수의 침투로 인해 지하 표층수내의 염소, 황산염 등의 함유량이 높아져 구조체의 침식과 구조체 내의 철근 부식등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치게됩니다. 따라서 우리들은 확실한 방수성 부여를 위한 방수재료와 공법의 성능향상과 작업성 개선,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 효과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는데 힘써야 할 것입니다.

  41.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방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종 방수재료 및 공법을 설명하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멤브레인 방수공사 관련 용어 -멤브레인(Membrane) 방수층 : 불투수성 피막을 형성하여 방수하는 공사를 총칭하며, 아스팔트 방수층. 시트방수층. 도막방수층이 이에 해당한다. -바탕정리 : 바탕재와 방수재와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고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방수층 시공 전에 표면의 들뜸 부분, 요철부분 등을 평탄하게 하고, 먼지. 돌가루. 기름 또는 거푸집 박리제 등과 같은 바탕과의 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방수 바탕면을 만드는 작업 -절연용 테이프 : 바탕면 거동(Movement)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바탕과 방수층 사이에 사용하는 테이프 -프라이머(Primer) : 방수층과 바탕을 견고하게 밀착시킬 목적으로 바탕면에 최초로 도포하는 액상의 재료

  42.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용착제(溶着劑) : 염화비닐수지계 루핑에 사용하는 것으로 방수재의 표면을 녹여 접착시키는 액상의 재료를 말한다. -루핑(Roofing) 류 :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트형상의 재료로서, 아스팔트 루핑, 아스팔트 펠트, 직조망 아스팔트 루핑, 스트레치 아스팔트 루칭, 구멍뚫린 아스팔트 루핑등이 이에 해당한다. -흘려붙임 : 용융한 아스팔트를 국자 등을 사용하여 바탕면에 흘리면서 루핑류를 눌러 바르는 것. -덧붙임 : 바탕의 모서리·귀퉁이, 드레인 주위 등과 같은 장소에 보강을 위한 루핑류를 눌러 바르는 것. -밀어올려 붙임 : 루핑류를 벽면의 아래쪽에서 부터 윗쪽으로 향하여 올려 붙이는 것. -개량 아스팔트 : 합성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첨가하여 성질을 개량한 아스팔트. -토오치(Torch) : 개량 아스팔트 시트의 표면을 용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너. -점착층 붙은 시트 : 표면에 점착층이 있는 개량 아스팔트 시트로 주로 단열재 위에 사용된다.

  43.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보강포(布) : 방수용 도막재와 병용하여 방수층을 보강하는 재료. 잃반적으로 유리섬유 제품이나 합성섬유 제품을 사용한다. • -응고제(凝固劑) : 고무아스플트계 지붕용 도막방수재와 함께 스프레이하여 에멀젼의 응고를 촉진시키는 약제. • -우레탄 포장재(包裝材) : 우레탄계 도막방수층을 보호하고 운동이나 보행(步行)이 가능하도록 방수층 위에 도포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우레탄수지가 사용된다. • -화장재(化粧材) : 외벽 토막방수층 위에 주로 미관상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모양내기용 재료는 방수층과 같은 주재를 사용하고, 그 위에 색조·광택내기용 재료로 도료를 사용한다. • -탈기장치(脫氣裝置) : 바탕면의 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 • -보호완충재 : 지하외벽의 방수층 표면에 설치하여 토사의 되메우기시의 충격 및 침하의 영향을 제어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발포 플라스틱 또는 두꺼운 섬유제품을 사용한다.

  44.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보행용 방수층 : 방수층의 관리 및 유지보수, 옥상공간의 활용 위하여 사람의 보행을 허용하는 방수층으로, 일반적으로 방수층 위에 콘크리트층 또는 이와 유사한 마감층을 둔다. • -비보행용 방수층 : 사람의 보행을 허용하지 않는 방수층으로, 내구성이 강한 방수재료를 사용하여 대기중에 노출시키는 노출형과, 가볍게 모르터층 등으로 방수층만을 보호하는 비노출형으로 구분된다. • -볼록 모서리 : 2개의 면이 만나 생기는 철(凸) 형의 연속선 • -오목 모서리 : 2개의 면이 만나 생기는 요(凹) 형의 연속선 • 시멘트 모르터계 방수공사 관련 용어 • -방수제 : 모르터의 흡수·투수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혼입하는 혼화제. • -방수용액 : 물에 방수제를 넣어 희석 또는 용해한 것. • -방수 시멘트 페이스트 : 시멘트와 방수제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 • -방수 모르터 : 시멘트, 모래와 방수제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것.

  45.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폴리머 분산제 : 주된 화학조성에 따라서 2종류로 구분 • (가) 시멘트 혼화용 고무 라텍스 : 합성고무계·천연고무계 및 고무 아스팔트계 • 등의 고무 라텍스에 안정제·소포제 등을 가해서 잘 분산시켜 균질하게 • 한 것. • (나) 시멘트 혼화용 수지 에멀죤 : 아세트산 비닐계·아크릴계 및 합성 고무계 • 등의 수지 에멀죤에 안정제·소포제 등을 가해서 잘 분산시켜 균질하게 • 한 것. • -폴리머 시멘트계 도막 방수제 : 폴리머 분산제와 수경성 무기분체(시멘트와 규사 및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여, 폴리머 분산제에 함유된 수분을 시멘트 경화반응에 공급하고 급속히 응집 고화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방수재. • 규산질계 도포 방수공사 관련 용어 • -수압측 : 방수층이 지하수 또는 물과 접하는 면을 말하며, 건물의 회측 또는 수조의 내부를 가리킨다.

  46.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규산질계 도포 방수재 :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고압투수에 대하여 높은 방수성을 가지게 하는 재료로, 분체부분은 주로 시멘트 및 입도조정된 규사, 규산질 미분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량의 물 또는 전용의 폴리머 분산제와 비빔하여 사용한다. • 금속판 방수공사 관련 용어 •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 : 스테인리스 박판으로 방수층을 구성하는 주 재료로 표면처리를 한 것도 있다. • -성형재 : 성형기로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의 양 끝을 꺽어올려 골형으로 성형한 형재. • -성형기 :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를 골형으로 성형가공하는 기계. • -합장맞춤 : 각각의 부재를 합장하는 손과 같은 형태로 맞추는 것. • 고정철물 : 방수층을 바탕에 고정하는 스테인리스 강제의 철물로, 하부는 패스너(Fastner)로 바탕에, 상부는 씨임(Seam)용접으로 방수층에 고정한다.

  47.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슬라이드 고정철물 : 바탕에 고정한 부분과 방수층에 고정한 부분 사이에 방수층의 온도신축에 추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철물. • -씨임용접 : 저항용접의 일종으로, 세트로 된 원판형 전극 사이에 용접부를 삽입하여 국부적으로 하는 용접 • -봉투접기 : 성형재 꺽어올림부를 씨임 용접한 후, 그 상단을 봉투접기기 또는 손 가공으로 180˚꺽는 것. • -Joint Cap : 성형재 꺽어올림부를 씨임 용접한 후, 그 상단에 씌우는 U자형 성형재. • -T 죠인트 : 씨임 용접부가 T자형이 되는 죠인트 • 실링공사 관련 용어 • -실링(Sealing)재 : 건축물의 부재와 부재의 접합부 줄눈에 충전하면 경화 후 양 부재에 접착하여 수밀성, 기밀성을 확보하는 재료로 여기서는 특히 부정형의 재료를 가리킨다.

  48.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1성분형 실링재 : 미리 시공 가능한 상태로 배합되어져 있어 현장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실링재. • -2성분형 실링재 : 시공직전에 기제와 경화제를 배합하고 비벼서 사용하는 실링재. • -기제 : 2성분형 실링재중 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 • -경화제 : 2성분형 실링재중 기제와 혼합하여 경화시키는 것. • -프라이머 : 피착면과 실링재와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미리 피착면에 도포하는 재료. • -백업재 : 실링재의 줄눈 깊이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기 위하여 줄눈에 충전하는 성형재료. • -본드 브레이커(Bond Breaker) : 실링재를 접차깃키지 않기 위하여 줄눈 바닥에 붙이는 테이프형의 재료. • -매스킹테이프(Masking Tape) : 시공중의 구성재의 오염방지와, 줄눈의 선을 꺠끗하게 마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호테이프.

  49. 2.방수관련 용어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 -Movement : 부재 접합부의 줄눈에 생기는 거동 또는 거둥의 양 • -Working Joint : Movement가 큰 Joint • -Non-Working Joint : Movement가 생기지 않거나, 발생하여도 거의 무시할 수 있는 Joint • -2면접착 : 줄눈에 충전되어진 실링재가 구성재의 마주보는 2면의 접착된 상태 • -3면접착 : 줄눈에 충전되어진 실링재가 구성재의 마주보는 2면과 줄눈 바닥의 3면과 접착된 상태 • -이음 : 실링재를 마감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하여 실링재를 시공하는 것. 또는 이렇게 시공되는 접속부분. • -경사이음 : 접속면을 경사지게 하여 접합하는 방법.

  50. 5.국내의 방수관련 법령 및 재료시험·검사관계 규정 • 1. 설계도서 해석의 우선순위(건설교통부 고시 제 1996-130호, 1996. 5. 18) : 설계도서·법령해석·감리자의 지시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있어 계약으로 그 적용 의 우선순위를 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다음 순서를 원칙으로 한다.① 특기 시방서 ② 설계도면 ③ 일반시방서,표준시방서 ④ 산출내역서 ⑤ 승인된 시공도면 ⑥ 관계법령의 유권해석 ⑦ 감리자의 지시 사항 • 2. 건설공사의 품질관리(건설기술관리법) :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는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가 공사의 범위에 따라 품질보증 계획을 수립하거나 품질시험 계획을 수립하고 사용 재료의 시험·검사를 거쳐 시공하게 된다. (가) 품질보증계획 수립 건설공사의 대상범위는 전면 책임감사대상인 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가 500억원 이상인 건축공사와 건축법 시행령의 다중 이용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이 3만제곱미터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그리고 당해 건설공사의 계획에 품질보증 계획의 수립이 명시되어 있는 건설공사가 해당된다. (나)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공사 범위 ① 총 공사비가 5억원 이상인 토목공사 ② 연면적이 660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③ 총 공사비가 2억원 이상인 전문공사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