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혈액형이란

혈액형이란. 2011.5.25 박병훈. 혈액형의 정체. 어떤 사람의 혈액형은 A 형 , 또 어떤 사람은 B 형 , 그리고 어떤 사람은 AB 형이거나 O 형 입니다 사람들의 얼굴 생김새가 다양하고 금발머리 , 곱슬머리 , 검은머리 등 머리카락의 색깔과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사실 이 지구상에 존재 하 는 수많은 생명체들은 모두 다양성 (diversity ) 을 보이고 있습니다 혈액형들도 다양성을 나타내는 형질 중에 하나 입니다

taim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혈액형이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혈액형이란 2011.5.25 박병훈

  2. 혈액형의 정체 어떤 사람의 혈액형은 A형, 또 어떤 사람은 B형, 그리고 어떤 사람은 AB형이거나 O형 입니다 사람들의 얼굴 생김새가 다양하고 금발머리, 곱슬머리, 검은머리 등 머리카락의 색깔과 형태가 다양한 것처럼 사실 이 지구상에 존재 하 는 수많은 생명체들은 모두 다양성 (diversity )을 보이고 있습니다 혈액형들도 다양성을 나타내는 형질 중에 하나 입니다 혈액형에는 ABO, RH 뿐만 아니라 MNss, P, Li, Lewis, Duffy, Kidd, Kell등 수백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많은 혈액형들 중에서 ABO와 RH 혈액형이 잘 알려진 이유 는 수혈할때 맞추어 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3. 적혈구 표면에는 수많은 구조물들이 있습니다 1.생명체들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형질 중의 하나 2.ABO, Rh, MNSs, P, Li, lewis, Duffy, Kidd, Kell등 수백가지가 존재 3.적혈구 표면에는 수많은 구조물이 있고, 적혈 구 표면에서 중요한 일을 하고 있으며, 이런 구 조물 때문에 ABO, Rh, MNSs, P, Li, lewis등 4.ABO혈액형 이외의 항원들은 수혈 후 비예기 항체(unexpected antibody)를 만들수 있어 ABO혈액형이 맞더라도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우리나라 비예기 항체 빈도는 0.2~0.6% 5.비예기항체 검출 : 항체선별검사, 교차적합시험

  4. 어떤 구조물은 단백(Protein)성분으로 이루어져 막단백 (membrane protein)을 형성하고 있고또 어떤 구조물은 당사슬(sugar chain)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구조물들 중에는 적혈구 표면에서 중요한 일을 하는것들도 있고 아직 그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것들도 있습니다 이 구조물들 때문에 혈액형에는 ABO혈액형을 비롯하여 RH, MNss, P, Li, Lewis, Duffy, Kidd, Kell등 수 많은 적혈구 혈액형 항원들이존재합니다

  5. ABO 혈액형 이외의 혈액형 항원들은 비예기항체(unexpected antibody)를만들수 있으므로 ABO 혈액형이 맞는 혈액을 수혈 하 더라도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의 비예기항체 빈도는 0.2-0.6% 정도로 낮습 니다. 비예기항체를 검출하기 위해서 항체선별검사(Antibody screen test) 를시행하고 있고 ABO혈액형을 최종적으로 맞추어 주고 비예기 항체에 의한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교 차적합시험(crossmatching)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혈액형은 유전에 의해서 결정되고 ABO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 는 9번 염색체(9q34)에위치하고 있습니다

  6. ABO 유전자와 Hh유전자 그리고 Se유전자에 의해 적혈구를 비롯한 우리몸의 각 장기와 조직 그리고 타액 등에 ABO 혈액형이 표현 됩니다 Hh유전자는 H chain을 만드는 fucosyl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고 Se 유전자는 타 액내 단백에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필요합니다. A 유전자와 B 유전자는 우열이 없이 각각co-dominant하게 ABO 혈액형을 표현합니다. 즉 A 유전자와 B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 는사람은 A형과 B형이 동시에 표현되어 AB형이 됩니다 A유전자는 N-acetylgalactosaminyl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어 glucose-galactose-N-acetyl-glucosamime-galactose-fucose의 구조 를 가지는 H chain 끝에 N-acetylgalactosamine을 붙여주어 A형 항 원을 만들어 냅니다 B 유전자는 H chain 끝에 D-galactose를 붙여주는galactosyltransferase 라는 효소를 만들어 B형 항원을 만든다. O 유전자는 이런 당전이효소(glycosyltransferase)를 만들 수 없으므로 H chain만을 표현한다

  7. Hh유전자는 H chain을 만드는fucosyl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 들고Se 유전자는 타액 내 단백질에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필 요하다. 약80%의 사람들은 타액 내에 ABO 혈액형 물질을 분비한다 혈액형은 수혈 이외에도 장기이식, 친자감별검사, 범죄수사 등 에도 이용되고 있다. Rh혈액형군에는 D, C, c, E, e 등을 포함하여 45가지나 되는 혈액형 이 존재하는데 우리가 보통Rh형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중에서 D 혈 액형을지칭한다. Rh양성은 D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이고, Rh 음성은D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표기는, D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D’로, 가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를 ‘d’로 표기한 다. 유전자는 두 개의 대립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Rh(D) 혈액 형과 관련된 유전자는 DD, Dd, dd세 가지이다. 이중에서 DD와Dd는 D 유전자를 하나 이상 가지고 있으므로 표현형은Rh양성이다. 그리고 D 유전자가 없는dd는Rh음성으로 표현한다. Rh혈액형은 sugar chain으로 구성된 ABO 혈액형과는 달리,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오 로지 적혈구에만 존재한다.

  8. 현재까지 약250개 이상의 혈액형 항원들이 발견되었으며 1993년에 국제수혈학회(ISBT)에서 혈액형 항원들을 다음과 같이 23개의 혈액형군(blood group system)으로 분류하였다 2009년 29개

  9. 왜A형인 사람은 anti-B 항체를, B형인 사람은 anti-A 항체를, 그리고 0형인 사람은 anti-A, B항체를'이미' 가지고 있는가 ? • 자연항체 (naturally occurring Ab) • 항원의 자극이 없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항체 • 면역항체 장내 세균(박테리아 세포벽에도 ABO항원과 같은 당사슬 존재) 또는 음식을 통해 박테리아에 의해 ABO항원들이 우리의 면역시스템에 노출되어 anti-A, anti-B 항체를 가짐

  10. 유의사항 • 1.혈청형 결과와 혈구형 결과가 일치되는지 항상 확인한다. • 2.결과판독은 적어도 2분간 관찰한 후 한다. (단, variant 또는 항원성이 약해진 경우가 있으므로 3-5 분후 다시 한번 관찰한다.) • 3.검사는 실온에서 실시한다. 가열하면 반응이 약화될 수 있다. • 4.가능한 한 2명의 검사자가 혈액형을 반복 검사 혹은 확인하도록 한다. • 5.1년 미만의 유아의 혈청에는 항-A, 항-B가 없을 수도 있으므로 혈구형 검사의 결과를 중시 • 한다. • 6.판독시 용혈현상이 있으면 양성으로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erum을 56℃ 15분 비동화 • (complement inactivation)하여 검사한다. (재채혈을 요구한다) • 7.Cell typing, serum typing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선 cell을 warm saline으로 세척하여  재 • 검사 한다. 계속 해결되지 않으면 아형, 변종, 불규칙 항체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액은행 • 담당자와 의논하여 정밀 검사한다. • 8.항A, 항B 혈청은 혈액형 판정용 혈청기준에 합격한 곳을 사용하고 유효기간내의 것을 쓴다. • 9.기술적, 사무적 실수가 없도록 재확인, 재검사를 반드시 해야한다. • 항A, 항B 혈청의 응집력 시험(응집가 크기는 3 분이내에1mm 이상 되어야 한다.)

  11. ABO혈액형검사시혈구형과혈청형 불일치(ABO discrepancy)의 원인들 • 1.용혈을 인지하지 못하여 음성으로 판독했을 때 • 2.혈청과 혈구의 비율이 적절치 않았을 때 • 3.원침의 속도나 시간이 적절치 않았을 때 • 4.환자가 최근에 수혈이나 골수, 신장 등 장기이식을 받았을 때 • 5.ABO 변이형 • 6.다응집( T,Tn, km,Th등의 polyagglutination) • 7.혈청단백 이상(Whartons jelly, 다발성골수종 등) • 8.자가항체 및 동종항체 • 9.질병으로 인한 항원의 소실, 획득, 항체의 약화 등 • 10.신생아에서 항A, 항B가 생기지 않았을 경우

  12. ABO 불일치의 해결 방안 • 1.검사를 반복하여 본다. • 2.동일한 결과가 나오면 환자 적혈구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반복한다. • 3.검체를 다시 채취하여 검사한다. • 4.항-A, B, 항-A1 식물응집소, 항-H 등을 이용한 추가검사를 실시한다. • 5.비예기항체 선별검사를 한다. • 6.타액검사를 한다. • 7.흡착 및 용출 검사를 한다. • 8.해결이 안될시는 혈액은행 담당자와 상의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