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Over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Assistance Strategies in the World and Korea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ims to reduce global poverty, bridge the gap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uphold human right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s a key component, provided by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to promote economic growth and social welfar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motivation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clude political, economic, humanitarian, and interdependent reasons. Goals have evolved from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Decade to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n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Major donors include OECD member countries, non-DAC members, international multilateral organizations, and private entities. The history shows a shift towards broader development goals and a focus on social infrastructure support.

tranque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Overview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Assistance Strategies in the World and Korea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44 세계 및 한국의 농업협력/원조 전략

  2. 2/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개념  국제개발협력(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선진국-개발도상국 간, 개발도상국-개발도상국 간, 또는 개발도상국 내에 존재하는 개발 및 빈 부의 격차 를 줄이고, 개발도상국의 빈곤 문제 해결을 통해 인간의 기본권을 지키려는 국제사회 의 노력과 행동 - 개발도상국의 빈곤 문제는 해당 개발도상국만의 문제라기 보다는 국제사회 전반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 사적 요인 등에 기인하므로, 국제사회 전체가 참여하는 장기간에 걸친 노력이 필 요 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국제개발협력의 일환으로, 정부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발전과 사회복지 증 진을 목표로 제공하는 원조를 의미 - 개발도상국 정부, 지역, 또는 국제기구에 제공되는 자금이나 기술협력을 포함하는 개념 - OECD DAC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의 정의  민간증여(Private Grant): NGO, 기업 등 민간 부문의 국제개발협력 노력

  3. 3/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지원동기  정치·외교적 동기 - 각국은 외교 관계나 대외정책에 따라 전략적으로 ODA를 활용  경제적 동기 - ODA를 통해 장기적으로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 기반이 구축되고, 이에 따라 개발도상국 수출 시장이 확대되면 공여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FDI)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  인도주의적 동기 - 인간의 보편적 기본가치(예: 인권 등)의 실현을 위해 절대빈곤 해소를 추구해야 하는 국제 사회 의 도덕적 의무에서 비롯  상호의존적 동기 - 협력대상국을 단순히 원조를 받는 대상이 아니라,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유지하기 위한 국제정 치적 역학관계와 경제적 필요성에 의한 상호 의존적 관계로 인식

  4. 4/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목표  MDGs 이전 (1960-2000): 각자 도생 - 1960s: United Nations Development Decade; 산업화 및 인프라, 빈곤감소, 교육, 보건 - 1970s: Int’l Dev’t Strategy for the Second UN Dev’t Decade (1970s); 경제 불균형 해소 및 협력 증진 - New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NIEO, 1970s), Earth Summit (1992) - 주로 경제적 발전 및 인프라 개선 목표  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2000-2015): 주체간 통합적 접근 - 2000년까지는 OECD 가 주도, 2000년 이후에는 UN 이 주도 - UN이 2000년 채택한 의제; 2015년까지 세계의 빈곤을 반으로 줄인다는 목표 - OECD의 기존 활동 및 목표에 기반하여 전문가들이 수립 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6-2030): 지속 가능성 초점 - UN, CSOs 및 민간의 많은 이해관계자가 참여 (Million Voices)  측정하기 어려운 목표도 포함되어 문제; Beyond ODA - MDGs 에 비하여 목표 숫자 많아지고 (8  17), 보다 야심 찬 목표 Ex) MDGs (극빈 및 기아 탈출) vs. SDGs (빈곤 종식)

  5. 5/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 시작: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 재건을 위한 미국의 마샬 플랜  1960s~1970s: 경제발전 및 경제 인프라 위주  1980s~1990s: 국제개발협력 침체기 원조/공여자 피로(Aid/Donor Fatigue)  Amartya Sen, 1999, Dev’t as Freedom - 빈곤의 다면성, 단순 경제적 빈곤 개념 확장 - 사회인프라(보건, 교육 등) 지원 시작 계기  2000년 9월 UN 총회 및 천년개발목표(MDGs) - 국제개발협력 주도권이 OECD DAC 에서 UN 으로 넘어오는 시기  2015년 9월 UN 총회 및 지속가능 개발목표(SDGs) 5-23-24

  6. 6/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공여자(DONORS)  공여자는 크게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으로 구분 - OECD 는 부자들의 모임, 이중에서도 개발원조위원회(DAC; Dev’t Assistance Committee) 회원국들 은 부자나라 중 부자나라들로 국제개발협력에서의 공여를 주도 - 비OECD 회원국에는 중국과 러시아(공여액 OECD 보고)가 포함 - 중국은 공여액 OECD에 보고하지 않으며,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AIIB;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를 통해 (유상*)공여 *유상 = 양허성 차관(Concessional Loan)  OECD 회원국 정부가 주요 공여자 - OECD 회원은 다시 DAC 회원국, non-DAC 회원국 으로 분류 이외에, 국제/다자 기구 (UN, WB 등), 민간공여자 등으로 구분 - 민간공여자들은, OECD에 보고하는 재단(빌&멜린다 게이츠 등) 및 보고하지 않는 개발NGOs (iNGOs; Int’l NGOs; World Vision, Save the Children, (한국 토종) 굿네이버스 등)로 구분 China: 6,000 (1000) To UN (2018), Core 1,182 / Non- Core 144 - Not reporting to OECD *Kitano and Miyabayashi (2020) Non-OECD Countries Russia: 693 (1000), 15 (700) Reporting as a non-DAC country Included in the OECD figures - World’s Aid - Official Donors DAC Countries - Multilaterals Non-DAC Countries - OECD Members, Non-OECD Countries & Private Donors, reporting to OECD - Private Donors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 Other 34 Private Donors -

  7. 7/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공여자  OECD DAC 회원국 - 한국은 2010년 가입 (OECD는 1996년 가입) - DAC 네트워크: DAC 산하 기관, 작업반(Working Parties), 네트워크 (Network), 합동 사업팀(Joint-ventures and Task Team)으로 구성  신흥공여국 (Emerging Donors) - 과거 개발협력은 OECD-DAC 회원국이 중심, 최근 신흥공여국으로 분류 되는 국가들의 지원이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활발 - UAE, 러시아, 루마니아, 헝가리 등  국제/다자 기구 (Int’l or Multilateral Orgs.) - UN 및 산하 전문기구: UNDP, WHO, WFP, UNICEF, UNHCR 등 - 국제개발금융기관(IFI):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유럽부흥은행(EBRD), 아시아 개발은행(ADB),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미주개발은행(IDB) 등 개발은행  개발 NGO 및 민간기업 - 옥스팜(Oxfam), 케어인터네셔널(Care International), 월드비전(World vision), 굿네이버스 - 기업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및 민간재단(록펠러, 빌&멜린다 게이츠, 포드, 쉘 등)

  8. 8/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공여 현황  공여국별 현황 (순지출, USD 백만): 원조의 양, 한국 중위권 (출처: ODA Korea)

  9. 9/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공여 현황  공여국별 현황 (ODA/GNI, %) : 원조의 질, 한국 하위권 (출처: ODA Korea) 평균 0.3%

  10. 10/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수원국  DAC List of ODA Recipient: 수원국 졸업 위해서는, 수원국이 신청하고 공여국과 협의 거쳐 졸업 선 언

  11. 11/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수원국  공여국 vs. 수원국 지도 - 공여국: 대부분 NAE + ESAP 일부(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 수원국: CWANA, SSA, ESAP, LAC Mexico-Türkiye: OECD Non-DAC member 원조도 많이 하고 받기도 많이 받음  빗금으로 표시

  12. 12/44 세계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공여국-수원국  공여국 vs. 수원국 및 지원 분야 2021 총 ODA = 281,696 USD M (376 조원) 2021 총 민간공여 = ODA의 1/3 (30%) 수준 한국은 10위 안에 못 듦 (국가 순위로는 15위) 사회인프라 (교육, 보건 등) 44% 경제인프라(19%) 및 생산(5%) *Production 중 61% (전체의 3%)가 농림수산 분야 지원 *2021 Production 15,395 USD M;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9,379 USD M

  13. 13/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역사  수원국으로서의 역사 - 1945년 해방 및 미국의 원조로 시작 - 2000년 수원국 목록에서 제외(ODA 졸업) *한일 청구권 협정(1965) 보상금으로 준공 https://www.odakorea.go.kr/ODAPage_2022/category02/L03_S01_01.jsp

  14. 14/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역사 (CONT’D)  공여국으로서의 역사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1987), 한국국제협력단(KOICA, 1991) 설립 -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 https://www.odakorea.go.kr/ODAPage_2022/category02/L03_S03_01.jsp

  15. 15/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추진체계  우리나라의 ODA 운영체계는 크게 양자 간 협력과 다자 간 협력으로 이원화 - 양자: 국가 대 국가 지원 - 다자: 국가 대 국제기구 (외교부 UN 등에 분담금) 및 국제개발금융기관(기재부 WB 등에 출자금)  양자 무상원조 (외교부가 주관 부처) - 무상자금협력과 기술협력. 외교부 감독 하에 원조집행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이 집행 - 무상원조 중 무상자금협력사업의 경우 한국국제협력단에서 전담, 기술 협력사업은 그 외 다른 정부 부처(농식품부, 농진청 등) 및 기관에서도 일부 분담, 실시  양자 유상원조 (기재부가 주관 부처)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은 기획재정부 및 운용위원회* 감 독하에 한국수출입은행(K-EXIM)이 집행 *EDCF 운용위원회(경제부총리(주재), 과기부·외교부·농식품부·산업부·복지부·국토부·해수부·국조실등 관계부처 장·차관, 한국수출입은행장, 한국국제협력단)  다자 국제기구 지원: 분담금, 외교부 주관-시행  다자 국제금융기관 지원: 출자-출연금, 기재부 주관, 한국은행 시행

  16. 16/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추진체계 (계속)  이상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 관련부처/기관

  17. 17/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추진체계 (계속)  ODA 정책 추진 체제 - 국제개발협력위원회가 최상위 의사결정 주체 장차관급 (KOICA 이사장 포함) 국장급 이사장 장차관급 이사 차관-국장급

  18. 18/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규모: ’23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안) (확정액 기준)  총규모 - (총규모) ’23년 ODA 확정액 규모는 약 4조 7,771억원, 총 45개 기관 1,840개 사업 추진 - (총예산) ‘22년 3조 9,383억원 대비 8,388억원 증가(21.3%↑) - (참여기관) ‘22년 44개 기관 대비 1개 기관(지자체-경남) 증가(2.3%↑) - (사업 수) ‘22년 1,765개 대비 84개 사업 증가(4.8%↑) 42개국 대상, 228개 사업 90개국 대상, 1,538개 사업 8개 국제금융기구 48개 UN 등 기구 출처: 각 년도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

  19. 19/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특징 양자  유형별 특징 - 총 ODA 중 양자협력 對다자협력간 비율 77:23, - 유상협력 對 무상협력간 비율은 41:59 수준  지역별 특징 - 아시아, 아프리카 중심으로 지원 출처: 각 년도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 - 중점협력국 27개국 (다음 슬라이드) 대상 약 78.1% (유상 84.8%, 무상 70.5%) 지원(다국가 사업 제외) 다자 사업

  20. 20/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특징  (제 3 기) 27개 중점협력국 - 아시아 (12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필리핀, 방글라데시, 몽골, 라오스, 네팔, 스리 랑카, 파키스탄, 미얀마, 인도 - 아프리카 (7개국): 가나, 에티오피아,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세네갈, 이집트 - 중남미(4개국):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 중동·CIS (4개국):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우크라이나, 타지키스탄 < GNI per Capita $1,000 $1,000~4,000 $4,000~13,000

  21. 21/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특징  분야별 - 교통(13.1%), 보건(12.9%), 인도적 지원(11.0%). 농림수산(6.9%)는 11개 분야 중 6위 *세계 전체 원조 중 농림수산분야 비중 3%에 비하면 2배 이상 높은 편 출처: 각 년도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

  22. 22/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특징  형태별 - 프로젝트(67.2%), 프로그램(14.4%), 연수사업(4.3%) 출처: 각 년도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 - 프로젝트: 1개 목표, 단일 사업, 단기간 - 프로그램: 여러 목표, 프로젝트의 합, 장기간 *프로젝트 ⊂ 프로그램 ⊂ 포트폴리오(Portfolio) ⊂ 이니셔티브(Initiative)

  23. 23/44 한국정부의 국제개발협력(원조, ODA; OFFICIAL DEV’T ASSISTANCE) 지원 특징  부처별 - 농업농촌분야 사업 시행 부처: 기재부(수출입은행 EDCF), 외교부(KOICA), 농림축산식품부(농어 촌공사, 농촌경제연구원), 농촌진흥청(KOPIA), 해양수산부, 산림청 출처: 각 년도 국제개발협력 시행계획

  24. 24/44 한국 민간부문(개발 NGO) 국제개발협력  2021 국제개발협력 CSO 편람 (격년 발간) *CSO; Civil Society Org. - 한국 자생단체 123 개 (86.6%), 국제 NGO 18 개 (12.7%) - 총수입 1.8조원, 총지출 1.6조원: 해외사업(국제개발협력) 6,800억원 (42%)

  25. 25/44 한국 민간부문(개발 NGO) 국제개발협력  민간 대륙별-국가별(20위까지) 지원 현황 - (ODA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및 아프리카 위주

  26. 26/44 한국 민간부문(개발 NGO) 국제개발협력 기타 사회 인프라 및 서비스: 농촌개발(교육, 보건, 농업 다부문 사업) 포함  사업 형태별, 분야별 지원 현황 - 프로그램/프로젝트 위주 (75%) - 교육-보건 위주; 농림수산 (1.8%) + 농촌개발(?)

  27. 27/44 한국 민간부문(개발 NGO) 국제개발협력  국내 인력 현황 - 사회-복지 전공자 위주로 활동, 최근 전공 분야(농업 등) 넓히고 있음 *최저임금 수준 *월비 등 국제 NGO

  28. 28/44 한국정부의 농업부문 국제개발협력(원조)  총 3개 부처 1 개 청이 농업농촌분야 국제개발협력 사업 시행 중  3개 부처 - 외교부(무상)/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l Cooperation agency) - 기재부(유상)/수출입은행(Import/export bank, EDCF) - 농식품부(무상) 한국농어촌공사(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 EPIS)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 1개 청 - 농진청(무상)/코피아(KOPIA, 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 양자 - 농진청(무상)/ 3 faci (KAFACI, AFACI, KOLFACI), 다자(?), 다자 형태이나 양자로 계상 *산림청도 (조림)사업 있으나 매우 소규모로 제외

  29. 29/44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L COOPERATION AGENCY)  조직 (무상원조 주관기관), 기관 전체가 국제개발협력 업무

  30. 30/44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L COOPERATION AGENCY) (CONT’D)  총 지원실적 (백만원) - 23년 예산 1.3조원  분야별 (23’) - 농림수산 12.5% (911억,골고루 하는 편) - 농식품부 1,100억과 농진청 334억의 합보다는 액수 작음  지역별 - 아시아 33%, 아프리카 23.4$  사업형태별 - 프로젝트 52.2% - 국별협력사업 63%, 봉사단 11% 국제기구(다자성양자) 9%

  31. 31/44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L COOPERATION AGENCY) (CONT’D)  농업농촌분야 지원 전략 (체계는 가장 잘 갖추고 있음)

  32. 32/44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KOICA, KOREA INT’L COOPERATION AGENCY) (CONT’D)  주요 지원 대상국 및 분야 - 중점협력국(25.9%) + 비중점협력국 - 중소형(대부분 100억원 이하, 최근 100억원 이상 사업 증가 중)  23’ 주요사업 (100억원 이상) - 베트남 뚜옌꽝성 포용적 농촌개발 프로그램(‘19-‘23/1,500만불) - 베트남하이테크농업발전을위한호치민국립대농과대학교육, 연구역량강화사업(‘21-‘30/909만 불 - 베트남 지뢰/불발탄 제거를 통한 중부지역 평화마을 조성 사업(UNDP) (‘22-‘26/2,500만불) - 인도네시아 보고르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센터 역량강화 사업 (‘21-‘28/1,100만불) - 캄보디아 지역농산물 활용 학교 급식 사업 (WFP)(‘20-‘24/1,000만불) - 캄보디아 북서부 3개주 지뢰제거를 통한 평화마을 조성사업 (‘21-‘25/1,000만불) - 캄보디아 농촌종합개발을 통한 평화마을 조성사업 (‘22-‘26/1,000만불) - 필리핀 퀴리노주 농촌종합개발 2차 사업(‘18-‘23/950만불) - 라오스 남부 3개주 농촌개발 사업 (‘20-‘25/900만불)

  33. 33/44 기획재정부 수출입은행(IMPORT/EXPORT BANK, KOEXIM BANK, EDCF)  기재부 개발금융국 - 기재부의 유상원조 주관 부처  수출입은행 & EDCF 운용위원회 - 개발도상국의 산업화 및 경제발전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와 이들 국가와의 경제교류를 증진하기 위하여 1987년 설립된 정책기금  역할 - 공적개발원조 중 양자유상원조전담: 1987년 설치된 이후 2021 년말까지 세계 58개 개발도상국의 485개 개발사업에 대해 약 23 조9,656억 원의 원조자금을 지원 - 개도국과 우리나라의 경제협력관계 증진  조직 - 관리: 기금운용관리 기재부 개발금융국 - 실무: 기금실무 대행 수출입은행 (경협총괄부 , 지역별로 담당)

  34. 34/44 기획재정부 수출입은행(IMPORT/EXPORT BANK, EDCF) (CONT’D)  지원조건: 소득수준별로 4개 그룹  EDCF 표준지원조건

  35. 35/44 기획재정부 수출입은행(IMPORT/EXPORT BANK, EDCF) (CONT’D)  주요 지원 대상국 및 분야 - 중점협력국, 대형(대부분 100억원 이상) 사회인프라 등  23’ 주요사업 (1,000억원 이상) - 라오스 국립의과대학병원 건립사업 (2020-2026), 1,246억원 - 몽골 10개 아이막 지역난방시스템 개선사업 (2019-2024), 1,807억원 - 몽골 바양골린암 공공주택단지 건설사업 (2021-2024), 1,393억원 - 인도네시아 서부지역 농업관개시설 개선사업 (2020-2025), 1,190.43  지원 총액 - 22년 1.6조원, 23년 1.8조원  농림수산분야 지원액 - 22년 13개 사업 0.3조원 (19%)

  36. 36/44 농림수산식품부  23’년도 예산 - 1,100억원 (프로젝트 873억원, 80%)  3개 기관이 나누어 시행하며, 각 기관에 있어 국제개발협력은 주요 업무가 아님 - 한국농어촌공사(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 인프라 및 농촌개발 사업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 EPIS): 농업정보 및 스마트팜 관련 사업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사업 평가 및 성과관리  대표 사업 (50억원 이상) - 개도국 대상 식량원조사업(WFP) (18’~ ) 23’ 518억원 - FAO 의무분담금 (1953~ ), 23’ 113억원 - 가나 아크라주 관개시설 현대화를 통한 농업 생산성 증대사업 (23’-27’) 113억원 - 베트남 국립가축질병센터 역량강화지원사업(2차), (22’-25’) 63억원 - 라오스 관개기술교육센터 (ITTC) 조성사업 (21’-25’) 69억원 - 라오스 비엔티안주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수자원관리 및 농업용수 지원사업 (23’-27’) 81억원 - 우즈베키스탄 첨단온실 및 저장시설 운영관리를 위한 농업교육센터 설치사업 (21’-25’) 56억원

  37. 37/44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  기반조성본부-해외사업처-해외사업부/국제협력부 - 해외사업부: 상업적 목적의 해외농업 개발 (용역 수주) *해외농업자원개발협회 관리 - 국제협력부: 인도주의적목적의해외농업원조(용역발주) -농식품부국제개발협력사업시행 (2010년까지는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시행) -주로관개등농업인프라조성 농업-농촌개발사업 www.ekr.or.kr

  38. 38/44 농림수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정원, EPIS) www.epis.or.kr  EPIS: Korea Agency of Educ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Service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국제협력처-국제농업협력실에서 시행 - 농업분야 ICT 및 스마트팜 관련 사업 - 세종시 소재

  39. 39/44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 국제농업개발협력센터(CIAP; Center f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Partnership) - (양자)국제협력전략팀과 (다자)다자협력-평가팀으로 나누어짐 - 기본연구과제, 일반연구과제로 나누어 연구 및 컨설팅 - 농식품부의 국제개발협력 관련 용역 - 주로 농식품부 사업기획, 평가 및 외부 사업 수주 주요 사업 - 국제 농업·농촌개발협력의 성과 제고를 위한 연구 - 우리나라농정성과확산을위한개발협력정책컨설팅(KAPAX) - 개도국 농업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발굴과 기획 및 평가 - 국제기구와의 협력사업을 통한 파트너십 구축 - (상업적 목적의) 해외농업개발 지원 등 글로벌 사회, 경제 발전을 위한 연구와 사업 

  40. 40/44 농촌진흥청 KOPIA 및 3-FACI  농촌진흥청의 ODA 는 기술협력국에서 실시  KOPIA(국제농업과학기술협력사업) -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양자간, 현지 사무소 및 적응 시험  3 faci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 -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다자간, R&D 지원 위 주 - KAFACI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 AFACI (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 KOLFACI (Korea-Latin Ame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41. 41/44 농촌진흥청 코피아(KOPIA, 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 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의 목적 - 개도국 현지 농업연구기관과 협력하여 국가별 맞춤형 농업기술을 개발·실증·보급하여 농업 생 산성 향상으로 소농의 소득 증진 * 협력기관에서 사무실, 시험포장(논·밭·온실·과수원 등) 등을 제 공  조직/운영 - 소장(상주), 전문가(수시), 연구원(1~2년)·연수생(6개월) 파견  사업 현황 - 22개국(아시아 8, 아프리카 7, 중남미 5, CIS 2) KOPIA Vietnam http://itcc.rda.go.kr/kopia

  42. 42/44 농촌진흥청 KAFACI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 회원국 - 아프리카 23개 회원국 정부 간 및 5개 국제기관의 다자간 협력 기구  목적 - 농업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식량 생산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달성하며 아프리카 국가의 농촌지도 서비스를 향상  사업 및 활동 - 프로젝트: 기초농업과학, 식량작물, 원예, 신진연구자지원 등 - 학술회의, 초청 연수, 워크숍 http://kafaci.org/main

  43. 43/44 농촌진흥청 AFACI (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 회원국 - 15개 아시아 회원국 정부 간 및 8개 다자간 협력 기구  목적 - 농업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식량 생산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달성하며 아시아 국가의 농촌지도 서비스를 향상  사업 및 활동 - 22 개 프로젝트 - 학술회의, 초청 연수, 워크숍 http://afaci.org/main

  44. 44/44 농촌진흥청 KOLFACI (KOREA-LATIN AME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http://kolfaci.org/main  회원국 - 13개 아시아 회원국, 18개 정부기구, 4개 국제기구 협력  목적 - 농업 기술에 대한 지식 및 정보 공유를 통해 식량 생산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달성하며 중남미 국가의 농촌지도 서비스를 향상  사업 및 활동 - 5 개 프로젝트 - 학술회의, 초청 연수, 워크숍

More Related