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0

중국 도서관의 역사

중국 도서관의 역사. 문헌정보학과 리양. 목차. 전적 수장의 발달 중국 도서관 의 기원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 ( 藏書樓 ) 근 대 도서관 사업 중국의 부류 법. 전적 소장의 발달. 갑골문 기원전 11~ 기원전 8 세기 나타남 . 중국 하남성 안양시 에서 출토된 대량한 자료를 통해서 은나라의 역사를 대략 알 수 있다 . 갑골문이 주로 나라의 중요한 일이 기록하였다 . 그 때 점치는 정인와 기록물 관리하는 사람이 있었다 .

quickr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중국 도서관의 역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중국 도서관의 역사 문헌정보학과 리양

  2. 목차 • 전적 수장의 발달 • 중국 도서관 의 기원 •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 • 근대 도서관 사업 • 중국의 부류 법

  3. 전적 소장의 발달 • 갑골문기원전 11~기원전 8 세기 나타남 . 중국 하남성 안양시 에서 출토된 대량한 자료를 통해서 은나라의 역사를 대략 알 수 있다. • 갑골문이 주로 나라의 중요한 일이 기록하였다. 그 때 점치는 정인와 기록물 관리하는 사람이 있었다. • 출토 자료에 의하며 상나라 때 이미 역사를 기록한 史官들이 역사를 기록한 전집이나 책을 수집, 정리해서 관리하다.

  4. 중국도서관의 기원 • 주~춘추시대 策府、天府、盟府 、周室、守藏室등 장서 기관이 있었다. • 이들와 같은 장서기관에서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사람이 吏官이라고 한다. • 각 제후나라 마다 자국의 문서를 관리하는 吏官이 있다. • 노자(李耳) 가 周나라의 수장실의 吏官를 한다.

  5.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 • 고대 장서루 의 종류 • 고대 의 장서가 관부장서、개인장서、사찰장서、서원장서 등 이 있다. • 따라서 장서루도 다음과 같이 있다: • 官府藏书楼(관부장서루) • 私家藏书楼(개인장서루) • 寺观藏书楼 (철이나 도관 장서루) • 书院藏书楼( 서원 장서루)

  6. 관부장서루 • 간책 , 목간 (简册、帛)의 시대 . • 秦汉(진한) 의 궁정에서 전문적으로 전적을 관리하는 관원이 있다. • 진나라 말 분서경유 사건 문헌 다수 없어졌다. • 한나라 초 궁정에서 책을 소장하는 건물 만들었다.예를 들어 : 天禄阁、麒麟阁、石渠阁. • 한 나라 때 刘向이 관부장서를 정리 하여 장서 제도 보완 하였다. • 한나라 말 까지 兰台、东观등 기관이 조정의 장서와 교정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7.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天禄阁

  8. 봉건사회시대의 장서 • 사본시대 • 삼국시대 이후 도서가 종이로 된 것이 위주로 함. • 제작과 유통이편하고 도서의 양도 증가 하였다. • 장서기관이 많이 나타나는 환경이 구추 하였다. • 秘书监(비서감)설립,문예, 독서와 저술 、편집등 을 주관하다. • 晋진나라때 东观、仁寿阁,송나라 때 聪明馆등 장서 기관이 있었다.

  9. 봉건사회시대 장서 사업 • 印本书(인쇄본)의 시대 • 당나라 때 弘文馆、史馆、集贤书院 등 규모가 큰 장서기구가 있다. • 조판인쇄술이 발명된 후, 점차 민간에 널리 보급되었다. 5 대 이후, 인본서가 흥성하였다. • 송 ~청말 에 각종 인쇄 방법 이 나타났다. • 도서 생산 과 유통 전문화 하며 관각· 사각 · 방각 시스템 이 형성 되 는 중국 고대 고대 장서 체계 가 전 방면으로 발전한 중요 한 시기 이다. • 송 나라 초 에 5 대 10 국 관부 장서 의 바탕으로 거대 한 관부 소장서 체계 를 세웠다 .

  10.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 • 서기 970 년,崇文院(숭문원)에 건립되었다.숭문원에 있는 昭文书库、集贤书院 、史馆书库등 서고가 경, 사, 자, 집 으로 나누고 .진귀한 선본 자료를秘阁(비각)에서 보관한다. • 명청양대는 고대 장서 사업이 가장 번영하는 시기이다. • 명초명태조주원장은 원나라 남은도서를 수집하여文渊阁(문연각)에 두었다. • 명초 개인 장서는 원대의 유풍을 계승하여 발전하였다. • 송 이후에 개인장서는 각지에서 널리 퍼졌다.잔서들 주로 문인 창작에 보조 하였다.

  11. 私家藏书楼(개인장서루) • 장서를 이용하여 황실자손 및 장원들 양성하고 관부 장서 는 조정 중요 문화 학술 기구였다. • 관리와 문사는 모두 장서 많았다. • 양나라부임장에는 장서가 만권만 되어 있고, 여러 본이 많으니 관부의 장서 부족을 보충할 수 있다. • 불교장서는 불교의 유행과 도교의 흥성 때문에 발전할 수 있으며, 불교 사원은 역경 · 전경 지점이자 불교적 전적 소장곳이다. • 문인사대부 들의 개인 장서가 많고 다양하다.

  12.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개인 장서각---천일각)

  13.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개인 장서각---천일각)

  14. 봉건사회시대의 장서루(藏書樓)(개인 장서각 ---천일각)

  15. 寺观藏书楼 (철이나 도관 장서루) • 불교장서는 불교의 전레와 유행으로 인해 사찰도 경서를 번역하고 전발하고 불교 경전을 소장하는 곳이다. • 도교 도관에서 도 있다. • 전적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전해지지 않고, 도교궁, 관네서만 보존하였다. • .남북 조 시대 虚馆、通仙台、兴世馆华阳上下馆、北朝北周的玄都观,,通道观등 예시가 있다.

  16. 서원 장서루 • 서원은 송나라,원나라 시대 강학과 연구, 등여러가지 직무를 겸하여 있는 문화 교육 기관이였다. • 송대는白鹿书院,岳麓书院、 睢阳书院、嵩阳书院, 많은 책을 마련해 놓고 학자들과 생도들에게 사용한다. • 서원의 장서는 조정에서 하사해 주는 것도 있고 , 개인 기정, 구입한 것도 있다. • 소장서는 수집하는 장서각과 관리하는 인원이 있다. • 장서 이용 이 보편적 으로서원에서 수업, 저술 과 연구 활동 에 거대한 보조 역할 을 했 다.

  17. 근대 도서관 사업 • 19세기 중엽 이후 중국이 반식민지 사회로 되었다. • 봉건사회정치, 경제의 쇠퇴, 농민 전쟁 등 • 외국자본주의 세력침입 • 잇따라 개량 維新派(유신파) 인사들 공공 장서루 만들 자고 제안 하였다.

  18. 근대 도서관 사업 • 1898년에 양기초(梁启超) 등유신파 인사들이 학회藏书楼(장서루)를 만들었다. 학회 활동과 서양정치를 연구하는 장소로 사용하였다. • 각지역 학회 부설 장서루 설립하여 관리하는 제도와 열람제도 구비하였고 각종 열람 활동이 있었다. • 중국에 고유 된 학당과 비교해서 신식의 학당들 설립하면서 전문도서관도 • 1904년에 湖南(호남)、湖北(호베이) 등 지역에서 “도서관”으로 명명된省级公共图书馆(성금공공도서관이 나타났다.

  19. 광아서원장서루--- 冠冕楼(관면루)

  20. 근대 도서관 사업 • 1912 년, 여러 문화인들의 노력으로 경사도서관이 정식으로 개관되었다. 江翰(강한)이 경사도서관의 도서관 관장이 되었다. • 1928 년, 국립 북평도서관으로 개명하였다. • 1934 년 이미 40 만 권 의 관장도서가 있으며 이용자에 대상으로 하는 독서 서비스 등 제공했다.

  21. 근대 도서관 사업 • 1915 년 北洋政府(북양 정부)는 《 도서관 규정 》, 《 통속도서관 규정 》 을 반포하고 각 성,시의 도서관과 통속도서관의 건설을 촉진시켰다. • 1916 년 교육부 공보된 자료에 의하면 전국의 260 개의 도서관 중 22 개 “독립 도서관”,238 개 “통속도서관”으로 명명하였다. • 1932 년중국工农红军(공인 농민으로 구성된 군인)瑞金등 곳에서 중화소비에의 도서관 창립, 소구정부 근로자, 홍군관병, 농민, 대중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공산 주의 관련 도서 유통 에 종사하였다. • 상하이 등 대도시 에는 개미 도서관, 등 진보 문화 를 홍보하고 독자의 지도 를 강화 해 진보적 인 청년 을 확대 해 혁명 영향 을 확대 하는 취지 로 상해 학생, 시민 과 일부 직장인들 중 에 광범위하게 영향 을 미 친 다.

  22. 중국의 도서분류 법 • 중국고대 문헌의 분류법유형이 대략 다음과 같다: • 칭분법 • 사분법 • 십이분법 • 중국도서관 분류 법

  23. 예로 설명하면… • 칭분법:刘向、刘歆〈칠략七略〉、王俭〈七志〉、阮孝绪〈七录〉 • 사부분류법:당나라 때 魏征 쓴〈隋书.经集志〉중에 经、史、子、集 으로 책을 분류 하는 방식이 사용하였다. 또는 청나라 때 <四库全书总目〉십이 분류법 :郑樵〈通志.艺文略〉중국 에서 사분법 이 제일 큰

  24. 중국의 도서분류 법 • 칠분법으로엮어진 ≪칠략七略≫ • 중국의 제일 오랜된 목록이다. • 기원전 1세기 초기인 전한(前漢) 말기 성제(成帝)는 진시황의 분서갱유(焚書坑儒)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책을 볼 수 없게 되었음을 개탄하고, 세상에 남아 있는 책을 구하여 비부(祕府)에 간직하게 한 다음, 광록대부(光祿大夫) 유향(劉向) 등으로 하여금 교정하여 분류목록을 편찬하게 하였다. • ≪한서 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의하면, 집략(輯略)·육예략(六藝略)·제자략(諸子略)·시부략(詩賦略)·병서략(兵書略)·수술략(數術略)·방기략(方技略)의 칠분법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5. 중국의 도서분류 법 • 3세기 후기에 와서 사분법(四分法)이 쓰여지기 시작하여 육조시대에 성행하자 칠분법은 쇠퇴하였다. • 그 뒤 473년 송나라 왕검(王儉)의 ≪칠지 七志≫를 비롯하여 5세기 말기 양나라 원효서(阮孝緖)의 ≪칠록七錄≫과 수나라허선심(許善心)의 ≪칠림七林≫ 등이 나왔고, 또 청나라에 와서도 장학성(章學誠)이 ≪칠략≫을 모방하여 ≪화주예문지和州藝文志≫를 만들어 복고적인 시도를 하였으나 마침내 중단되고 말았다.

  26. 중국의 도서분류 법 • 사부분류법 • 동양학의 전주제 분야 자료를 일차적으로 경·사·자·집의 차례로 사분한 기초구분을 ‘부(部)’라 하고, 각 부를 일정한 전개의 기준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분한 것을 ‘유(類)’라 하며, 그 유 아래에서 필요에 따라 3차적으로 구분한 것을 ‘속(屬)’, 그리고 다시 세분한 것을 ‘세속(細屬)’이라 한다. • 사분법의 주제순은 ‘경(經)·자(子)·사(史)·집(集)‘이었고, 4세기 초기인 동진(東晉)의 원제(元帝) 때 이충(李充)이 엮은 장서목록에 이르러 비로소 ‘경·사·자·집‘의 순서로 되었다.

  27. 중국의 도서분류 법 • 근 현대 들어 와서 듀위십진분류법 과 도입 . • 1975년 10월 과학기술문헌출판사에서 <중국 도서관분류법>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CLC) 제1판이 출판. • 1999년 3월 북경도서관출판사에서 제4판이 출판. •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에서 중국도서관분류법이라고 명칭을 바꾸었다. • 2001년 여름 북경도서관출판사에서 제4판 전자판1.0 출판하였다.

  28. 중국의 도서분류 법 오대부류서열: 마르크스주의,레닌주의,모택동사상, 등소평이론철학, 종교사회과학자연과학종합성도서

  29. 중국의 도서분류 법 이에 다시 분류하면 A.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모택동사상, 등소평이론.B. 철학, 종교C. 사회과학총론D. 정치, 법률E. 군사F. 경제G. 문화, 과학, 교육, 체육H. 어언, 문자I. 문학J. 예술K. 역사, 지리(C-K) 사회과학N. 자연과학총론O. 수리과학과 화학P. 천문학, 지구과학Q. 생물과학R. 의약, 위생S. 농업과학T. 공업기술(17종의 공업부문 기술 포함)U. 교통운수V. 항공, 우주X. 환경과학, 안전과학(N-X)  자연과학Z. 종합도서

  30. 참고 자료 • https://www.xzbu.com/7/view-6790560.htm • 네이버 지식백과도서분류법[圖書分類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gzzxws.gov.cn/gzws/gzws/ml/hqcc/201107/t20110720_21511.htm중국 근대 교육 도서관 관련 자료 • http://egloos.zum.com/sinoan/v/4021408중국도서관분류법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