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5

전기영동을 이용한 식물색소 분리하기

전기영동을 이용한 식물색소 분리하기. 연구목적 : 전기영동을 이용해 식물색소를 분리할 수 있다. 전기영동이란 ??. 전기영동이란 말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하를 띤 입자가 이동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 따라서 겔 전기영동은 전류를 흘려주어서 전하를 가진 입자가 겔 내부에서 이동하여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 DNA 와 단백질은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기를 걸어주면 각 분자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전장을 이동하게 된다.

rupert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전기영동을 이용한 식물색소 분리하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전기영동을 이용한 식물색소 분리하기 연구목적 : 전기영동을 이용해 식물색소를 분리할 수 있다.

  2. 전기영동이란?? • 전기영동이란 말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하를 띤 입자가 이동하는 것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따라서 겔 전기영동은 전류를 흘려주어서 전하를 가진 입자가 겔 내부에서 이동하여 분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 DNA와 단백질은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기를 걸어주면 각 분자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전장을 이동하게 된다.

  3. 겔에 홈을 만들어 DNA나 RNA, 단백질 등의 분자를 집어넣고 전류를 흘려주면 음전하를 띤 이들 분자들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겔 안에서 이동하게 된다. 같은 크기를 가진 분자들은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여 움직이게 되는데 만약 수조개의 동일한 분자들을 전기영동 했다면 겔을 염색하였을 때 이것이 하나의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TAE buffer • TAE buffer는 말 그대로 pH를 안정시키는 완충용액이다. 전기영동을 하면 DNA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그 이동시키는 운반체들이 바로 이온들이며 그 이온을 buffer가 공급해준다.

  5. 식물색소란?? • 식물에 분포해 있는 색소를 식물색소라고 한다. 식물색소는 엽록소·카로티노이드·플라보노이드 3군의 색소가 널리 퍼져있다. 엽록소는 식물 잎의 녹색 색소인데 광합성색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식물색소의 종류

  7. TAE buffer 만들기 • 50X TAE buffer 40ml와 증류수 1960ml를 잘 섞는다.

  8. 0.8% 아가로즈 겔 만들기 • 삼각플라스크에 아가로즈 분말 1.6g과 미리 만들어둔 TAE buffer 200ml를 잘 섞는다.

  9. 삼각플라스크 입구를 랩으로 막고 구멍을 몇 개 뚫은 후, 전자레인지에서 5분 정도 가열한다. (용액이 끓기 시작할 때마다 플라스크를 흔들고 다시 가열해서 용액이 완전히 투명해질 때까지 가열한다.

  10. 완전히 액체상태가 된 아가로즈 용액을 겔 트레이에 넣고 굳힌다.

  11. 식물에서 즙을 추출하기 <1> 귤 → 막자사발에 넣고 즙이 나올 때까지 간다. 하지만 귤껍질은 즙이 잘 나오지 않아서 곱게 간 후에 거즈로 싸서 짰다. 즙을 글리세롤과 함께 E-튜브에 넣어 관리한다.

  12. <2> 사과 → 사과를 막자사발에 넣고 간다. 사과는 수분이 많은 과일이기 때문에 즙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즙은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3. <3> 돌나물 → 돌나물을 막자사발에 넣고 갈아서 즙을 추출한다. 그리고 그 즙은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4. <4> 컴퓨터용 사인펜 →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어서 실험해보았다. E- 튜브에 글리세롤 100㎕를 넣어 사인펜을 담가 잉크를 푼다.

  15. <5> 당근 → 믹서기에 당근을 잘게 갈고 그 것을 거즈에 싸서 즙을 짜낸다. (믹서기에 갈은 후에 막자사발에서 즙을 짜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그래서 거즈에 싸서 즙을 냈다.) 즙은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6. <6> 노란색 파프리카 → 노란색 파프리카를 막자사발에 넣고 갈아서 즙을 짜낸다. 짜낸 즙은 거름종이에 거른 후에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7. <7> 주황색 파프리카 → 주황색 파프리카를 막자사발에 넣고 갈아서 즙을 짜낸다. 짜낸 즙은 거름종이에 거른 후에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8. <8> 커피 →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어서 실험해보았다. 커피에 증류수를 조금 타서 용해시키고 거름종이에 거른 후, 그 용액을 글리세롤 100㎕와 섞어 E- 튜브에 관리한다.

  19. 아가로즈 겔에 식물의 즙 로딩시키기 • 아가로즈 겔의 comb를 빼낸 후, 피펫을 이용해 그 공간에 각각 다른 식물의 즙을 집어넣는다. 이 때, 아가로즈 겔의 공간에는 각각 20ml씩 로딩한다.

  20. 전기영동 • 직류전원장치를 아가로즈 겔에 연결한 후, 전기영동을 시작한다. • 실험할 때, 전압은 40v였고 20분간 진행됬다.

  21. 실험의 정확성을 위해 같은 조건으로 한 번 더 실험을 했으나 결과는 위의 실험결과와 같았다 • 단, 두 번째 실험에서 귤은 재료가 부족해 귤은 제외했다.

  22. 실험 결과 •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들이 (+)쪽으로 이동했다. 대조군은 (+)전하를 띤 색소는 (-)쪽으로, (-)전하를 띤 색소는 (+)쪽으로 이동했다. • 실험군들 중에서는 컴퓨터용 사인펜이 1.4㎝, 커피가 1.6㎝, 사과가 1.4㎝로 이 세 가지가 가장 많이 이동했는데 이 셋 중에서는 컴퓨터용 사인펜이 가장 선명한 색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사과는 중간 부분이 많이 흐렸다.

  23. 나머지 실험군들은 많이 이동하지는 않았지만 (+)쪽으로 이동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모든 실험군이 (-)전하를 띠고 있으며, 이동거리가 다른 것으로 보아 색소들이 지닌 성질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 ↓ ↓ ↓ ↓ ↓ ↑ ↓ ↓ ↓ ↓

  24. 결론 및 제언 • 내가 실험한 실험군 중에서 컴퓨터용 사인펜과 커피의 색소 이동속도가 가장 빠르고 그 밖의 것들은 이 둘에 비해 이동속도가 느리다. 하지만 모든 색소가 이동속도가 각각 다르다는 점과 실험군의 색소가 (+)쪽으로 이동했으며, 이는 색소들이 (-)전하를 띠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색소는 자기가 띠는 전하의 반대 전하의 쪽으로 이동한 다는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식물색소는 각각의 성질이 다르며 전기영동을 통해 미지의 식물의 즙을 어떤 식물인지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까지 하게 되었다.

  25.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