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동양 에서 떠올리는 용. 서양 에서 떠올리는 용 (dragon).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사실상 , ‘ 神罰 ’ 개념. 행위소적 의미 도출.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사실상 , ‘ 神罰 ’ 개념. 바다의 상상의 동물 ( 용 ) 이 하나의 실질적인 피해요소로 묘사

roa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2.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동양에서 떠올리는 용 서양에서 떠올리는 용(dragon)

  3.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사실상, ‘神罰’개념 행위소적 의미 도출

  4. 3. 이야기를 통해서 본 사람들의 용과 바다에 관한 인식 사실상, ‘神罰’개념 바다의 상상의 동물(용)이 하나의 실질적인 피해요소로 묘사 (‘청룡靑龍’이나 ‘흑룡黑龍’ 역시 바닷물의 색깔과 흡사) 예) 파도, 해일, 태풍 등 급격한 기상현상들 • 동해를 지키는 문무왕 • : 신라의 입장에서는 호국신, 왜구의 입장에서는 또한 바다로부터의 피해요소 • 수호신, 인간적인 용 • : 풍어, 완만한 조류 등으로 인한 혜택

  5. 4. 맺음말 용에 관한 어촌 동제신앙 설화의 네가지 유형 용과 바다와 관련된 설화를 통해 읽을 수 있는 문화현상 국가 수호신으로서의 용 마을 수호신으로서의 용 괴롭히는 용 입체적 성격의 용 다양성 생업과 직결시켜서 설화가 발전- 어촌생업의 특성상 풍어와 안전은 반드시 선행조건으로 이루어 져야 하는 요소 용에 대한 이야기가 결국어민들의 안전과 풍어와 밀착되어 있다 신이 좌정한 곳이 곧신의 직능을 설명해 준다 용과 바다의 관련성은 더욱 짙어지면서 용과 바다와 관련된 설화는 더욱더 발전했을 것 어촌 특유의 생업과 어촌 지역 당신화와 밀접 인간들이 가진 자연현상의 근거에 대한 신화적 상상력 부여

  6. Sea you again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