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경제영어 2013

경제영어 2013. Fox 뉴스 동영상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경제영어 추가자료. 확인하고픈 몇 가지 사항들. 주식시장 얼마나 잘 나가고 있나 ? 왜 잘나가는가 ? 연준의 양적 완화정책이 뭐길래 ? 양적 완화정책 …. 과연 실물경제를 개선시키고 있는가 ? 고용은 과연 얼마나 개선되었나 ? 왜 의견이 분분한가 ? 경제활동참가율이란 무엇인가 ? 5) 미국의 빈곤률 (poverty rate) 은 과연 높아만 가고 있나 ?. 미국의 주가 추이.

seli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경제영어 2013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경제영어 2013 Fox 뉴스 동영상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경제영어 추가자료

  2. 확인하고픈 몇 가지 사항들 주식시장 얼마나 잘 나가고 있나? 왜 잘나가는가? 연준의양적 완화정책이 뭐길래? 양적 완화정책…. 과연 실물경제를 개선시키고 있는가? 고용은 과연 얼마나 개선되었나? 왜 의견이 분분한가? 경제활동참가율이란 무엇인가? 5) 미국의 빈곤률(poverty rate)은 과연 높아만 가고 있나?

  3. 미국의 주가 추이 (Dow Jones 산업평균지수; 00년 1월 – 13년 4월) 주) 뉴욕 증권거래소 (NYSE: New York Stock Exchange)의 대표지수로 GE, GM, IBM, AT&T 등 우량주(blue chip) 30개 종목의 산술평균임.

  4. 미국의 주가 최근 추이 (Dow Jones 산업평균지수; 08년 1월 2일 – 13년 5월 17일)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5. 미국의 주가 추이 (S&P 500 지수; 90년 1월 – 2013년 4월) 주)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미국의 Standard and Poor’s사가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로 NYSE 와 NASDAQ에 상장된 500개 우량종목을 대상으로 함. 시가총액식으로 작성되며 미국 상장 주식의 약 75-80%를 반영.

  6. Case-Schiller 주택가격지수 (1990년 1월– 2013년 4월, 2000년 1월=100)

  7. 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 (00년 1월– 2013년 4월; %) 주) 원시계열에 대한 전년동월 대비 증가율임.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8. 미국 GDP 성장률 추이 (05년 1분기– 2013년 1분기; % 연율)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9. 물가는 하향 안정세이나 경기침체는 가속화되고 있을 때 경기활성화를 위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전통적인 팽창통화정책 (conventional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1) 은행을 상대로 2) 그들이 보유한 단기 국공채를 3) 공개시장매입 : 단기 국채 매입  은행의 지준 증가  단기정책금리(은행간 대출금리) 하락  단기금리 하락  중장기금리하락  가계 및 기업대출증대  소비 및 투자 증대

  10. 극심한 경기부진 상황이 이어지면서 높은 불확실성 (uncertainly) 과 이로 인한 높은 대출리스크(loan risk)로 단기금리  장기금리로 이어지는 금리전달경로가 작동되지 아니하고 2) 가계의 소비(내구재 소비)와 기업의 투자가 금리변화에 대해 매우 낮은 탄력성을 보이는데다 3) 단기금리가 이미 0근처의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면 (즉,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하나? r MD MS MS’ 0

  11. 이 경우 금리조절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정책수행방식을 벗어나 ‘물량’으로 밀어붙이는 통화정책을 강구할 수 있는데 이를 양적 완화(QE; Quantitative Easing)정책이라고함. 금융기관들간의 신용경색 현상이 극심하던 2009년 연준이 실험적으로 시행하기 시작. 이전에 볼 수 없던 정책수행방식 이므로 ‘비전통적인(unconventional) 정책’으로 불려짐. 연준의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 1) 은행을 포함한 모든 금융기관을 상대로 2) 그들이 보유한 장기국채, MBS(Mortgage-Backed Securities; 주택저당대출유동화증권) 등을 3) 직접 공개시장 매입 4) 금리(특히 단기금리)에 연연하기 보다 통화량 증가 규모와 기간을 사전 설계하고 집행함.

  12. 장기국채 매입의 기대효과  은행의 지준 증가 & 장기국채가격상승  은행의 대출태도 완화 & 장기금리와 모기지금리 하락  가계대출, 주택대출, 기업대출증가  소비 및 투자 증대 MBS 매입 (QE3의 경우)의 기대효과  주택대출금리 하락  주택시장활성화  주택가격회복  소비증가 (자산효과)  경기회복  고용증대 자산효과(부의 효과; wealth effect) 양적 완화정책  장기금리 하락  위험자산 선호도 상승  주식시장으로의 쏠림 현상  주가상승  자산가치 상승  소비증대  경기활성화  고용증대

  13. 연방기금금리 추이 (2000년 1월 – 2013년 4월, %) 제로금리의 지속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14. 예금은행 초과지준 추이 (2000년 1월 – 2013년 4월, 10억$) 양적 완화로 공급된 유동성의 약 75-80% 정도는 초과지준의 형태로 은행권에 머물고 있음. 연준은 지준에 대해 현재 0.25%의 이자(支準附利)를 지급 QE4 QE3 QE2 QE1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15. 예금은행 가계 및 기업대출 잔액 추이 (2000년 1월 – 2013년 4월, 10억$) 양적 완화로 공급된 유동성의 약20% 내외 만이 대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16. 우리나라의 실업률 통계 ▶전국 약 32,000개표본가구를 대상으로 통계청이 매월 실시하는 ‘경제활동 인구조사(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를 통해 작성됨. 직원의 방문 면접 조사가 주된 조사방법. ▶만 15세 이상인구(population aged 15 & over)를 대상 으로 작성됨(단, 군인,전투경찰, 공익근무요원, 교도소 수감자, 외국인 등은 제외). 생산가능인구(working age population)의 개념이며 영어로는 흔히 ‘noninstitutionalized civilian population 15 years of age and over(보호시설 생활자를 제외한 15세 이상 민간인 인구’라고 함.

  17. ▶15세 이상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해 경제활동인구(labor force 또는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라고 함. 재화와용역을 생산하기 위하여 노동력을 제공한 사람과 제공할 의사와 능력은 있지만 기준시간 이상 제공할 기회를 얻지 못한 사람을 포괄하는 개념임. ▶학생이나 전업주부와 같이 취업자도 아니고 실업자도 아닌 만 15세 이상인 자는 비경제활동인구(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또는 persons not in the labor force)로 분류됨.

  18.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employed person)는 1)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2) 직접적인 이득이나 수입을 얻는 바 없더라도 가족이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에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 3) 직장 또는 사업체가 있지만 질병, 휴가, 연가, 노동 쟁의 등으로 조사대사 주간 중 일하지 못한 일시 휴직자를 모두 포함함.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unemployed person)는 1) 지난 4주 동안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지만 2) 조사대상 1주 동안 1시간 이상 수입을 목적으로 한 일을 하지 못했고 3) 즉시 취업이 가능한 자로 정의됨.

  19. 수입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주당 18시간 이상 무급 가족종사자 취업자 일시 휴직자 경제 활동 인구 실업자: 15세 이상 인구 전업주부 학생 비경제활동인구 입대 대기/ 결혼준비 연로자/심신장애자 기타 (구직단념자 등) 조사대상 기간 중적극구직활동 했으나 수입 있는 일을하지 못함. 일자리 주어지면 즉시취업 가능. 진학준비, 취업준비

  20. LFPR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21.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구성 (2013년 4월 현재) 총인구: 5,022만 명 자료: 통계청

  22. 경제활동인구조사 요약 (2013년 4월 현재) 15세 이상 인구 4,200만 2천 경제활동인구 2,592만 8천 취업자 2,510만 3천 실업자 82만 5천 비경제활동인구 1,607만 4천 비조사대상 인구 821만 8천 (15세 미만 인구에군인, 전투경찰, 공익요원, 재소자 등 포함) 총인구 5,022만 자료: 통계청

  23. ▶취업자 중 불완전 취업자(파트타임 근로자)가 많을수록,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활동 포기자가 많을 수록 공식 실업률 통계는 실제 실업률을 제대로 반영 못함. ▶2005년 6월부터 통계청은 구직기간을 1주로 하는 기존의 실업률 통계와 함께 구직기간을 4주로 하는 실업률도 동시에 발표하고 있음.

  24. 우리나라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성별 비교 (1948년 – 2012년; %) 남자 전체 여자 자료: 통계청

  25. 우리나라 연간실업률 장기 추이 (1969 – 2012; %) 98년 6.8% 99년 6.3% 80년 5.2% 3.2%(2012) 주) 1999년까지는 1주 기준, 2000년부터는 4주기준 실업률임. 자료: 통계청

  26. 우리나라 실업률의 최근 추이 (1999년 6월 – 2013년 4월; %) 자료: 통계청

  27. 미국의 실업률 통계 (공식실업률)

  28. 경계선 경제활동인구(marginally attached to the labor force)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4주 동안에는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않았지만 전년도에는 구직활동을 했었고 현재 취업할 의사가 있으며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들을 말함. ☞지난 4주 동안 구직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아니한 이유가 1) 취업전망을 비관적으로 보았기 때문이면 ‘구직단념자 (discouraged workers)’로 2) 학교재학이나 취업연수, 가사나 육아, 질병 등이라면 ‘기타 경계선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됨.

  29. ☞불완전 취업자와 구직단념자를 모두 포괄하므로 체감실업률에 가장 근접하는 실업률지표임. ☞생계형 파트타임근로자는 ‘경제적 이유로 인한 파트타임 근로자(persons employed part time for economic reasons)’ 또는 ‘비자발적 파트파임 근로자(involuntary part-time workers)’ 라고도 함.

  30. 미국 실업률 비교 (2000년 1월– 2013년 4월; 계절조정, %) U6 U5 U4 U2 U3 U1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1. 미국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성별비교 (1948년 – 2012년; %) 남자 전체 여자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2. 미국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1948년 1월 – 2013년 4월; %)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3. 소비와 미국경제 ▶총수요(Aggregate Demand)는 단기적으로 경기흐름을 좌우하는 추진축. ▫총수요 지속증가⇒생산⇒호황(Boom) 총수요 지속감소⇒생산⇒경기침체(Recession) ▶총수요는 소비지출수요, 투자지출수요, 정부구매지출 수요, 순수출수요의 합 ▫총수요 = C + I + G + (X – M) 70% 차지 30% 차지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 소득감소  소비감소  경기부진

  34. 미국 연간 실업률 장기 추이 (1930 - 2012; %) 25.2%(1933) The Great Depression 8.1%(2012)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5. 미국 월간 실업률 추이 (48년 1월– 2013년 4월; %; 계절조정) 82년 11/12월: 10.8% 7.5%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6. 미국 비농가 취업자 수와 월간 일자리 창출 추이 (2000년 1월 – 2013년 4월; 천명) Source: FRED(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37. 미국 노동부(Labor Department)의 Jobs Report (고용동향 보고서) 발표 방식 ▶매월 첫 주에 지난 달의 고용동향을 발표함. 실업률과 함께 취업자수 및 취업자수의 순증(월간 일자리 창출수치; monthly jobs added)은 항상 언론과 정부의주목대상임. ▶이 때 지난 달의 일자리 창출 수치는 잠정치(initial estimate)임. 그 이유는 표본인 14만 5천의 고용주들 중 대략 75% 정도만이 제 시간에 설문지 응답을 하기 때문. 두 달 정도 경과한 후에야 약 95%정도의 응답률에 도달. 따라서 2차례 더 수정치(revised estimate)를 발표. ▶매달 지난 달 잠정치와 함께 그 이전 2개월에 대한 수정치를 동시에 발표함.

  38. Source: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http://aspe.hhs.gov/hsp/12/PovertyAndIncomeEst/ib.shtml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