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2

기관지 천식

기관지 천식. 9 조 : 20083002 김경선 20083008 김유미 20063019 박현서. 1. 병리상태와 원인. 천식이란 ?. 기도가 수축하고 염증이 생기는 흔한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 천식은 평소에도 기관지에 염증이 존재하므로 정상인들에 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천명음 , 기침 , 가슴이 답답함 ,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점막 염증은 천식발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

niabi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기관지 천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기관지 천식 9조: 20083002 김경선 20083008 김유미 20063019 박현서

  2. 1. 병리상태와 원인

  3. 천식이란? • 기도가 수축하고 염증이 생기는 흔한 만성 호흡기 질환이다. • 천식은 평소에도 기관지에 염증이 존재하므로 정상인들에 게는 아무렇지도 않은 가벼운 자극에도 쉽게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천명음, 기침, 가슴이 답답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4. 점막 염증은 천식발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 염증은 특정한 항원, 비알레르기성 자극물질(찬 공기, 건조한 공기, 공기 중의 미세입자), 미생물, aspirin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기도 과민반응은 상부 호흡기질환, 운동, 밝혀지지 않는 이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기도의 염증과 과민반응에 대한 감수성은 유전적 소인이 있을 수 있다.

  5. 염증을 유발하는 환경요인

  6. ① 염증(inflammation) 항원이 비만세포에서 IgE 분자와 결합할 때, 생화학물질이 유리되어 기도 점막에서 염증반응이 시작된다. 이러한 반응으로 혈관 확장과 모세혈관 누출이 생기고, 분비물과 점액 생산이 증가되어 부종을 초래한다. 이것이 천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② 기관지 경련(Bronchospasm) 기도의 과잉 반응은 기관지 경련을 초래하여 기관지 내벽과 주변 평활근이 수축하고 기관지관이 좁아진다.

  7. ③ Aspirin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aspirin과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s)를 복용한 후에 천식이 유발될 수 있다. 이 약물들은 효소(cycl oxygenase)경로와 염증반응을 억제시키고 더 많은 arachidomin acid가 또 다른 효소(lipoxygenae)에 작용하여 이를 leukotriene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생화학물질)으로 전환시킨다.

  8. 점막의 부종에 의한 천식

  9. 2. 발생빈도 • 천식은 어느 연령에서나 시작될 수 있다. 환자의 1/2은 10세 이전에 발병하고 성인이 되어서 완화된다. 천식은 시골보다 도시에서 더 흔하다.

  10. 3. 임상증상

  11. 천식환자는 호흡곤란, 가슴 답답, 기침, 천명음(wheezing)등과 함께 다량의 점액을 분비한다. • 급성발작 동안 가장 흔한 증상은 천명음과 호흡수의 증가이다. 천명음은 보통 호기에 더 많이 나타난다. • 염증에 의해 천식이 발생한 경우는 기침이 증가한다. • 아토피성 또는 알레르기성 천식환자는 비염, 피부발진, 소양증 같은 다른 알레르기성 증상이 있을 수도 있다. • 천식의 환자는 대개 보조근육을 사용하여 호흡을 하고, 호흡할 때 흉골, 흉골 상부 절흔(suprasternal notch), 늑골 사이의 근육이 퇴축(retraction)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속적이거나 중증인 천식환자는 흉부의 전후 지름이 늘어나 술통형 가슴(barrel chest)을 관찰할 수 있다.

  12. 4. 진단검사

  13. 간호사는 가족 중에 천식이하 호흡기 문제를 가진 사람이 있는지 사정하고, 환자의 현재 또는 과거 흡연 습관에관해 물어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비흡연자의 천명음은 천식 진단에서 특히 중요한 증상이다. • 호흡곤란의 정도와 산소의 포화상태를 보기 위해 구강점막과 손톱 밑의 청색증을 관찰한다. • 검사실 검사로는 동맥혈 가스검사(ABGA), 폐 기능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흉부 X-선 검사가 있다.

  14. 동맥혈 가스검사(ABGA) • 환자의 산소공급상태를 알 수 있다. • 동맥혈 산소분압은 천식발작 동안 일반적으로 감소한다. • 천식 발작 후 PaCO2 가 상승하는 것은 CO2의 정체와 가스교환장애를 의미한다. • 아토피성 천식은 호산구수와 IgE농도가 증가한다.

  15. 폐 기능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 • 천식에 가장 명확한 검사로서 폐량계(spirometry)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 천식환자에게서 가장 중요한 PFT는 노력폐활량(FVC), 1초 내 강제호기용량(FEV1), 최대 호기유통속도(PERF)이다. • 천식환자는 정상인보다 FEV1과 PERF가 15~20 % 감소된다. 기관지확장제를 투여한후 이 수치가 12% 증가하면 천식으로 진단한다. • 기도과민반응은 기관지 수축을 유발하는 methacholine을 흡입시키고, 흡입 전후 FEV1과 PERF를 측정하여 검사한다.

  16. 흉부 X-선 검사 • 호흡곤란의 다른 원인을 배제하거나, 흉부 구조의 변화를 보기 위해 촬영할 수 있다. • Theophylline과 같은 약을 투여하는 경우, 치료 수준이 유지되는지 알기 위해 혈액검사를 한다.

  17. 5. 치료와 간호

  18. ① 약물요법 • 천식의 정도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는데 천식치료에는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성과 비스테로이드성 약물, 비만세포 안정제, leukotrienes의 유리나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등을 사용 한다. • 크게 두가지로 나누면 기관지 확장제와 소염제가 있다.

  19. 기관지 확장제(bronchodilators) • 세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며 염증작용에는 작용 하지 않는다. • 종류로는... • β2-작용제, • 콜린성 길항제(cholinergic antagon ists), • methylxanthines가 있다.

  20. 기관지 확장 흡입기 사용법 1. 사용 전에 뚜껑을 열고 흔든다. 2. 머리를 약간 뒤로 젖히고 충분히 숨을 내쉰다. 3. 입을 열고 마개를 입에서 3~5cm 정도 뗀다. 4. 입으로 심호흡을 하면서 1회 용량이 흡입되도록 흡입기를 누른다. 5. 3~5초간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쉰다. 6. 약이 폐에 깊숙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초간 숨을 참은 다음 천천히 내쉰다.

  21. 7. 다음 투약까지 적어도 1분간 기다린다. 8. 흡입기의 뚜껑을 덮는다. 9. 적어도 하루에 한 번씩 뚜껑을 열고 흡입기의 플라스틱 case와 cap을 흐르는 따뜻한 물에 씻는다.

  22. ★ 흡입기의 종류

  23. ★ 사용법 응급약물 예방약물

  24.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s) • 기도 내의 일반적인 염증반응과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감소시킨다. • 전신적으로 투여되는 약물은 부작용이 많으나, 흡입제로 투여되는 약물은 전신 부작용이 거의 없다. • 종류로는 corticosteroids, 흡입용 소염제(inhaled ant i-inflammatory agent), 비만세포 안정제(mast ce ll stabilizers), monoclonal 항체, leukotriene 길항제가 있다.

  25. ② 운동과 활동 • 전에는 규칙적인 운동이 중증의 천식환자에게 불가능하다고 여겼으나 지금은 치료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 유산소 운동은 심혈관 건강을 유지하고, 골격근 힘을 강화하며, 환기와 관류의 촉진을 보조한다.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시간을 조절한다.

  26. ③ 산소요법 • 산소요법은 급성 천식발작 동안에 마스크나 비강 캐뉼러, 기관내관을 통해 적용한다. • 고유통 속도나 고농도의 산소는 기관지 경련이 심하고 세기관지를 통한 산소의 흐름이 제한될 때 사용한다. • heliox(50%의 헤륨과 50%의 산소 혼합)는 기도저항을 감소시키고 폐포로 산소가 전달되도록 돕는다.

  27. 6. 천식지속상태 • 환자는 극심한 호흡곤란과 천명음을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호흡을 위해 보조근을 사용하고 경정맥이 확장된다. 이 때 의사는 정맥 내 수액, 강한 전신적 기관지 확장제,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steroid, epinephrine, 산소투여를 지시한다. ⇒ 간호사는 응급삽관을 준비하고 천명음이 감소되면 일반 천식 환자와 같은 간호를 시행한다.

  28. 7. 환자교육 • 천식은 대부분 간헐적인 질환으로 자가 간호를 통해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자가 간호 관리가 천식을 개선하여 건강관리 비용을 감소시킨다. 자가 간호를 위해 자가 치료와 추후관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29. ★ 천식 환자 교육 1. 천식의 유발 요인을 피한다(흡연, 연기, 먼지, 곰팡이, 갑작스런 온도 및 기압변화). 2. 천식유발이 가능한 약물을 피한다(아스피린, NSAIDs, 베타차단제). 3. 음식을 만들 때 MSG 나 metabisulfite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운동시 천식이 유발되면 기관지 경련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운동 30분 전에 기관지확장제를 분무한다. 5. 적정 용량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는 올바른 사용법에 따라 적용한다. 6. 적절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게 한다. 7.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완술을 배우게 한다. 8. 모든 침구는 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해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 9. 지시대로 최대 호기량이 이루어지는지 사정한다.

  30. 10. 다음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찾는다. - 손톱이나 입술이 회색이거나 파랗다. - 호흡, 보행, 말하기가 어렵다. - 목, 가슴, 늑골이 퇴축한다. - 비공이 확대된다. - - 약물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다. - 치료 직후 최대 호기량이 감소하거나 호기량 이 평소의 50%로 감소한다.

  31. 감사합니다!! 천식에 대해서 더 알고 싶은 분은 http://www.kaaf.org/ 한국천식알레르기 협회에 가보세요.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