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8

하드웨어 개요 및 구조

하드웨어 개요 및 구조. SPARCS 11 undead. PC 의 기본 구성. 출력장치 모니터 입력장치 마우스 키보드 기타 케이스 파워. 제어장치 메인보 드 연산장치 CPU GPU 기억장치 RAM HDD SDD. CPU. AMD Centaur Technology Elbrus International IDT Intel National Semiconductor Sandpile SIS ST Microelectronics Texas Instruments Transmeta

sancho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하드웨어 개요 및 구조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하드웨어 개요 및 구조 SPARCS 11 undead

  2. PC의 기본 구성 • 출력장치 • 모니터 • 입력장치 • 마우스 • 키보드 • 기타 • 케이스 • 파워 • 제어장치 • 메인보드 • 연산장치 • CPU • GPU • 기억장치 • RAM • HDD • SDD

  3. CPU • AMD • Centaur Technology • Elbrus International • IDT • Intel • National Semiconductor • Sandpile • SIS • ST Microelectronics • Texas Instruments • Transmeta • ZF Micro Devices

  4. CPU의 역사

  5. Intel 4004 • 1971~1981 • 계산기에 사용됨. • 108~740 kHz • 4-bit • 초당 46300~92600 연산 수행 • Federico Faggin

  6. Intel 8008 • 1972~1983 • 0.2~0.8 MHz • 8-bit • 초당 36000~80000 연산 수행 • 4-bit 프로세서인 4004/4040보다 느리지만 8-bit 칩이기 때문에 RAM을 더 빨리/많이 access할 수 있음

  7. Intel 8080 • 1974 • 2 MHz max. clock • 8008의 후속모델 • 같은 instruction set을 사용, source code compatible • 기본적인 기능의 16-bit • 64 kB메모리 지원

  8. Intel 8086 • 1978~1990s • 5MHz~10MHz • 16-bit 풀 기능 • 첫 x86 디자인 • Signed integers • Base offset addressing • Self-repeating operations • PASCAL 등의 ALGOL 군 언어 지원

  9. Intel 80186 • 1987~2007 • 6~25MHz • 이하 생략한다.

  10. Intel 80286 • 1982~1990s • 6~25 MHz • 멀티유저 시스템/멀티태스킹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디자인 됨 • Protected mode • 향상된 산술연산

  11. Intel 80386 • 1985~2007 • 최초의 32-bit CPU • 12~40 MHz

  12. 4004 4040 8008 8080 8086 80186 80286 80386 …

  13. Intel 80486 • 1989~2007 • 16 MHz ~ 100 MHz

  14. Intel Pentium P5 • 1993~1999 • 60~300 MHz • Pentium with MMX Technology • FDIV bug

  15. Intel P6 • Celeron • Pentium Pro (150 MHz to 200 MHz) • Pentium II Overdrive • Pentium II (233 MHz to 450 MHz) • Pentium II Xeon • Pentium III (400MHz to 1.4 GHz) • Pentium III Xeon

  16. NetBurst • Pentium 4 (1.3 GHz to 3.8 GHz) • Pentium D (2.66 GHz to 3.73 GHz) • 64-bit x86-64 듀얼코어 발열문제;; • AMD Athlon 64x2 • Hyper pipelined Technology (파이프라인이 10->20) • Rapid Execution engine (ALU가 2개) • Execution trace cache (마이크로연산을 캐시로 저장해서 이중으로 연산하는 일이 없도록 함) AMD가 듀얼코어CPU를 먼저 내놓으므로 주도권을 얻게됨

  17. Core • Core Solo • Core Duo • Core 2 Solo • Core 2 Duo • Core 2 Quad • Core 2 Extreme • LGA 775 socket

  18. Nehalem • Core i3/i5 Clarkdale – 1156 socket, 2.8~3.46 GHz, 2 cores • Core i5/i7 Lynnfield – 1156 socket, 2.40~3.06 GHz, 4 cores • Core i7 Bloomfield – 1366 socket, 2.66~3.33 GHz, 4 cores • 메모리가 프로세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음, DDR3만 지원함 • 전면부 버스가 QuickPath로 대체됨. 마더보드는QuickPath를 지원해야함 • L3 캐쉬를 모든 코어가 공유, L1/L2 코어 고유 • 터보부스트 기술 적용  미리 설정된 온도/전류적 제한 안에서 혼자 알아서 오버클락 • NetBurst에서 선보였던 하이퍼스레딩이 다시 등장함

  19. Sandy Bridge • ~3.6 GHz • LGA 1155 socket • Intel Core i-Series (2nd Generation) • 32kB instr. + 32kB data L1 cache, 256kB L2 cache per core • Shared L3 cache (including graphic) • 초월함수, AES 암호화, SHA-1 해싱에 대한 성능 향상 • 영상 인코딩/디코딩에 대한 하드웨어적 지원 • 하이퍼스레딩으로 최대 8개의 물리적 코어와 16개의 논리적 코어 지원 • 내장 그래픽 지원

  20. Ivy Bridge • 2.5 GHz ~ 3.5 GHz • 최대 50% 전력소모 감소 • PCI Express 3.0 지원 • Intel HD Graphics가 DirectX 11, OpenGL 3.1, OpenCL 1.1 지원. (OpenGL 4.0 예정) • 새로운 임의수 생성자! • Sandy Bridge와 비교했을때: • 5%~15% CPU 성능 증가 • 25%~68% 내장 GPU 성능 증가 • 오버클럭시 동일 전력설정 상에서 20도 가량 더 높음

  21. 인텔의 독주, 그 다음은? • Haswell (Mar~Jun 2013? / 2011 Intel Developer Forum) • 1150 소켓 • 새로운 캐쉬 메모리 디자인 • 썬더볼트 지원 • 전력소모감소 • Broadwell (2014?) • Skylake (2015?) • Skymont (2016?) 인텔의 독주는 아마 계속될 겁니다. 쭈욱~

  22. Xeon • 서버, 워크스테이션, 임베디드 시스템용 CPU 제품군 • PC군보다 큰 Cache Memory • 안정적인 성능 • 1998~현재 (P6 Pentium II부터 존재) • 메인보드가 비쌈

  23. Intel Tick-Tock

  24. CPU 용어

  25. CPU 용어 • Core: 실질적 CPU로 각종 논리적 연산을 수행함. • MultiCore CPU: 말 그대로Core가 여러 개인 CPU • Hyperthreading: 한 개의 코어에서 리소스를 잘 분배해서 가상으로 두 개의 코어인 것 처럼 동작함. 초창기 NetBurst아키텍처 시절엔 효율이 좋지 않아 사장되었지만 Nehalem 아키텍처에서 부활 • Cache: CPU의 내장 RAM. Core가 빠르게 접근 할 수 있으므로 클수록 CPU 자체가 빠르지만 비싸다.

  26. CPU 용어 • Socket: CPU가 메모리에 꽂히는 공간. 핀의 개수와 동일. 메인보드 CPU 호환성 안보고 사면 망함 • 제조 공정: CPU제조 공정의 크기. 작을 수록 소모전력이 줄어들고 발열이 줄어든다. • Stepping: CPU 구조의 미세한 변화 혹은 공정의 변화에 따른 제품의 차이를 기록한 것.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을 때 문제를 수정한 후 Stepping 코드를 올리는 방식. • TDP(Thermal Design Power): 열 설계 전력. 최대 전력소비 시에 발생하는 열의 양으로서 낮을 수록 좋다.

  27. CPU 용어 • Clock: CPU의 작동 속도.FSB에Multiplier를 곱한 값. 보통 높을수록 빠르지만 Cache, 메모리 컨트롤러에따라 성능이 다를 수도 있다. • FSB (Front-Side Bus): CPU와 RAM이통신하는 통로. (오른쪽 Core Speed가제 FSB rate입니다.) • Multiplier: 내부 CPU clock rate와 지원 clock의 비. 저전력 환경시 CPU 사용량이 적으면 낮아질 수도 있음

  28. Mainboard

  29. Ne Nehalem: BlookField, LynnField QPI 적용 Pre-Nehalem

  30. Sandy Bridge DMI 적용

  31. Mainboard – Specification

  32. Mainboard for servers

  33. RAM • 어느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든지 접근하는데 동일한 시간이 걸리는 휘발성 메모리 • 컴퓨터의 주 기억장치로 사용됨

  34. DDR (Double Data Rate) • 동일 클럭에서 대역폭을 2배로 늘려준다. • DDR 버전에 따라 물리적인 홈의 위치, 클럭 속도, 파이프라이닝 깊이가 다르다.

  35. Memory wall이란? • 나날이 증가하는 CPU 내부 속도와 외부 속도의 차이 • 제한된 chip 사이에 bandwidth • 1986~2000년도사이 CPU 속도는 연평균 55% 증가했지만 메모리 속도는 불과 10% • 결과적으로 병목현상 초래

  36. Multi-channel memory architecture • DRAM과 CPU의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 DRAM과 memory controller 사이에 채널을 추가한다 • Dual-Channel: 2개의 채널 • Triple-Channel: 3개의 채널 • Intel Core i7-900 이상/Xeon, LGA 1377 • 최대 25.6 GB/s 전송률빠른 시스템 퍼포먼스+ /watt 효율 • 제한적 환경 (3-Channel 슬롯, 동일한 메모리 용량/속도) • Quadruple-Channel • Intel Core i7과 Intel Xeon 몇몇 모델, LGA 2011 • Triple-Channel과 비슷하게 제한된 환경.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면 downgrade operation

  37. Memory timings • DRAM 성능의 측정도 • 숫자가 작을수록 반응시간이 짧으므로 빠른 RAM • 오버클럭으로 낮추기도 하지만 과도하게 낮추면 신호를 놓쳐 시스템이 불안정해짐

  38. Error-Correcting Code Memory •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전자기적 간섭 때문에 DRAM의 특정 bit의 값이 다른 방향으로 뒤집힐 수 있다. • ECC를 이용해 이를 바로잡을 수 있다. (Hamming code) • PC에서는 RAM의 성능이 좋기 때문에 비교적 memory corruption의 여파가 미미하지만, 안정성을 추구하는 서버에서는 사용된다.

  39. Hard Disk Drive • Platter – 데이터가 기록되는 곳 • Spindle – Platter를 회전시킴 • Head – Platter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전자석 서버용 HDD? • 제품 군이 따로 있지는 않다. • 보통 핫스왑(서비스 중단 없이 하드웨어를 추가/교체)을 지원한다. • 시스템용 OS는 서버 내부에 • RAID용 HDD는 전면에서 삽입

  40. Solid-State Drive • Flash memory 기반 • 속도가 빠름 • 충격에 강함 • HDD와는 달리 실제로 동작하는 부품이 없음 (기계식  전자식) • 데이터 기록/삭제 횟수가 한정되어 있음 (사용 수명 有) • PC용으로 사용하려면 부팅디스크로 사용하되, I/O가 잦은 캐쉬, 임시 파일 폴더 등은 HDD로 옮기는게 좋다.

  41. RAID 디스크 어레이 기술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독립 디스크의 여분 배열) • 디스크 어레이란 각각의 하드디스크를 굴비 엮듯 하나로 엮어 하나의 논리 드라이브로 구성하는 기술을 말한다. • 원래는 적은 용량의 하드에 큰 용량의 자료를 담으려고 응용됨. • 하드디스크 용량이 점차 커지면서 저장 용량이 아닌 데이터 보호 및 디스크 성능 문제 때문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짐 • 표준 RAID 레벨

  42. RAID 구성 방식 하드웨어적 RAID • RAID Chip에 기반함 • 고비용 • 핫스왑지원 • 부트 파티션으로 사용 가능 • RAID 5,6단계에서 뛰어난 성능 • 중요한 서비스라면 하드웨어 RAID를 구성하는 편이 낫다. 소프트웨어적 RAID • CPU 성능에 기반함 • 저비용 • RAID 0, 1단계에서 하드웨어보다 나은 성능을 보여줄 수도 있음 • 가정용, 소규모 기업용

  43. RAID 0 • Parity가 없는 striping된 세트. 적어도 2개의 디스크 필요. • Block 단위 스트라이핑 • 패리티가 없으므로 한 군데에서라도 에러가 발생하면전체 데이터의 손실로 이어짐 • 많은 디스크가 연결될 수록 데이터 손실의 위험이 커짐 • 100개의 데이터를 쓰는데 10초가 걸리는 파일을 하드디스크 두 개를 하나로 묶어 50개 씩 나누어 담으면 저장/읽기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원리. • 하드디스크 용량이 다를 경우 용량이 적은 것이 주도권을 쥐므로 용량이 다르면 제 용량을 전부 쓰지 못함  같은 용량을 두 개 쓰는 것이 좋음

  44. RAID 1 • Parity/Stripe가 없는 Mirroring된 세트. 최소 2개의 디스크 • Block 단위 Mirroring • 데이터 용량보다 읽기 속도가 중시될 때 유용 • 분할 탐색을 지원하는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OS에서읽기 성능 향상 • 쓰기 시도 시 약간의 성능 저하 •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가 기능하는 한 배열이 동작함  안정성

  45. RAID 2 • Bit 단위 striping • Hamming-code parity • 적어도 3개 이상의 드라이브 • Parity에 따라 복구가능 개수가 달라짐 • 디스크 소모량이 큼 • 표준 RAID 레벨 중 유일하게 사용되지 않음 • 상업적인 응용처가 전무

  46. RAID 3 • RAID 2의 개선형 • Byte 단위 striping • 하나의 드라이브를 Parity 관리에 일임(적어도 3개의 디스크) • 하나의 디스크 오류까지 복구 가능 • 여러 개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음 • 기계적으로 동시에 읽어야함(head가 같이 움직임) • Sequential read/write에 적합 • Random access의 경우에는 hell • 제한적인 용도 때문에 거의 실용되지 않음

  47. RAID 4 • RAID 3의 개선형 • Block 단위 striping, parity 일임 • 최소 3개의 디스크 • 하나의 디스크 오류까지 복구 가능 • 다중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 • 쓰기 시도 시 parity disk에 대한 부하/병목현상 • 역시 자주 볼 수 없는 RAID 기법

  48. RAID 5 • Block 단위 striping, 분산된 parity • 최소 3개의 디스크 • 1개의 디스크 오류까지 복구 가능 • Parity가 분산되었으므로 Parity disk에 대한 부하도 없고, 잘 분산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쾌적하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